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와대 국민청원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Blue House pet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68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lue House Petition System utilizes the attributes of play to enhanc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nd to attract participation that is the basis of communication. The expansion of participation through Blue House Petition System does not guarantee rational decision making, but plays a positive role in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strengthening direct democracy.
      Thus, the substance of populism is political disaffection, In other words, people treat political disaffection as populism. In addition, the petitioners project their disaffection upon the petition of the Blue House, but this is not linked with a populist because the independent variable on petitioners’ attitudes toward populism and the populist is not valid in the test. On the contrary,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e demand for political participation between Korean citizens is strongly formed and projected into the Blue House petition.
      This can be confirmed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South Korea recently. Citizens’ voices reflected through ‘Cheong Wa Dae’s petition democracy threaten the various devices of the rule of law, especially the separation of power. However, the tension between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is not new. From the beginning, their relationship is very ambivalent. This was precisely what German public law professor Carl Schmitt had captured.
      A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petition law,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of the petition act. On the subject side, the object of petition limited to n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expanded and reflected, and the e-petition system should reflect the change of the times.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that play can be a catalyst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by promoting public participation in politics do.
      번역하기

      Blue House Petition System utilizes the attributes of play to enhanc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nd to attract participation that is the basis of communication. The expansion of participation through Blue House Petition System does not guarantee r...

      Blue House Petition System utilizes the attributes of play to enhanc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nd to attract participation that is the basis of communication. The expansion of participation through Blue House Petition System does not guarantee rational decision making, but plays a positive role in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strengthening direct democracy.
      Thus, the substance of populism is political disaffection, In other words, people treat political disaffection as populism. In addition, the petitioners project their disaffection upon the petition of the Blue House, but this is not linked with a populist because the independent variable on petitioners’ attitudes toward populism and the populist is not valid in the test. On the contrary,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e demand for political participation between Korean citizens is strongly formed and projected into the Blue House petition.
      This can be confirmed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South Korea recently. Citizens’ voices reflected through ‘Cheong Wa Dae’s petition democracy threaten the various devices of the rule of law, especially the separation of power. However, the tension between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is not new. From the beginning, their relationship is very ambivalent. This was precisely what German public law professor Carl Schmitt had captured.
      A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petition law,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of the petition act. On the subject side, the object of petition limited to n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expanded and reflected, and the e-petition system should reflect the change of the times.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that play can be a catalyst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by promoting public participation in politics d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민청원제도는 정부가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소통의 기본이 되는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국민청원제도를 통한 참여의 확대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고 직접민주주의를 강화하는데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청와대의 청원민주주의를 통해 반영된 시민들의 목소리가 법치주의의 여러 장치들, 특히 권력분립원리를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런데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관계는 아주 새로운 것은 아니다.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는상호관계를 맺기 때문이다. 칼 슈미트(C. Schmitt)는 합법성과 정당성의 대립관계를보여줌으로써 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음을 지적한 바 있다.
      청원법은 형식적 측면에서 문서로만 제한하는 청원방법을 철폐하여 청원법의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대상적 측면에서는 국가기관 등으로 한정하고 있는 청원대상을확대ㆍ개편해야 하며 e-청원제도 등 시대변화를 반영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정부가 국민과의 소통의 기회를 늘리는 데 힘써야 하며, 제도적 보완을 통해서 청와대 국민청원이 대중의 정치 참여를 촉진하고 양자간의 소통을 원활히 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필자는 궁극적으로 국회중심의 청원제도 형성을 기대하고 있다. 헌법은 국민이 청원권을 행사할 수 있는 대상기관으로 ‘국가기관’이라고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공적 성격의 민원이 청원의 주 대상인 점을 고려할 때, 그 주 대상은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국민청원제도는 정부가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소통의 기본이 되는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국민청원제도를 통한 참여의 확대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보장하는 것은 아니...

      국민청원제도는 정부가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소통의 기본이 되는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국민청원제도를 통한 참여의 확대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고 직접민주주의를 강화하는데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청와대의 청원민주주의를 통해 반영된 시민들의 목소리가 법치주의의 여러 장치들, 특히 권력분립원리를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런데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관계는 아주 새로운 것은 아니다.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는상호관계를 맺기 때문이다. 칼 슈미트(C. Schmitt)는 합법성과 정당성의 대립관계를보여줌으로써 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음을 지적한 바 있다.
      청원법은 형식적 측면에서 문서로만 제한하는 청원방법을 철폐하여 청원법의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대상적 측면에서는 국가기관 등으로 한정하고 있는 청원대상을확대ㆍ개편해야 하며 e-청원제도 등 시대변화를 반영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정부가 국민과의 소통의 기회를 늘리는 데 힘써야 하며, 제도적 보완을 통해서 청와대 국민청원이 대중의 정치 참여를 촉진하고 양자간의 소통을 원활히 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필자는 궁극적으로 국회중심의 청원제도 형성을 기대하고 있다. 헌법은 국민이 청원권을 행사할 수 있는 대상기관으로 ‘국가기관’이라고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공적 성격의 민원이 청원의 주 대상인 점을 고려할 때, 그 주 대상은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6

