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평적 규제체계에서 지상파방송의 기능과 규제의 한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302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술의 발달은 방송과 통신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융합화 시켰으며 이에 따른 규제법체계의 변혁을 초래하였다. 종래의 수직적 규제체계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융합화가 이루어져 더 이상 기존의 입법을 통한 규제가 곤란하게 되었고 수평적 규제체계에 따른 법체계의 정비 및 입법이 논의되게 되었고 세계의 각국은 방송ㆍ통신의 법제도의 형성에서 이러한 추세의 과정에 놓여있다.
      수평적 규제체계의 큰 흐름속에서 하나의 중대한 문제가 지상파방송에 대한 규제의 문제이며 이 경우 지상파방송에 대한 규제는 콘텐츠계층과 전송계층에 대한 규제를 분리시켜 고려되어야 하고 이 경우 각각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을 분리해 각각의 설립의 목적에 부합되는 범위내에서 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영방송의 콘텐츠계층에 대한 허용은 공영방송의 기본공급의무와 존속 및 발전보장의 범위속에서 폭넓게 인정되어야 하지만 공영방송의 법적 성격을 본질적으로 침해하는 방송외의 사업으로의 확장은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전송계층에의 진입 및 운영에 있어서도 공영방송은 방송의 공적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
      민영방송의 경우는 공영방송과 다르다. 민영방송은 공영방송보다 법리적인 측면에서 콘텐츠계층과 전송계층에 대한 진입 및 운영에 있어서 훨씬 더 포괄적이고 개방적인 성격을 가진다. 다만 방송의 특수한 영향력으로 인해 시장지배적인 여론형성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여론독과점의 규제 및 제한에 기속되며 설립의 근거인 상법상의 규제에 기속되게 된다.
      결론적으로 수평적 규제체계하에서의 지상파방송에 대한 규제는 콘텐츠계층과 전송계층에 대한 분리규제로 나가야 한다. 이 경우에도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에 대한 이러한 규제는 헌법상 방송의 자유보장과 공적ㆍ사적 의사형성을 통한 민주적 기본질서에 이바지한다는 방송의 공적인 기능에 부합되는 방향에서의 절차와 제도를 통한 규제라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번역하기

      기술의 발달은 방송과 통신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융합화 시켰으며 이에 따른 규제법체계의 변혁을 초래하였다. 종래의 수직적 규제체계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융합화가 이...

