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서울의 북촌은 조선시대 행정구역으로 한성부 북부에 편입되었던 곳이다. 경복·창덕궁의 주산인 백악과 응봉을 연결하는 산줄기로 감싸여 있으며 산줄기의 사면을 따라 남쪽으로 낮...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30740
정정남 (경기대학교)
2015
Korean
서울 북촌 ; 한성부 북부 ; 한성부 호적 ; 1방-1계 ; 광화방 ; 양덕방 ; 가회방 ; 안국방 ; 진장방 ; 관광방 ; 양반촌 ; 동문화 ; 방경계도(坊境界圖) ; Seoul Bukchon(北村) ; Hanseongbu(漢城府) ; Gye(契)-Unit ; 1Bang(坊)- 1Gye(契) ; Ganghwa-bang(廣化坊) ; Yangdeok-bang(陽德坊) ; Gahoe-bang(嘉會坊) ; Anguk-bang(安國坊) ; Jingjang-bang(鎭長坊) ; Gwangwang-bang(觀光坊) ; nobility vil-lage.
KCI등재
학술저널
113-156(44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서울의 북촌은 조선시대 행정구역으로 한성부 북부에 편입되었던 곳이다. 경복·창덕궁의 주산인 백악과 응봉을 연결하는 산줄기로 감싸여 있으며 산줄기의 사면을 따라 남쪽으로 낮...
현재 서울의 북촌은 조선시대 행정구역으로 한성부 북부에 편입되었던 곳이다. 경복·창덕궁의 주산인 백악과 응봉을 연결하는 산줄기로 감싸여 있으며 산줄기의 사면을 따라 남쪽으로 낮아지는 지형으로 볕이 잘 들어 풍수상으로 주거 吉地다. 경복·창덕 두 궁궐과 산줄기로 둘러싸인 그 내부에는 야트막한 다섯 골짜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골짜기마다 개천이 흐르고 있어 식수를 제외한 생활용수 확보가 수월하고 홍수피해가 적다. 지형, 풍수, 입지적 장점때문에 북촌은 조선전기부터 권문세가들이 선호하는 주거지였다. 본고는 대한제국기에 작성된 한성부호적의 분석을 통하여 앞서와 같은 지형· 입지적 성격을 보이고 있는 북촌 지역의 조선시대 坊경계를 복원하고, 북촌지역 거주민의 신분구성과 주거규모의 존재양상을 고찰하려 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18세기 이후 북촌의 지역적 특질이 어떻게 형성되고 전해졌는지 追認하여 밝히려 했다. 1906년 한성부호적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존재양상이 읽혔다. 1. 북촌의 각 골[洞]은 동쪽으로부터 광화방, 양덕방, 가회방, 안국방, 진장방, 관광방으로 행정구획 되었으며, 坊의 경계는 골의 가장 높은 지점을 따라 형성되었다. 2. 북촌 6개방 거주민의 신분은 양반, 중인, 평민, 상인 등 특정신분에 국한되지 않고 골고루 섞여 있으나, 거주자 중 양반 비율이 평균 56%로 가장 높아 ‘양반촌’이라는 별칭이 단순히 권문세가에 의해 만들어진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3. 북촌 6개방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가옥의 규모는 6~10칸 사이며, 기와집은 전체 가옥면적의 49%를 차지한다. 양반 중 기와집을 소유한 호는 전체호수의 17%로 양반의 1/3정도에 해당하지만 그들이 소유한 와가의 규모는 6개방 전체가옥의 39%를 점유할 정도로 규모가 크다. 이는 와가를 소유한 양반의 정치·경제력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경제력을 기반으로 기와집을 소유한 또 다른 신분은 왕족과 평민 중 장사를 주업으로 하는 商民, 시전 조직에 가입되어 있는 市民이다. 정치·경제력을 가진 왕족과 사대부들의 大家로 이루어진 북촌은 이들에 의해 형성된 洞문화가 존재했는데, 이는 경제적 어려움·免役 또는 避役의 조처가 필요치 않은데서 비롯된 것이다. 17~18세기 한성부민들이 방역에 대한 응역의 단위로 인적결합 및 공간적 동질성을 담보로 하는 契를 조직하여 운영할 때에도 북촌의 지역민들은 신분을 통한 면역과 피역이 가능했다. 따라서 여러 계를 조직하여 내분화되는 과정을 겪지 않아도 되었고 18세기 말 1방-1계로 편제될 수 있었다. 하나의 골[洞]이 하나의 坊이 되고 그 坊에는 하나의 契만 있는 1방-1계의 행정편제는 북촌이 조선전기와 같은 주거지로 유지되어 갈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되었다. 제도적으로 인정된 洞의 문화는 더욱 강한 힘을 발휘하게 되었으며 북촌에 전출·전입·차가하는 사람들의 신분을 동질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암묵적·폐쇄적 질서가 되기도 했다. 조선의 수도 한성부는 17~18세기를 거치면서 점점 상업적 도시로 변모해 갔다는 것이 그간의 학설이다. 그 증거 중 하나가 돈을 받고 방역을 대신하던 조직인 契가 18세기 말 공식적인 행정구역으로 편제되기 시작한 것을 들고 있다. 한성부의 모든 지역이 경제적 논리에 따르며 계를 편성하여 상업화되어 가고 있던 조선 후기, 북촌지역만 유일하게 더디게 변하고 있었다. 