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트라우마 치유경험 = Trauma Healing Experience through Psychodrama for Domestic Violence Victims with Suicidal Ide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2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trauma healing experience through psychodrama for domestic violence victims with suicidal thoughts.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trauma healing experience for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who have suicidal thoughts in psychodrama?’ The study participants are the women victims who were admitted to the domestic violence victim protection facility from April 2021 till April 2022.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use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ranscripts of six psychodrama sessions and the in-depth interview after they left the facility. As result, 6 categories and 21 subcategories were drawn for the trauma healing experiences of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with suicidal ideation. Six categories are ‘I want to escape painful marriage life’, ‘Leave the mess and make a stepping stone’, ‘Shake off accumulated emotions and step forward for recovery’, ‘Bring out the love that has been left behind’, ‘Regain normal daily life with help from acquaintances and family', and ‘Healing times that relieved regret from the heart and refresh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ult identified the healing factors, and can be considered for programs to help overcome trauma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trauma healing experience through psychodrama for domestic violence victims with suicidal thoughts.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trauma healing experience for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who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trauma healing experience through psychodrama for domestic violence victims with suicidal thoughts.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trauma healing experience for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who have suicidal thoughts in psychodrama?’ The study participants are the women victims who were admitted to the domestic violence victim protection facility from April 2021 till April 2022.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use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ranscripts of six psychodrama sessions and the in-depth interview after they left the facility. As result, 6 categories and 21 subcategories were drawn for the trauma healing experiences of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with suicidal ideation. Six categories are ‘I want to escape painful marriage life’, ‘Leave the mess and make a stepping stone’, ‘Shake off accumulated emotions and step forward for recovery’, ‘Bring out the love that has been left behind’, ‘Regain normal daily life with help from acquaintances and family', and ‘Healing times that relieved regret from the heart and refresh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ult identified the healing factors, and can be considered for programs to help overcome trauma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치유경험을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이코드라마를 통안 트라우마 치유 경험을 어떠한가?’이다. 자료 수집은 2021년 4월부터 2022년 4월까지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입소 여성을 대상으로 6회 사이코드라마 실연한 녹취록과 퇴소 후 진행된 심층면담 자료를 질적 사례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트라우마 치유 경험은 6개의 범주와 21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그 범주는 ‘벗어나고파, 고통스러운 결혼생활’, ‘난장판을 떠나 시작의 발판 만들기’, ‘쌓인 감정을 털어버리고 회복을 위한 발돋움’, ‘묵혀둔 사랑을 꺼내 감사하기’, ‘지인과 가족의 도움으로 되찾은 평범한 일상’, ‘속 시원함과 억울함을 풀어준 치유의 시간들’ 등이었다.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트라우마 치유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치유적인 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향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치유경험을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이...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치유경험을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이코드라마를 통안 트라우마 치유 경험을 어떠한가?’이다. 자료 수집은 2021년 4월부터 2022년 4월까지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입소 여성을 대상으로 6회 사이코드라마 실연한 녹취록과 퇴소 후 진행된 심층면담 자료를 질적 사례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트라우마 치유 경험은 6개의 범주와 21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그 범주는 ‘벗어나고파, 고통스러운 결혼생활’, ‘난장판을 떠나 시작의 발판 만들기’, ‘쌓인 감정을 털어버리고 회복을 위한 발돋움’, ‘묵혀둔 사랑을 꺼내 감사하기’, ‘지인과 가족의 도움으로 되찾은 평범한 일상’, ‘속 시원함과 억울함을 풀어준 치유의 시간들’ 등이었다.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트라우마 치유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치유적인 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향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옥, "한국 성인의 성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 분석"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9 (39): 161-175, 2014

      2 Kellerman P. F., "트라우마 생존자들과의 심리극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하 행동" 학지사 2008

      3 Herman, J., "트라우마" 플래닛 2007

      4 "통계청"

      5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2010

      6 김지훈 ; 김경호, "자살생각과 자살계획에 관련된 유발변인의 영향력 분석: 심리상태와 가족관련 변인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5 (25): 246-272, 2013

      7 김지훈 ; 김경호, "자살생각,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와 관련된 유발요인의 영향력 분석: 6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44-360, 2018

      8 "여성가족부"

      9 조성희, "사이코드라마가 가정폭력 피해자의 변화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12 (12): 1-10, 2009

      10 박진아 ; 성은옥, "사이코드라마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존감, 안녕감,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1 (21): 1-12, 2018

      1 박은옥, "한국 성인의 성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 분석"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9 (39): 161-175, 2014

      2 Kellerman P. F., "트라우마 생존자들과의 심리극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하 행동" 학지사 2008

      3 Herman, J., "트라우마" 플래닛 2007

      4 "통계청"

      5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2010

      6 김지훈 ; 김경호, "자살생각과 자살계획에 관련된 유발변인의 영향력 분석: 심리상태와 가족관련 변인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5 (25): 246-272, 2013

      7 김지훈 ; 김경호, "자살생각,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와 관련된 유발요인의 영향력 분석: 6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44-360, 2018

      8 "여성가족부"

      9 조성희, "사이코드라마가 가정폭력 피해자의 변화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12 (12): 1-10, 2009

      10 박진아 ; 성은옥, "사이코드라마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존감, 안녕감,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1 (21): 1-12, 2018

      11 최헌진, "사이코드라마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12 김보미 ; 유성은,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들의 사회적 유대감, 정서 조절과 자살 생각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731-748, 2012

      13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14 강희숙, "가정폭력피해여성들의 심리극에의한 자아존중감 효과와 심리극 경험에 관한 연구" 8 (8): 173-188, 2005

      15 유영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정적-부적 정서, 무망감, 자살생각에 대한 반구조화 인간중심 집단상담의 개입 효과" 한국가족학회 23 (23): 41-66, 2011

      16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17 Kellermann, P. F., "Focus on Psychodrama : the therapeutic aspects of psychodram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992

      18 Hoff, L. A., "Battered Womaen as Survivors" Routledge 1990

      19 Beck, A. T., "Assessment of Suicidal Ideation :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47 (47): 343-352,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