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전소설 공간 답사를 위한 제언 = A Suggestions for exploring space in classical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1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논문은 작품에 나타난 공간을 체험하여 고전소설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고전소설의 공간 답사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은 작가의 의식 체험이나 경험을 통해 다양하게 형상화되면서 구체화된 삶의 모습을 이미지화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간답사는 작품 형성에 영향을 미친 공간, 작가의 경험 공간이 어떻게 작품 속에 구현되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하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고전 문학의 공간은 현재 훼손되거나 사라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답사를 하기 위해서는 어려운 점이 많다. 더욱이 고전소설의 공간은 지형지리와 인문지리, 상상지리의 경계를 넘나드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공간 답사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아카이브의 개념을 사용하여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것을 제안하였다. 주제어에 따라 아카이브한 정보들을 토대로 하여 작품에 형상화된 의미를 파악하는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운영전〉,〈안빙몽유록〉,〈심생전〉을 들어 답사의 실제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운영전〉의 공간 답사는 수성동 계곡을 중심으로 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수성궁은 현재 존재하지 않지만 현재에도 확인이 가능한 작품의 배경을 답사함으로써 사실과 허구가 잘 교직된 〈운영〉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안빙몽유록〉의 공간 답사는 작품의 창작 공간인 기재의 현재 위치로 추정되는 이화장 부근으로 한다. 이는 혼란한 정치 현실과 거리를 두고 정원을 통해 자연과의 정신적 교감을 추구하고자 했던 신광한의 말년과 수신의 도구로서 화훼 취미가 〈안빙몽유록〉창작의 배경이 되었음을 이해하는 방법이 된다. 〈심생전〉의 공간 답사는 청계천부터 소공동 주변까지 설정한다. 이는 작품 곳곳에 잘 결합되어 녹아 있는 당대인들의 삶의 공간을 이해하고 〈심생전〉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토대가 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이 답사라는 실증적이고 체험적인 방법을 통해 고전소설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깊이를 조금이나마 증폭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작품에 나타난 공간을 체험하여 고전소설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고전소설의 공간 답사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은 작가의 의식 체험이나 경험을 통해 다...

      본 논문은 작품에 나타난 공간을 체험하여 고전소설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고전소설의 공간 답사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은 작가의 의식 체험이나 경험을 통해 다양하게 형상화되면서 구체화된 삶의 모습을 이미지화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간답사는 작품 형성에 영향을 미친 공간, 작가의 경험 공간이 어떻게 작품 속에 구현되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하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고전 문학의 공간은 현재 훼손되거나 사라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답사를 하기 위해서는 어려운 점이 많다. 더욱이 고전소설의 공간은 지형지리와 인문지리, 상상지리의 경계를 넘나드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공간 답사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아카이브의 개념을 사용하여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것을 제안하였다. 주제어에 따라 아카이브한 정보들을 토대로 하여 작품에 형상화된 의미를 파악하는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운영전〉,〈안빙몽유록〉,〈심생전〉을 들어 답사의 실제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운영전〉의 공간 답사는 수성동 계곡을 중심으로 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수성궁은 현재 존재하지 않지만 현재에도 확인이 가능한 작품의 배경을 답사함으로써 사실과 허구가 잘 교직된 〈운영〉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안빙몽유록〉의 공간 답사는 작품의 창작 공간인 기재의 현재 위치로 추정되는 이화장 부근으로 한다. 이는 혼란한 정치 현실과 거리를 두고 정원을 통해 자연과의 정신적 교감을 추구하고자 했던 신광한의 말년과 수신의 도구로서 화훼 취미가 〈안빙몽유록〉창작의 배경이 되었음을 이해하는 방법이 된다. 〈심생전〉의 공간 답사는 청계천부터 소공동 주변까지 설정한다. 이는 작품 곳곳에 잘 결합되어 녹아 있는 당대인들의 삶의 공간을 이해하고 〈심생전〉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토대가 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이 답사라는 실증적이고 체험적인 방법을 통해 고전소설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깊이를 조금이나마 증폭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classical novel space exploration methods that help understanding classical novels by experiencing space of works. A space is shap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author "s conscious experience or experience, and images of the actualized life are imaged through the works. And a Space is the foundation on which we can infer the perception of the lives and historical events of humans who have lived at a certain time. In this respect, the space exploration allows us to understand how the space of the author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work, how the author"s experience space was embodied in the work, and to form a consensus to understand the work. However, because the space of classical literature is often damaged or disappeare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explore. Addition, since the space of classical novels is seen to cross the boundaries of geographical geography, human geography, and imaginary geography, research on spatial exploration has never been done.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exploring space in classical novels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of space in classical literature and my researches for exploring and understanding everyday life. In this paper, we propose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space using the concept of archives.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archived according to the main text. Then,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space and literary works, I propos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narrative that grasps the meanings shaped in the works. Based on these method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exploring 〈Un-yeong-jeon〉, 〈An-bing–mong-yu-rok〉, and 〈Sim-saeng-jeon〉.The space exploration of 〈Un-yeong-jeon〉is centered on Suseongdong Valley. The space exploration of 〈An-bing–mong-yu-rok〉 is located near Ehwa-jang, which is estimated to be the present location of the creation space of the work. The space exploration of〈Sim-saeng-jeon〉 is set up from Cheonggyecheon to Sogong-dong. Since the concept or method of classical novel space explor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 are still a lot of problems to be solved in this paper because there are many missing points. However,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conditions of the formation of classical novels. Therefore, I expect that the empirical and experiential method of exploration will be an opportunity to amplify the interest in classical nove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classical novel space exploration methods that help understanding classical novels by experiencing space of works. A space is shap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author "s conscious experience or experience, and im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classical novel space exploration methods that help understanding classical novels by experiencing space of works. A space is shap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author "s conscious experience or experience, and images of the actualized life are imaged through the works. And a Space is the foundation on which we can infer the perception of the lives and historical events of humans who have lived at a certain time. In this respect, the space exploration allows us to understand how the space of the author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work, how the author"s experience space was embodied in the work, and to form a consensus to understand the work. However, because the space of classical literature is often damaged or disappeare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explore. Addition, since the space of classical novels is seen to cross the boundaries of geographical geography, human geography, and imaginary geography, research on spatial exploration has never been done.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exploring space in classical novels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of space in classical literature and my researches for exploring and understanding everyday life. In this paper, we propose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space using the concept of archives.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archived according to the main text. Then,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space and literary works, I propos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narrative that grasps the meanings shaped in the works. Based on these method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exploring 〈Un-yeong-jeon〉, 〈An-bing–mong-yu-rok〉, and 〈Sim-saeng-jeon〉.The space exploration of 〈Un-yeong-jeon〉is centered on Suseongdong Valley. The space exploration of 〈An-bing–mong-yu-rok〉 is located near Ehwa-jang, which is estimated to be the present location of the creation space of the work. The space exploration of〈Sim-saeng-jeon〉 is set up from Cheonggyecheon to Sogong-dong. Since the concept or method of classical novel space explor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 are still a lot of problems to be solved in this paper because there are many missing points. However,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conditions of the formation of classical novels. Therefore, I expect that the empirical and experiential method of exploration will be an opportunity to amplify the interest in classical nov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서론
      • 2. 고전소설 공간 답사를 위한 전제
      • 3. 공간 답사의 가능성과 실제-서울을 중심으로
      • 4. 결론
      • 국문 요약
      • 1. 서론
      • 2. 고전소설 공간 답사를 위한 전제
      • 3. 공간 답사의 가능성과 실제-서울을 중심으로
      • 4. 결론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진옥,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2002