이는 북촌지역이 지형· 입지적 조건을 바탕으로 신분 폐쇄적 주거지역을 유지해왔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다시 말하면, 한성부가 상업도시로 힘있게 변화해 가는 동안에도 북촌지역만은 주거 전용구역으로 停滯되어 있었다고 할 것이다. 북촌의 주거 정체적 구조는 일제강점기 권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일본인과 그들의 카페, 북쪽 경사면에 대규모 필지를 구획하여 만든 도시형 한옥단지에 의해 깨지기 시작했고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이어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kchon, Seoul is area enclosed by a mountain range and to the North is high and to the South is low. The inside is made up of the five lower valleys and every valley streams flow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of each valley were Ganghwa-bang,...
Bukchon, Seoul is area enclosed by a mountain range and to the North is high and to the South is low. The inside is made up of the five lower valleys and every valley streams flow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of each valley were Ganghwa-bang, Yangdeok-bang, Gahoe-bang, Anguk-bang, Jingjang-bang, Gwangwang-bang from east in the Joseon Dynasty. Inside each valley, there was a naturally formed village and each village(坊) had a culture of autonomous residents. That culture of each Bang(坊) is created by the royal family and nobility who has not a financial difficulties or not required efforts to avoid citizen labor(坊役). Hanseongbu(modern Seoul) citizens organized Gye(契)-Unit on the basis of human bonds and a spatial homogeneity in oder to perform their citizen labor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But because Bukchon people was able to avoid or exempt citizen labor from social status, they did not organize Gye-Unit. As a result, there was organized into 1Bang- 1Gye by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out experiencing conflict divided into several Gye-Units. Bukchon could be maintained as a non-commercial residential areas like early Joseon Dynasty thanks to the system of 1valley-1Bang(village)-1Gye. Due to this, the culture of Bukchon became increasingly exert great force and it functioned as a power for holding the social status of residents. Since the 18th century, though Hanseogbu was turned commercial city, Bukchon was still as unchanged residential area, due to topography, location, social status construction, village culture etc.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병규, "호적, 1606-1923 호구기록으로 본 조선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7
2 원영환, "한성부연구(Ⅰ) -행정제도와 관할구역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39 : 1981
3 조성윤, "한말의 가족과 신분-한성부 호적분석" 50 : 1996
4 김영모, "한말 한성부민의 신분구조와 그 이동" 성곡학술문화재단 11 : 1980
5 김영배, "한말 한성부 주거형태의 사회적 성격-호적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991
