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학습은 교사의 치밀한 단계별 수업 전략과 설계에 따른 교실 수업활동이다. 먼저 교사가 주제를 선정하고 조사연구의 방향과 포인트에 초점을 맞추어 제시한 학습 활동 유인물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09091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28(14쪽)
1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프로젝트 학습은 교사의 치밀한 단계별 수업 전략과 설계에 따른 교실 수업활동이다. 먼저 교사가 주제를 선정하고 조사연구의 방향과 포인트에 초점을 맞추어 제시한 학습 활동 유인물을 ...
프로젝트 학습은 교사의 치밀한 단계별 수업 전략과 설계에 따른 교실 수업활동이다. 먼저 교사가 주제를 선정하고 조사연구의 방향과 포인트에 초점을 맞추어 제시한 학습 활동 유인물을 근거로 그룹별로 문헌자료와 텍스트, 인터넷 등의 여러 자료를 수집하고 여기서 추출한 정보와 지식들을 학생들의 자율적인 토의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결과를 이끌어낸다. 그리고 학생들은 발표와 평가에 대비한 평가 기준에 따라 자신들이 조사한 것을 여러 방식을 통해 하나의 작품을 만들어낸다. 특히 학생들은 하나의 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리 조사괴정에서 문제를 맥락적으로 사고하고 그에 따른 해결 가능성을 스스로 찾아가며 그 속에서 최선의 해결 방안을 선택하려고 한다. 결국 선택을 위한 괴정과 판단을 자기 주도적으로 이루어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의 사고를 끊임 없이 생성하고 만들어가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학생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러한 문제 해결의 선택적 다양성이 격려되고 인정받는 교실은 다양한 생각과 가치를 인정하는 이른바 다양성이 상호 작용하는 교실문화로 나아가게 된다. 이상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실수업의 프로젝트 수행괴정을 관찰한 본 연구는 우리 현장 교실 수업의 진전을 모색하는데 있어 하나의 길잡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a case of project study in the social studi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America which seems to give suggestions as to how to qualitatively improve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Korea. A project study is a classroom activity depend...
This paper discusses a case of project study in the social studi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America which seems to give suggestions as to how to qualitatively improve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Korea. A project study is a classroom activity depending on the teacher's sophisticated step-by-step strategies and planning. The teacher decide on a subject and collect class materials appropriate for the purpose and focus of the inquiry. Based on these materials, student groups search for relevant literature, texts, or a variety of documents in the internet and from them draw a conclusion through active discussions. As a result of the project, students make a piece of work representing their inquiry using various techniques, considering the presentations and evaluations. The students' approach to the issues with objective evidences, not with their subjective judge, signifies the progress of critical thinking in them. Students do not pursue for an answer; but they try to think in context, explore for the possi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choose the best way from diverse alternatives. Diversity of students' choice is encouraged and respected. This consideration becomes a classroom culture of interactive divers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웅영,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의 종류와 성격"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47-72, 2005
2 윤택림,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4
3 김영천, "네 학교 이야기: 한국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문음사 2004
4 이종일, "과정 중심 사회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1
5 Rosenblatt,L, "The reader, the text, the poem. in The Transaction Theory of the Literature Work" Southern Illinois Press 1978
6 Levstik,L,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response and narrative in a sixth grade classroom" 14 : 1-19, 1986
7 Levstik, L,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understanding" 21 : 1-15, 1987
8 Levstik, L, "Doing History" Lawrence Erlbam Associates, Inc. 2005
9 Garrison,W, "Democracy, experience, and education: promoting a continued capacity for growth" 84 (84): 525-529, 2003
10 Groth, J. L, "Arts alive in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thinking" 61 : 42-44, 1997
1 주웅영,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의 종류와 성격"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47-72, 2005
2 윤택림,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4
3 김영천, "네 학교 이야기: 한국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문음사 2004
4 이종일, "과정 중심 사회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1
5 Rosenblatt,L, "The reader, the text, the poem. in The Transaction Theory of the Literature Work" Southern Illinois Press 1978
6 Levstik,L,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response and narrative in a sixth grade classroom" 14 : 1-19, 1986
7 Levstik, L,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understanding" 21 : 1-15, 1987
8 Levstik, L, "Doing History" Lawrence Erlbam Associates, Inc. 2005
9 Garrison,W, "Democracy, experience, and education: promoting a continued capacity for growth" 84 (84): 525-529, 2003
10 Groth, J. L, "Arts alive in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thinking" 61 : 42-44, 1997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왜곡과 검정 및 채택 제도의 변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21 | 1.269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