      2 구수경, "한국소설과시점" 아세아문화사 1996

      3 문선영, "한국 라디오 드라마의 형성과 장르 특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4 고호은, "한 여성 이야기꾼의 이야기 습득과 구연에 따른 이야기판의 전개 : 이승 할머니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2

      5 오명환, "텔레비전드라마예술론" 나남 1994

      6 김병철,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제"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

      7 김정영, "중년여성들의 일상적 대화의 의미 : 아줌마들의 '목욕탕 수다'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8 박종명, "전자책 활성화를 위한 스낵 콘텐츠 활용 연구" 한양대학교 2015

      9 강성숙, "이야기꾼의 성향과 이야기의 특성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10 김동욱, "운영전" 보성문화사 1978

      1 강진옥,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2002

      2 구수경, "한국소설과시점" 아세아문화사 1996

      3 문선영, "한국 라디오 드라마의 형성과 장르 특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4 고호은, "한 여성 이야기꾼의 이야기 습득과 구연에 따른 이야기판의 전개 : 이승 할머니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2

      5 오명환, "텔레비전드라마예술론" 나남 1994

      6 김병철,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제"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

      7 김정영, "중년여성들의 일상적 대화의 의미 : 아줌마들의 '목욕탕 수다'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8 박종명, "전자책 활성화를 위한 스낵 콘텐츠 활용 연구" 한양대학교 2015

      9 강성숙, "이야기꾼의 성향과 이야기의 특성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10 김동욱, "운영전" 보성문화사 1978

      11 조혜정, "소셜 리딩을 통해 본 참여 디자인 구성 요소 연구 - 팟캐스트 이동진의 <빨간 책방>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7

      12 강태완, "문화커뮤니케이션" 한뜻 1997

      13 최요안, "라디오 TV방송 드라마 구성기법" 장학출판사 1991

      14 이병남, "디지털 시대의 라디오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고전열전 삼국지>의 인터넷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4) : 119-149, 2012

      15 박기수, "대중문화콘텐츠의 서사 전략 연구: <개그콘서트>의 서사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 (1): 141-168, 2004

      16 심우장, "네트워크 이론으로 본 구비설화 이야기판의 구조와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7 김영희, "구전이야기 현지조사연구의 문제와 시각구전이야기 현지조사연구의 문제와 시각" 한국구비문학회 (17) : 451-501, 2003

      18 강진옥, "구전설화의 변이양상과 변이요인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2002

      19 노영근, "구비문학의 연행양상" 민속원 2011

      20 김기옥, "구비문학의 연행 양상" 민속원 2011

      21 김수현, "고전소설과 라디오 방송극의 시점 분석 및 매체 변용에 관한 연구 -<운영전>을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2015

      22 엄태식, "<운영전>의 양식적 특징과 소설사적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28) : 253-292, 2013

      23 김지연, "<운영전>의 서사구조와 시점 연구" 17 : 2005

      24 문은선, "<운영전>의 변이 양상과 그 의미 : 독자층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5 김경미, "<운영전>에 나타난 여성 서술자의 의의" 한국고전여성문인회 4 : 2002

      26 김연정, "<운영전>과 <영영전>의 애정 구현 양상 비교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7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출판사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 1.4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