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복장(佛腹藏) 문헌 자료의 표기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Spelling of Remains inside the Abdomen of Buddha Stat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69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mains inside the abdomen of Buddha statues refer to the all remains such as sutras and documents settled inside the abdomen of Buddha statutes.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studying the spelling method used in mantras of those Buddhist remains of some 300 items, with special attention paid to single leaflets mantras and literatures.
      Among the remains found inside the abdomen of Buddha statures, single leaflet mantras account for the largest number. They are stuffed into the inner hollow areas of statues for practical preservatory purpose and for religious reasons. Some 160 kinds of single leaflet mantras were examined to find that most of them were written in Silldham and that the contents were from 寶篋眞言, 大佛頂首楞嚴神呪, 六字大明王眞言, and so on.
      Among the literatures with mantras inscribed, representatives were the 佛頂心觀世音菩薩 大多羅尼經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the 佛頂心觀世音姥多羅尼經 with Sanskrit and Korean co-inscribe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結印法室 inscribed only in Korean. These documents are characterized of being deviated from the original Sanskrit pronunciation as they were spelt close to actual reciting pronunciation.
      번역하기

      Remains inside the abdomen of Buddha statues refer to the all remains such as sutras and documents settled inside the abdomen of Buddha statutes.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studying the spelling method used in mantras of those Buddhist remains of so...

      Remains inside the abdomen of Buddha statues refer to the all remains such as sutras and documents settled inside the abdomen of Buddha statutes.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studying the spelling method used in mantras of those Buddhist remains of some 300 items, with special attention paid to single leaflets mantras and literatures.
      Among the remains found inside the abdomen of Buddha statures, single leaflet mantras account for the largest number. They are stuffed into the inner hollow areas of statues for practical preservatory purpose and for religious reasons. Some 160 kinds of single leaflet mantras were examined to find that most of them were written in Silldham and that the contents were from 寶篋眞言, 大佛頂首楞嚴神呪, 六字大明王眞言, and so on.
      Among the literatures with mantras inscribed, representatives were the 佛頂心觀世音菩薩 大多羅尼經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the 佛頂心觀世音姥多羅尼經 with Sanskrit and Korean co-inscribe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結印法室 inscribed only in Korean. These documents are characterized of being deviated from the original Sanskrit pronunciation as they were spelt close to actual reciting pronunci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우영, "念佛普勸文의 表記와 音韻" 동악어문학회 1996

      2 심재기, "한자의 진언음사에 대하여" 1976

      3 안병희, "한글판 <오대진언>에 대하여" 1987

      4 김동소, "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1998

      5 최세화, "초성 합용병서에 대한 두 가지 단상" 1983

      6 정 각, "천수경 연구" ^운주사 1996

      7 양주동, "증정 고가연구" 1942/1965

      8 안주호, "만연사본 <진언집>의 표기법 연구" 133 : 2003

      9 남풍현, "국어사를 위한 구결 연구" 태학사 1999

      10 남권희, "고려시대 기록문화 연구" 청주고인쇄박물관 2000

      1 정우영, "念佛普勸文의 表記와 音韻" 동악어문학회 1996

      2 심재기, "한자의 진언음사에 대하여" 1976

      3 안병희, "한글판 <오대진언>에 대하여" 1987

      4 김동소, "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1998

      5 최세화, "초성 합용병서에 대한 두 가지 단상" 1983

      6 정 각, "천수경 연구" ^운주사 1996

      7 양주동, "증정 고가연구" 1942/1965

      8 안주호, "만연사본 <진언집>의 표기법 연구" 133 : 2003

      9 남풍현, "국어사를 위한 구결 연구" 태학사 1999

      10 남권희, "고려시대 기록문화 연구" 청주고인쇄박물관 2000

      11 남권희, "고려말에서 조선중기까지의 구결자료에 관한 서지학적 연구" 27 : 1997

      12 최세화, "漢譯 般若心經 音譯語의 讀誦音에 대하여" 1992

      13 정태혁, "千手觀音 陀羅尼의 硏究" 1988

      14 안병희, "十五世紀의 漢字音 한글表記에 대하여" 1971

      15 안병희, "別行錄節要諺解에 대하여" 1985

      16 안주호, "<진언권공ㆍ삼단시식문 언해>의 진언표기방식 연구" 40 : 2002

      17 안병희, "<月印釋譜>의 編刊과 異本" 1992

      18 남권희, "12세기 간행의 불교자료에 관한 연구" 17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