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탄소세 적용에 따른 공동주택 공사원가 및 운영에너지비용의 영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1979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earching for the reduction way of carbon tax in the life cycle of apartment building through the estimation on the carbon tax influence of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running energy cost in the apartment building. The Green House Gases(GHG) emission level of South Korea was 10th in the world at 2004. Therefore, Korea may should be into Annex-Ⅰlevel of UNFCCC at 2013 and Korean government has been prepared the regular of carbon tax that aim to GHG reduction. The reduction of GHG in the building industry is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the building industry has been consumed 30∼40% energy of all energy consumption. This paper used the unit CO2 emission data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the construction works, the running energies as well as the unit cost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the construction works, the running energies in the apartment building. In conclusion, if carbon tax will be levied 10,000~150,000(won/CO2Ton) in the korea, the construction cost will rise up
      1.03~15.45%, the running energy cost will rise up 2.95~44.26%, and the life cycle cost will rise up 2.10~31.43% in 60 years building life cycle. The carbon tax of construction phase is unavoidable tax because all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is necessary in the building, but the reduction of running energy carbon tax is passible because running energy conservation is passible. Therefore, the reduction ways of carbon tax in the life cycle of apartment building were the conservation of running energy and the change to the renewable energy syst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earching for the reduction way of carbon tax in the life cycle of apartment building through the estimation on the carbon tax influence of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running energy cost in the apartment building. The 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earching for the reduction way of carbon tax in the life cycle of apartment building through the estimation on the carbon tax influence of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running energy cost in the apartment building. The Green House Gases(GHG) emission level of South Korea was 10th in the world at 2004. Therefore, Korea may should be into Annex-Ⅰlevel of UNFCCC at 2013 and Korean government has been prepared the regular of carbon tax that aim to GHG reduction. The reduction of GHG in the building industry is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the building industry has been consumed 30∼40% energy of all energy consumption. This paper used the unit CO2 emission data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the construction works, the running energies as well as the unit cost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the construction works, the running energies in the apartment building. In conclusion, if carbon tax will be levied 10,000~150,000(won/CO2Ton) in the korea, the construction cost will rise up
      1.03~15.45%, the running energy cost will rise up 2.95~44.26%, and the life cycle cost will rise up 2.10~31.43% in 60 years building life cycle. The carbon tax of construction phase is unavoidable tax because all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is necessary in the building, but the reduction of running energy carbon tax is passible because running energy conservation is passible. Therefore, the reduction ways of carbon tax in the life cycle of apartment building were the conservation of running energy and the change to the renewable energy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의 방법
      • 1.4 연구의 범위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의 방법
      • 1.4 연구의 범위
      • 1.5 선행연구
      • 2. 해외 탄소세 현황 및 국내수준 추정
      • 2.1 해외 국가별 탄소세 부과현황
      • 3. 공동주택 공사원가 및 운영에너지비용 탄소세 영향
      • 3.1 신축단계 공사원가 탄소세 영향
      • 3.2 운영단계 에너지비용 탄소세 영향
      • 3.3 공동주택 수명주기 연가 기준 탄소세 영향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영선, "주요자재를 대상으로 공동주택 신축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연구" 27 (27): 2007

      2 이강희, "주상복합건물의 구조형식에 따른 환경영향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20 (20): 47-54, 2004

      3 유호천, "전과정 평가에 의한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177-184, 2002

      4 최기련, "유럽의 국가배출권할당계획(NAP) 비교연구" 에너지관리공단 2005

      5 이희영, "국정브리핑"

      6 홍성희, "공동주택의 에너지소비원단위 설정 연구" 17 (17): 2001

      7 김종엽, "공동주택 신축단계에서의 에너지소비 및 CO2배출 특성 평가" 대한건축학회 21 (21): 199-206, 2005

      8 李康熙, "공동주택 건설공사에서의 공종에 대한 LCA적용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27-36, 2003

      9 김종엽, "건축물 건설단계에서의 에너지소비량 및 CO2배출량 원단위 산출" 대한건축학회 20 (20): 319-326, 2004

      10 김종엽, "건축물 LCA를 위한 건설자재의 환경부하 원단위 산출 연구 - 산업연관표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0 (20): 211-218, 2004

      1 정영선, "주요자재를 대상으로 공동주택 신축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연구" 27 (27): 2007

      2 이강희, "주상복합건물의 구조형식에 따른 환경영향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20 (20): 47-54, 2004

      3 유호천, "전과정 평가에 의한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177-184, 2002

      4 최기련, "유럽의 국가배출권할당계획(NAP) 비교연구" 에너지관리공단 2005

      5 이희영, "국정브리핑"

      6 홍성희, "공동주택의 에너지소비원단위 설정 연구" 17 (17): 2001

      7 김종엽, "공동주택 신축단계에서의 에너지소비 및 CO2배출 특성 평가" 대한건축학회 21 (21): 199-206, 2005

      8 李康熙, "공동주택 건설공사에서의 공종에 대한 LCA적용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27-36, 2003

      9 김종엽, "건축물 건설단계에서의 에너지소비량 및 CO2배출량 원단위 산출" 대한건축학회 20 (20): 319-326, 2004

      10 김종엽, "건축물 LCA를 위한 건설자재의 환경부하 원단위 산출 연구 - 산업연관표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0 (20): 211-218, 2004

      11 서울도시가스(주), "http://www.seoulgas.co.kr/"

      12 대한주택공사, "http://www.jugong.co.kr/"

      13 "Global Carbon Tax Urged at UN Climate Conference, Canada Free Press, Global Policy Forum"

      14 심재걸, "2005공동주택공사비분석자료"

      15 Carbon Tax Center, "01.03"

      16 한국전력 사이버지점, "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