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출구조사자료의 베이지안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 = A Bayesian Approach to the Analysis of Exit Poll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1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it poll is generally used to forecast the election results. In this work, we consider a Bayesian approach to the model for exit poll data. First of all, a simple model for exit poll data is supposed to derive the Bayes estimator of concerned paramet...

      Exit poll is generally used to forecast the election results. In this work, we consider a Bayesian approach to the model for exit poll data. First of all, a simple model for exit poll data is supposed to derive the Bayes estimator of concerned parameter, and the performance of Bayes estimator is compared to the one of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by means of mean squared errors. Finally, the simple model is extended to the more generalized model. Under the proposed model, The value of the Bayes estimator is found out to represent the posterior probability of winning of concerned candidate. As a results of this work, we find that the Bayes estimator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especially in the cases of intense competi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각종 선거에서 투표당일에 각 방송사에서 실시하고 있는 출구조사는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이른 시간에 해소해줄 수 있는 통계조사방법이지만 그 동안의 출구조사결과는 실망스러운 경우가...

      각종 선거에서 투표당일에 각 방송사에서 실시하고 있는 출구조사는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이른 시간에 해소해줄 수 있는 통계조사방법이지만 그 동안의 출구조사결과는 실망스러운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최근에 주로 출구조사의 계획 및 진행상의 문제에 대하여 초점을 두고 출구조사 오류의 원인분석 및 개선방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는데, 이 연구에서는 자료의 분석방법에 초점을 두고 조사자료의 분석을 기존의 빈도론적 관점이 아닌 베이지안 관점에서 수행하는 베이지안 분석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기존 방법과 비교분석이 용이한 단순모형을 설정하여 베이즈추정량을 유도하고, 그 결과를 평균제곱오차의 척도로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보았으며, 이를 일반화된 모형으로 확장하였다. 단순모형에서 베이즈추정량과 최우추정량의 성능을 비교검토해 본 결과, 이 논문에서 제안한 베이즈추정량이 전반적으로 기존의 최우추정량보다 우수한 평균제곱오차를 보였으며, 그 차이는 특히 후보자들 간의 득표율 차이가 작은 경합지역일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경호, "통계적 방법을 활용한 정치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한 웹공간 분석 - 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한국자료분석학회 7 (7): 905-916, 2005

      2 조성겸, "출구조사의 투표소 표집방안 비교" 한국조사연구학회 5 (5): 3-29, 2004

      3 류제복, "출구조사의 역사와 개선방향" 한국조사연구학회 4 (4): 2003

      4 홍내리, "제 16대 국회의원 선거의 예측조사에 대한 사후적 검증" 한국조사연구학회 2 (2): 2001

      5 김주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단위 무응답률 분석 : 사례"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725-1734, 2004

      6 최종후, "선거예측조사 의사결정유보층 분류 및 예측을 위한 의사결정나무모형의 비교와 평가" 한국자료분석학회 8 (8): 167-178, 2006

      7 김지현, "방송사 출구조사의 오차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8 김지현, "방송사 출구조사의 오차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9 최보승,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을 갖는 예비조사자료를 이용한 선거예측"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2321-2333, 2007

      1 최경호, "통계적 방법을 활용한 정치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한 웹공간 분석 - 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한국자료분석학회 7 (7): 905-916, 2005

      2 조성겸, "출구조사의 투표소 표집방안 비교" 한국조사연구학회 5 (5): 3-29, 2004

      3 류제복, "출구조사의 역사와 개선방향" 한국조사연구학회 4 (4): 2003

      4 홍내리, "제 16대 국회의원 선거의 예측조사에 대한 사후적 검증" 한국조사연구학회 2 (2): 2001

      5 김주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단위 무응답률 분석 : 사례"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725-1734, 2004

      6 최종후, "선거예측조사 의사결정유보층 분류 및 예측을 위한 의사결정나무모형의 비교와 평가" 한국자료분석학회 8 (8): 167-178, 2006

      7 김지현, "방송사 출구조사의 오차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8 김지현, "방송사 출구조사의 오차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9 최보승,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을 갖는 예비조사자료를 이용한 선거예측"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2321-2333,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