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실크로드의 민속문화적인 위상과 의미 = The Ethno-cultural Status and Meaning of the Silk Roa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70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의 교류는 공간적인 변화이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공간과 공간의 소통은 나들목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모든 공간의 안과 밖의 왕래가 이루어지는 유일한 출입구다. 나들목은 마을, 지역, 국가 등의 공간 규모에 따라 나누어진다. 이러한 나들목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것이 바로 길이다. 길은 육로, 초원로, 해로, 항로 등으로 구분된다. 전통시대의 길은 육로나 초원로 혹은 해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길 가운데 문명교류의 상징으로 실크로드를 언급한다. 나무꾼과 선녀설화의 형성과정을 보면 몽고의 곡녀설화(鵠女說話)가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유입되어 견우와 직녀설화로 변형되고, 그것이 다시 한국으로 전파되면서 나무꾼과 선녀설화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바리공주설화는 우즈베키스탄에서 발견된 설화와 유사한데, 이것은 한국의 바리공주설화와 실크로드 지역에 전승되는 설화와 관계성을 암시하고 있다. 줄타기는 서역으로부터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전파되고 그것이 다시 최소한 고려시대 이전에 우리나라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장치기는 페르시아로부터 발원한 격구가 터어키를 통해 중국(당나라)에 전파되고, 다시 한국(삼국시대)으로 전파되어 무인들의 무예 연마용으로 성행하다가 조선 중기 이후에 민간화된 놀이이다. 또한 사자놀이는 인도로부터 발원하여 서역의 구자국에 전파되고, 다시 한나라 때에 중국에 들어와 수당시대에 이 놀이가 중국 각지에서 성행되었으며, 그것이 신라에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실크로드는 설화의 전파 통로라는 점에서 설화문학적인 의미가 있고, 민속연희의 기원과 전파통로이기도 하기 때문에 민속예술사적인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문화의 교류는 공간적인 변화이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공간과 공간의 소통은 나들목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모든 공간의 안과 밖의 왕래가 이루어지는 유일한 출입구다. 나들목은 마을, 지역...

      문화의 교류는 공간적인 변화이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공간과 공간의 소통은 나들목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모든 공간의 안과 밖의 왕래가 이루어지는 유일한 출입구다. 나들목은 마을, 지역, 국가 등의 공간 규모에 따라 나누어진다. 이러한 나들목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것이 바로 길이다. 길은 육로, 초원로, 해로, 항로 등으로 구분된다. 전통시대의 길은 육로나 초원로 혹은 해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길 가운데 문명교류의 상징으로 실크로드를 언급한다. 나무꾼과 선녀설화의 형성과정을 보면 몽고의 곡녀설화(鵠女說話)가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유입되어 견우와 직녀설화로 변형되고, 그것이 다시 한국으로 전파되면서 나무꾼과 선녀설화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바리공주설화는 우즈베키스탄에서 발견된 설화와 유사한데, 이것은 한국의 바리공주설화와 실크로드 지역에 전승되는 설화와 관계성을 암시하고 있다. 줄타기는 서역으로부터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전파되고 그것이 다시 최소한 고려시대 이전에 우리나라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장치기는 페르시아로부터 발원한 격구가 터어키를 통해 중국(당나라)에 전파되고, 다시 한국(삼국시대)으로 전파되어 무인들의 무예 연마용으로 성행하다가 조선 중기 이후에 민간화된 놀이이다. 또한 사자놀이는 인도로부터 발원하여 서역의 구자국에 전파되고, 다시 한나라 때에 중국에 들어와 수당시대에 이 놀이가 중국 각지에서 성행되었으며, 그것이 신라에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실크로드는 설화의 전파 통로라는 점에서 설화문학적인 의미가 있고, 민속연희의 기원과 전파통로이기도 하기 때문에 민속예술사적인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thno-cultural Status and
      Meaning of the Silk Road


      Pyo, In-ju


      The folk tale of 'A Woodman and a Nymph,' which was originally created around Lake Baikal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China. And the tale of ‘Princess Bari’ may have to do with a tale handed down in the area of the Silk Road.
      Jultagi, or ‘walking on the rope’ was brought into Korea during the era of Koryeo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via the Silk Road. And Jangchigi, or ‘hitting a ball with a stick' became a popular folk game since the mid of Chosun Dynasty, which was evolved from Gyeoggu. Gyeoggu came into Korea during the era of Three Kingdoms from Tang through Persia and Turkey. And Sajanori, or 'Playing Lions' seemed to come to the Kingdom of Shilla from Han through India and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번역하기

      The Ethno-cultural Status and Meaning of the Silk Road Pyo, In-ju The folk tale of 'A Woodman and a Nymph,' which was originally created around Lake Baikal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China. And the tale of ‘Princess Bari’ may have to do ...

