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지역 노령인구의 통행패턴 분석- 경상북도 봉화군 지역을 중심으로 - = An Analysis of Travel Patterns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 A Case of Bonghwa-gun, Gyeongsangbuk-do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1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 are one of the most vulnerable groups to spatial isolation and social exclusion processes because of the constraints on mobility and accessibility. It is necessary, however, to understand the travel pattern of a population group based 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nalyze the social exclusion process of the group due to the transportation problems. But researches related to the travel patterns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are very limited, and thus the study on the travel patterns of the population group is greatly in need.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ravel patterns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Travel patterns of the elderly are manifested differently based on their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backgrounds. Ability to drive private car depending on physical conditions and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has great impacts on the trip process in the rural area. But if we consider the fact that most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are not able to drive private car, and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of the rural area could not provide the personal and flexible transportation services like private car, it is very possible for the rural elderly in Korea to be involved in spatial isolation and social exclusion processes. Therefore, it is so in need of the study about the impacts of trip constraint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elderly on the spatial isolation and social exclusion proces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번역하기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 are one of the most vulnerable groups to spatial isolation and social exclusion processes because of the constraints on mobility and accessibility. It is necessary, however, to understand the travel pattern of a pop...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 are one of the most vulnerable groups to spatial isolation and social exclusion processes because of the constraints on mobility and accessibility. It is necessary, however, to understand the travel pattern of a population group based 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nalyze the social exclusion process of the group due to the transportation problems. But researches related to the travel patterns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are very limited, and thus the study on the travel patterns of the population group is greatly in need.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ravel patterns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Travel patterns of the elderly are manifested differently based on their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backgrounds. Ability to drive private car depending on physical conditions and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has great impacts on the trip process in the rural area. But if we consider the fact that most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are not able to drive private car, and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of the rural area could not provide the personal and flexible transportation services like private car, it is very possible for the rural elderly in Korea to be involved in spatial isolation and social exclusion processes. Therefore, it is so in need of the study about the impacts of trip constraint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elderly on the spatial isolation and social exclusion proces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농촌이라는 지역적 조건과 노인이라는 신체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조건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이동 및 접근의 제약으로 인하여 공간적 고립 및 사회적 배제과정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집단의 교통으로 인한 사회적 배제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통행패턴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농촌노인들의 통행에 관련된 연구 성과가 매우 미흡하며 따라서 이들 인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통행패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개인적 특성과 통행패턴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노인들의 통행특성은 이들의 신체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배경 등의 요인들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하여 이들의 신체적 건강상태 및 경제적 능력 등에 따른 자가용 승용차 이용 정도는 이들의 이동과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농촌에 거주하는 많은 노인들은 자가용 이용 능력이 없으며, 또한 현재 농촌에서 운영 중인 버스를 중심으로 한 대중교통체계가 자가용 승용차와 같은 개인적이며 유연적인 통행을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농촌노인들은 이동의 제약으로 인한 공간적 고립, 그리고 더 나아가 교통으로 인한 사회적 배제 과정에 노출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농촌노인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통행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이동의 제약 등의 요인들이 이들의 공간적 고립 내지는 사회적 배제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매우 절실하다.
      번역하기

      농촌이라는 지역적 조건과 노인이라는 신체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조건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이동 및 접근의 제약으로 인하여 공간적 고립 및 사회적 배...

      농촌이라는 지역적 조건과 노인이라는 신체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조건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이동 및 접근의 제약으로 인하여 공간적 고립 및 사회적 배제과정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집단의 교통으로 인한 사회적 배제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통행패턴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농촌노인들의 통행에 관련된 연구 성과가 매우 미흡하며 따라서 이들 인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통행패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개인적 특성과 통행패턴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노인들의 통행특성은 이들의 신체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배경 등의 요인들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하여 이들의 신체적 건강상태 및 경제적 능력 등에 따른 자가용 승용차 이용 정도는 이들의 이동과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농촌에 거주하는 많은 노인들은 자가용 이용 능력이 없으며, 또한 현재 농촌에서 운영 중인 버스를 중심으로 한 대중교통체계가 자가용 승용차와 같은 개인적이며 유연적인 통행을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농촌노인들은 이동의 제약으로 인한 공간적 고립, 그리고 더 나아가 교통으로 인한 사회적 배제 과정에 노출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농촌노인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통행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이동의 제약 등의 요인들이 이들의 공간적 고립 내지는 사회적 배제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매우 절실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aitanen, T, "Why do older drivers reduce driving? Findings from three European countries" 6 (6): 81-95, 2003