      기술의 발달은 방송과 통신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융합화 시켰으며 이에 따른 규제법체계의 변혁을 초래하였다. 종래의 수직적 규제체계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융합화가 이루어져 더 이상 기존의 입법을 통한 규제가 곤란하게 되었고 수평적 규제체계에 따른 법체계의 정비 및 입법이 논의되게 되었고 세계의 각국은 방송ㆍ통신의 법제도의 형성에서 이러한 추세의 과정에 놓여있다.
      수평적 규제체계의 큰 흐름속에서 하나의 중대한 문제가 지상파방송에 대한 규제의 문제이며 이 경우 지상파방송에 대한 규제는 콘텐츠계층과 전송계층에 대한 규제를 분리시켜 고려되어야 하고 이 경우 각각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을 분리해 각각의 설립의 목적에 부합되는 범위내에서 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영방송의 콘텐츠계층에 대한 허용은 공영방송의 기본공급의무와 존속 및 발전보장의 범위속에서 폭넓게 인정되어야 하지만 공영방송의 법적 성격을 본질적으로 침해하는 방송외의 사업으로의 확장은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전송계층에의 진입 및 운영에 있어서도 공영방송은 방송의 공적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
      민영방송의 경우는 공영방송과 다르다. 민영방송은 공영방송보다 법리적인 측면에서 콘텐츠계층과 전송계층에 대한 진입 및 운영에 있어서 훨씬 더 포괄적이고 개방적인 성격을 가진다. 다만 방송의 특수한 영향력으로 인해 시장지배적인 여론형성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여론독과점의 규제 및 제한에 기속되며 설립의 근거인 상법상의 규제에 기속되게 된다.
      결론적으로 수평적 규제체계하에서의 지상파방송에 대한 규제는 콘텐츠계층과 전송계층에 대한 분리규제로 나가야 한다. 이 경우에도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에 대한 이러한 규제는 헌법상 방송의 자유보장과 공적ㆍ사적 의사형성을 통한 민주적 기본질서에 이바지한다는 방송의 공적인 기능에 부합되는 방향에서의 절차와 제도를 통한 규제라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s been a convergence in the area of soft and hardwear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broadcastings and telecommunications and it has caused the paradigmatic change of legal system. With the unexpected convergence, the traditional legal regulation system to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has lost its effective regulation and there needed a new legal regulative system. It is a new tendency on our current society.
      The newly needed legal regulative system is expected especially in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In this case the regulative system is applied with the different platform, named contents and transmission platform. At the same time this regulation is applied with the different density between public and private broadcasting system each other.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is limites its competent to the guarantee of basic and development(Grund- und Entwicklungsgarantie) in the area of contents platform and is not allowed its competent which is not suitable with the goal of public broadcasting system. In addition to the contents platform,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has the competent to the in and out of the transmission platform market which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al of public broadcasting system.
      To the contrast with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the private broadcasting has a different situation. The private broadcasting has a broad competent in the area of contents and transmission platform. But the private broadcasting is ruled by the Anti Trust and Monopoly Act for the prohibiting the occupying the market of ideas.
      Consequently in the area of horizontal regulative system the legal regulation to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is divided to the contents and transmission platform. With this change of legal regulation, it is necessary to setup the regulation through the process and institution for the guarantee of freedom of market of ideas and democratic society.
      번역하기

      There has been a convergence in the area of soft and hardwear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broadcastings and telecommunications and it has caused the paradigmatic change of legal system. With the unexpected convergence, the traditional legal ...

      There has been a convergence in the area of soft and hardwear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broadcastings and telecommunications and it has caused the paradigmatic change of legal system. With the unexpected convergence, the traditional legal regulation system to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has lost its effective regulation and there needed a new legal regulative system. It is a new tendency on our current society.
      The newly needed legal regulative system is expected especially in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In this case the regulative system is applied with the different platform, named contents and transmission platform. At the same time this regulation is applied with the different density between public and private broadcasting system each other.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is limites its competent to the guarantee of basic and development(Grund- und Entwicklungsgarantie) in the area of contents platform and is not allowed its competent which is not suitable with the goal of public broadcasting system. In addition to the contents platform,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has the competent to the in and out of the transmission platform market which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al of public broadcasting system.
      To the contrast with the public broadcasting system the private broadcasting has a different situation. The private broadcasting has a broad competent in the area of contents and transmission platform. But the private broadcasting is ruled by the Anti Trust and Monopoly Act for the prohibiting the occupying the market of ideas.
      Consequently in the area of horizontal regulative system the legal regulation to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is divided to the contents and transmission platform. With this change of legal regulation, it is necessary to setup the regulation through the process and institution for the guarantee of freedom of market of ideas and democratic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수직적 규제체계에서 수평적 규제체계로의 전환
      • Ⅲ. 규제체계의 변화와 지상파방송의 기능과 활동범위
      • Ⅳ. 수평적 규제체계에서의 지상파방송에 대한 규제와 그 한계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수직적 규제체계에서 수평적 규제체계로의 전환
      • Ⅲ. 규제체계의 변화와 지상파방송의 기능과 활동범위
      • Ⅳ. 수평적 규제체계에서의 지상파방송에 대한 규제와 그 한계
      • Ⅴ. 글을 맺으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우, "통신ㆍ방송 융합시대의 수평적 규제체계 - 유럽연합과 OECD의 전송(carriage)과 콘텐츠 분리규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6

      2 최우정, "인터넷과 공영방송법인 - 공영방송법인의 기본권 행위능력을 독일 법제 중심으로"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1 (11): 331-, 2005