      The Ethno-cultural Status and
      Meaning of the Silk Road


      Pyo, In-ju


      The folk tale of 'A Woodman and a Nymph,' which was originally created around Lake Baikal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China. And the tale of ‘Princess Bari’ may have to do with a tale handed down in the area of the Silk Road.
      Jultagi, or ‘walking on the rope’ was brought into Korea during the era of Koryeo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via the Silk Road. And Jangchigi, or ‘hitting a ball with a stick' became a popular folk game since the mid of Chosun Dynasty, which was evolved from Gyeoggu. Gyeoggu came into Korea during the era of Three Kingdoms from Tang through Persia and Turkey. And Sajanori, or 'Playing Lions' seemed to come to the Kingdom of Shilla from Han through India and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장식, "한몽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비교연구 비교연구를 통한 한국민속과 동아시아" 화천최인학선생고희기념논총간행위회 2004

      2 소재영, "한국설화문학연구" 숭전대학교 출판부. 1984

      3 최상수, "한국민족전설의 연구" 1985

      4 손진태, "한국민족설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54

      5 최인학, "한국민속학새로읽기" 민속원 2001

      6 "한국 형제투금 설화 연구 비교연구를 통한 한국민속과 동아시아" 화천최인학선생고희기념논총간행위회 2004

      7 이호승, "한국 줄타기 재담 연구" 한국민속학회 44 : 403-436, 2006

      8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5

      9 정형호, "한국 격구의 역사적 전승과 변모양상" 국제아세아민속학회 3 : 127 -, 2006

      10 위망호樓望皓, "중국신강민속" 신강미화촬영출판사 2006

      1 장장식, "한몽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비교연구 비교연구를 통한 한국민속과 동아시아" 화천최인학선생고희기념논총간행위회 2004

      2 소재영, "한국설화문학연구" 숭전대학교 출판부. 1984

      3 최상수, "한국민족전설의 연구" 1985

      4 손진태, "한국민족설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54

      5 최인학, "한국민속학새로읽기" 민속원 2001

      6 "한국 형제투금 설화 연구 비교연구를 통한 한국민속과 동아시아" 화천최인학선생고희기념논총간행위회 2004

      7 이호승, "한국 줄타기 재담 연구" 한국민속학회 44 : 403-436, 2006

      8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5

      9 정형호, "한국 격구의 역사적 전승과 변모양상" 국제아세아민속학회 3 : 127 -, 2006

      10 위망호樓望皓, "중국신강민속" 신강미화촬영출판사 2006

      11 심형철, "중국 하사커족의 띠야오양과 꾸냥 R이 비교 연구" 국제아세아민속학회 3 : 272-, 2006

      12 박순호, "줄타기에 대하여" 1989

      13 심우성, "줄타기(중요무형문화재 제58호)" 화산문화 2000

      14 "조선민속탈놀이연구" 과학원출판사. 1958

      15 정수일, "실크로드의 개념과 확대 실크로드와 동서문명교류" 전남대학교 박물관 2006

      16 이정재, "실크로드 신화 <애견이여 춤춰라>와 한국 무가 <바리공주>의 비교 연구" 한국민속학회 43 : 387-417, 2006

      17 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 민속원 1998

      18 히구찌 아쯔시口淳, "민담의 국제 비교 비교연구를 통한 한국민속과 동아시아" 화천최인학선생고희기념논총간행위회 2004

      19 성기열, "민담 ‘선녀와 나뭇꾼’의 한일 비교 인문과학연구소 논문집8호 인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25-, 1982

      20 이호승, "동아시아 줄타기의 역사와 연희양상" 비교민속학회 (32) : 275-308, 2006

      21 배원룡, "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 문당. : 1993

      22 "금강산 선녀설화 연구 효성여대 연구논문집 제1집" 1969pp.196~2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 Institute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19-06-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 -> 호남학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 The Journal of Honam Stud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2009-06-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8-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호남문화연구소 -> 호남학연구원
      영문명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Culture Research Center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am Study Center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0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