      2 Roorda, A, "Trip generation of vulnerable populations in three Canadian cities : a spatial ordered probit approach" 37 (37): 525-548, 2010

      3 Newbold, K, "Travel behavior within Canada‘s older population : A cohort analysis" 13 (13): 340-351, 2005

      4 McDonagh, J, "Transport policy instruments and transport-related social exclusion in rural Republic of Ireland" 14 : 355-366, 2006

      5 Spinney, J, "Transport mobility benefits and quality of life : A time-use perspective of elderly Canadians" 16 (16): 1-11, 2009

      6 Kenyon, S, "Transport and social exclusion: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inclusion through virtual mobility" 10 : 207-219, 2002

      7 Lucas, K, "Transport and social exclusion: Where are we now?" 20 : 105-113, 2012

      8 Church, A, "Transport and social exclusion in London" 7 : 195-205, 2000

      9 Golob, T, "The trip chaining activity of Sydney residents : A cross-section assessment by age group with a focus on seniors" 15 (15): 298-312, 2007

      10 Sheller, M, "The new mobilities paradigm" 38 : 207-226, 2006

      1 Raitanen, T, "Why do older drivers reduce driving? Findings from three European countries" 6 (6): 81-95, 2003

      2 Roorda, A, "Trip generation of vulnerable populations in three Canadian cities : a spatial ordered probit approach" 37 (37): 525-548, 2010

      3 Newbold, K, "Travel behavior within Canada‘s older population : A cohort analysis" 13 (13): 340-351, 2005

      4 McDonagh, J, "Transport policy instruments and transport-related social exclusion in rural Republic of Ireland" 14 : 355-366, 2006

      5 Spinney, J, "Transport mobility benefits and quality of life : A time-use perspective of elderly Canadians" 16 (16): 1-11, 2009

      6 Kenyon, S, "Transport and social exclusion: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inclusion through virtual mobility" 10 : 207-219, 2002

      7 Lucas, K, "Transport and social exclusion: Where are we now?" 20 : 105-113, 2012

      8 Church, A, "Transport and social exclusion in London" 7 : 195-205, 2000

      9 Golob, T, "The trip chaining activity of Sydney residents : A cross-section assessment by age group with a focus on seniors" 15 (15): 298-312, 2007

      10 Sheller, M, "The new mobilities paradigm" 38 : 207-226, 2006

      11 Alsnih, R, "The mobility and accessibility expectations of seniors in an aging population" 37 (37): 903-916, 2003

      12 Mageean, J, "The evaluation of demand responsive transport services in Europe" 11 (11): 255-270, 2003

      13 Rosenbloom, S, "Sustainability and automobility among the elderly : an international assessment" 28 (28): 375-408, 2001

      14 Nutley, S. D, "Rural transport problems and non-car populations in the USA: a UK perspective" 14 (14): 93-106, 1996

      15 Farrington, J, "Rural accessibility, social inclusion and social justice : towards conceptualization" 13 : 1-12, 2005

      16 Banister, 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 the transport dimension" 11 (11): 105-115, 2004

      17 Adler, G, "Older adults’ perspectives on driving cessation" 20 (20): 227-235, 2006

      18 Rosenbloom, S, "Mobility of the elderly: good news and bad news Transportation in an Aging Society: A Decade of Experience" 2004

      19 Shaheen, S, "Integrating vehicle design and human factors: Minimizing elderly driving constraint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9 (9): 155-174, 2001

      20 Hanson, S, "Gender and mobility : new approaches for informing sustainability" 17 (17): 5-23, 2010

      21 Paez A, "Elderly mobility : demographic and spatial analysis of trip making in the Hamilton CMA" 44 (44): 123-146, 2007

      22 Marottoli, R, "Confidence in, and self-rating of, driving ability among older drivers" 30 (30): 331-336,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