6 "한국학자료센터"
7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8 "한국고전번역원"
9 "토지조사부"
10 임병조, "지역정체성과 제도화" 한울 2010
1 손병규, "호적, 1606-1923 호구기록으로 본 조선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7
2 원영환, "한성부연구(Ⅰ) -행정제도와 관할구역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39 : 1981
3 조성윤, "한말의 가족과 신분-한성부 호적분석" 50 : 1996
4 김영모, "한말 한성부민의 신분구조와 그 이동" 성곡학술문화재단 11 : 1980
5 김영배, "한말 한성부 주거형태의 사회적 성격-호적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991
6 "한국학자료센터"
7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8 "한국고전번역원"
9 "토지조사부"
10 임병조, "지역정체성과 제도화" 한울 2010
11 김두섭, "조선시대 한성부인구에 대한 인구학적 접근" 26 : 1993
12 원영환, "조선시대 한성부 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1990
13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 도시사" 태학사 2008
14 권내현, "조선 후기 호적, 호구의 성격과 새로운 쟁점" 한국사연구회 (135) : 279-303, 2006
15 박학성, "조선 후기 한성부민의 호구문서에 보이는 ‘협호’의 성격" 조선사연구회 7 : 1998
16 고동환, "조선 후기 한성부 행정편제의 변화 -방.리.동.계의 변동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서울학연구소 11 : 1998
17 고동환, "조선 후기 서울의 인구추세와 도시문제 발생" 한국역사연구회 28 : 1998
18 林學成, "조선 후기 漢城府民의 戶籍자료에 보이는 ‘時入’의 성격 -漢城府 주민의 住居 양상을 究明하기 위한 一試論-" 한국고문서학회 24 : 309-341, 2004
19 허영환, "정도600년 서울지도" 범우사 1994
20 이규태, "이규태의 600년 서울" 조선일보사 1994
21 "융희원년, 광무7년, 광무10년 『한성부호적』, 일본 京都大學 總合博物館 소장"
22 서울歷史博物館, "서울지도"
23 이찬, "서울의 옛 地圖" 서울시립대학교 부설서울학연구소 1995
24 고동환, "서울상업사" 태학사 2000
25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검색시스템"
26 송인호, "북촌가꾸기 기본계획 : 연구와 실천" 2002
27 家永祐子, "북촌 한옥마을의 서울학적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1
28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9 박경용, "대한제국시대 한성부 연구 -한성부 ‘거문’내용을 중심으로-" 1992
30 정정남, "대한제국기 한성부 종로일대지역의 住商복합구조" 한국건축역사학회 2012
3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2 吉田光男, "近代ソウル都市社會硏究-漢城の街と住民-" 草風館 2009
33 정정남, "漢城府의 ‘統戶番圖’ 제작과정을 통해 본 大韓帝國期 觀光坊 대형필지의 변화양상"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7-22, 2011
34 "朝鮮王朝實錄"
35 고동환, "朝鮮初期 漢陽의 形成과 都市構造" 역사문화학회 8 (8): 67-104, 2005
36 "日省錄"
37 東洋文庫東北アジア硏究班, "日本所在朝鮮戶籍關係資料解題" 東洋文庫 2004
38 강병식, "日帝時代 서울의 土地硏究" 민족문화사 1994
39 "承政院日記"
40 "京城府管內地籍目錄" 大林出版社 1982
41 "京城府管內地籍目錄" 大林出版社 1982
42 陣內六助, "京城府管內地籍目錄" 京城公同株式會社
43 "京城府壹筆每地形明細書"
44 川合新一郞, "京城府壹筆每地形明細書" 朝鮮都市地形圖刊行會
45 白寬洙, "京城便覽" 弘文社
46 "京城便覽"
47 "1912~1914년 제작 서울 지적원도, 국가기록원 소장"
48 손병규, "1900년대 「光武戶籍」의 ‘士’와 「民籍」의 ‘兩班’ 기재" 대동문화연구원 (81) : 101-130, 2013
49 김동철, "18세기 坊役制의 변동과 馬契의 성립 및 都賈化 양상"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창간) : 1988
50 이근호, "17, 18세기 ‘여가탈입’을 통해 본 한성부의 주택문제" 서울역사박물관 2 : 2004
조선 후기 한양 동부(東部) 관동(館洞)의 인문지리와 연안이씨(延安李氏) 관동파(館洞派)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2 | 1.48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