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월드컵관련 광고에 나타난 한국의 문화적 가치들(한문화, 한심리)을 규명하고, 한국문화의 지배적 담론을 밝히려는데 있다. 월드컵관련 광고에 내포된 한국의 문화적 가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62903
2003
Korean
한국의 문화적 가치 ; 한 ; 정 ; 우리성 ; 한풀이 ; Korean cultural values ; han ; chung ; weness ; healing han
KCI등재
학술저널
239-26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월드컵관련 광고에 나타난 한국의 문화적 가치들(한문화, 한심리)을 규명하고, 한국문화의 지배적 담론을 밝히려는데 있다. 월드컵관련 광고에 내포된 한국의 문화적 가치...
본 연구의 목적은 월드컵관련 광고에 나타난 한국의 문화적 가치들(한문화, 한심리)을 규명하고, 한국문화의 지배적 담론을 밝히려는데 있다. 월드컵관련 광고에 내포된 한국의 문화적 가치는 한, 정, 우리성 이었다. 이 개념들은 배타적인 개념이 아닌 상호의존적인 복합적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통합적 차원에서 일련의 광고들은 하나의 신화(지배적 담론)인 ‘한국적인 집단적 한풀이(한의 토로, 한의 수용, 한의 초월 과정)’를 재현하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cultural values-han culture, han psychology-and to reveal dominant Korean discourse in ads are associated with World Cup. The cultural values of Korea were han, chung, weness. These concepts were used 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cultural values-han culture, han psychology-and to reveal dominant Korean discourse in ads are associated with World Cup. The cultural values of Korea were han, chung, weness. These concepts were used as a interdependent complex concept not exclusive one. A series of ads reappeared a myth, which is 'healing of han -the process of revealing, accepting and transcending han- through collective Korean styl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