      3 최우정, "유럽공동체조약(EGV) 제87조의 보조금 금지와 방송수신료 부과의 정당성 : 방송·통신시장 개방시점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공사 18 (18): 243-271, 2006

      4 황 근, "수평적 규제체계에서의 공영방송 위상 및 규율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09

      5 고민수, "방송통신융합시대의 심의제도: EU에서의 수평적 규율체계논의에 관한 헌법학적 분석" (사)한국언론법학회 8 (8): 73-96, 2009

      6 노기영, "방송통신 통합법 제정의 방향과 쟁점 토론문" 2 (2): 2009

      7 이상우, "방송통신 융합환경하의 수평적 규제체계 정립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

      8 김 규, "디지털시대의 방송미디어" 나남 2005

      9 Neun, A., "Öffentlich-rechtlicher Rundfunk: Grenzen des Wachstums" Duncker & Humblot 2002

      10 Degenhart, C., "Öffentlich-rechtlicher Rundfunk und Freizeitparks" Recht und Wirtschaft 2001

      1 이상우, "통신ㆍ방송 융합시대의 수평적 규제체계 - 유럽연합과 OECD의 전송(carriage)과 콘텐츠 분리규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6

      2 최우정, "인터넷과 공영방송법인 - 공영방송법인의 기본권 행위능력을 독일 법제 중심으로"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1 (11): 331-, 2005

      3 최우정, "유럽공동체조약(EGV) 제87조의 보조금 금지와 방송수신료 부과의 정당성 : 방송·통신시장 개방시점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공사 18 (18): 243-271, 2006

      4 황 근, "수평적 규제체계에서의 공영방송 위상 및 규율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09

      5 고민수, "방송통신융합시대의 심의제도: EU에서의 수평적 규율체계논의에 관한 헌법학적 분석" (사)한국언론법학회 8 (8): 73-96, 2009

      6 노기영, "방송통신 통합법 제정의 방향과 쟁점 토론문" 2 (2): 2009

      7 이상우, "방송통신 융합환경하의 수평적 규제체계 정립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

      8 김 규, "디지털시대의 방송미디어" 나남 2005

      9 Neun, A., "Öffentlich-rechtlicher Rundfunk: Grenzen des Wachstums" Duncker & Humblot 2002

      10 Degenhart, C., "Öffentlich-rechtlicher Rundfunk und Freizeitparks" Recht und Wirtschaft 2001

      11 Bleckmann, A., "ffentlich-Rechtliche Spartenprogramme Als Bestandteil Der Grundversorgung? : Ein Rechtsgutachten" VISTAS 1996

      12 Lent, W., "Rundfunk-, Medien-, Teledienste" Lang 2000

      13 Seidel, N., "Privatrechtliche Beteiligung öffentlich-rechtlicher Rundfunkanstalten" ZUM 2001

      14 Schulz, W., "Perspektiven der Gewährleistung freier öffentlicher Kommunikation" Nomos Verl.-Ges 2002

      15 Jarass, H. D., "Online-Dienste und Funktionsbereich des Zweiten Deutschen Fernsehens" ZDF 1998

      16 Kibele, B., "Multimedia im Fernsehen" Beck 2001

      17 Rüfner, W., "Grundrechtsträger, In HdbStR, Bd. V" C.F.Müller 2000

      18 Bullinger, M., "Freiheit von Presse, Rundfunk und Film, In HdbStR, Bd. V" C.F.Müller 2000

      19 Herrmann, G., "Fernsehen und Hörfunk in der Verfassung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Mohr 1975

      20 Schmitt G., "Der hässliche "Kommerzfunk"" DÖV 1986

      21 Stern, K., "Das Staatsrech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d. III/1" C.H. Beck 1988

      22 v. Mangoldt, H., "Das Bonner Grundgesetz : Kommentar Bd. 1(4 Aufl.)" F. Vahlen 1999

      23 Vesting, T., "Beck'scher Kommentar zum Rundfunkrecht" C. H. Beck 2008

      24 Isensee, J., "Anwendung der Grundrechte auf juristische Personen, In HdbStR, Bd. V" C.F.Müller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1 1.67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