      2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7

      3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6

      4 김동희, "행정법 I" 박영사 2017

      5 장훈, "촛불의 정치와 민주주의 이론: 현실과 이론, 사실과 가치의 긴장과 균형"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3 (23): 37-66, 2017

      6 김성배, "청원권의 기원과 청원법의 개선방향"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3 (23): 179-216, 2017

      7 기여운, "청원권, 청원제도와 로비활동의 합법적 규제 : 한국과 미국의 청원권 발전과정 비교" 사회과학연구원 45 (45): 101-126, 2019

      8 이상수, "청원권 이론의 재구성" 민주주의법학연구회 (34) : 169-195, 2007

      9 이수형, "청와대 국민청원, '중복 투표 문제' … '조작' 발견"

      10 이승원, "청와대 국민청원 참여요인 분석: 포퓰리즘인가, 정치효능감인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3 (33): 111-141, 2018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6

      2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7

      3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6

      4 김동희, "행정법 I" 박영사 2017

      5 장훈, "촛불의 정치와 민주주의 이론: 현실과 이론, 사실과 가치의 긴장과 균형"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3 (23): 37-66, 2017

      6 김성배, "청원권의 기원과 청원법의 개선방향"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3 (23): 179-216, 2017

      7 기여운, "청원권, 청원제도와 로비활동의 합법적 규제 : 한국과 미국의 청원권 발전과정 비교" 사회과학연구원 45 (45): 101-126, 2019

      8 이상수, "청원권 이론의 재구성" 민주주의법학연구회 (34) : 169-195, 2007

      9 이수형, "청와대 국민청원, '중복 투표 문제' … '조작' 발견"

      10 이승원, "청와대 국민청원 참여요인 분석: 포퓰리즘인가, 정치효능감인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3 (33): 111-141, 2018

      11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12 이종혁, "직접 소통 주체 청와대 아닌 정책부처로" (여름) : 2019

      13 김효중, "조선 공론정치 원형...만인의 청원 ‘만인소’ 세계기록유산으로"

      14 윤성이, "정보사회 참여민주주의 확대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연구"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5

      15 박재창, "영국의 전자의회 운영현황" 국회도서관 2003

      16 정재황, "신헌법입문" 박영사 2016

      17 김주희, "시민 정치참여의 제도화: 독일의 e-청원 사례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소 32 (32): 1-19, 2018

      18 박원호, "송경재 김주희, 시민참여와 상향식 입법제도-참여와 거버넌스의 새로운 모색"

      19 정충식, "선진국의 사례를 통한 전자의정의 가능성 모색 - 미국과 영국의 최근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1 (11): 169-195, 2005

      20 양천수, "민주적 법치국가의 내적 갈등" 법학연구원 28 (28): 271-305, 2018

      21 최정인, "국회 청원제도 개선 관련"

      22 정성전, "국민청원제도의 놀이적 속성과 정치 참여에 관한 고찰"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12) : 131-152, 2018

      23 최형진, "“아이디 12개로 서명하고 왔습니다” 靑낙태죄 폐지 청원 중복투표 논란"

      24 오달란, "‘페미니즘 의무교육’ 국민청원 20만 돌파…중복 부정투표 논란 재점화"

      25 김성배, "e-청원제도와 법적 쟁점" 한국공법학회 46 (46): 91-129, 2017

      26 Betz, H., "Festschrift für Hans Hanisch" Heymann 1994

      27 Ralf Lindner Ulrich Riehm, "Electronic Petitions ans Institutional Modernization" 1 (1): 1-11, 2009

      28 Knud Böhle Ulrich Riehm, "E-petition system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bout institutional challenges and democratic opportunity" 18 (18): 2013

      29 Baringhorst, S., "Anti-Corporate Campaigns im Netz:Techniken und Praxen, 2007" 3 : 49-60, 2007

      30 "About We the People"

      31 "About We the People"

      32 김평정, ""靑전화 자체가 독립성 침해" 법원 부글부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6-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원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영문명 : 미등록 -> The Legal Studies Institute of Chosun Universiry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5 0.6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