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RPG게임 캐릭터에서 개성 표현 요소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RPG Characters' Personality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36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perspective that RPG games give players a sense of reality, the characterization of game characters can be said to be at the heart of design behavior. The personality of a unique character enhances the player's concern and commitment, allowing players to experience a variety of experiences.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case analysis, this paper analyze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ity in RPG game character design. In the RPG game, the way to express the character's individuality is first based on the game's time-space background, plot, task, etc. to inform the character's general gender, race, occupation, and skills. In line with the application and use of the characters, the roles will be developed in a concrete and rich way, and the shapes, movements, colors, costumes and weapons will be more ref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RPG character's personality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perceptual design theory. In addition, it is proposed that the RPG game character personality design method should be adopted.
      번역하기

      From the perspective that RPG games give players a sense of reality, the characterization of game characters can be said to be at the heart of design behavior. The personality of a unique character enhances the player's concern and commitment, allowin...

      From the perspective that RPG games give players a sense of reality, the characterization of game characters can be said to be at the heart of design behavior. The personality of a unique character enhances the player's concern and commitment, allowing players to experience a variety of experiences.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case analysis, this paper analyze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ity in RPG game character design. In the RPG game, the way to express the character's individuality is first based on the game's time-space background, plot, task, etc. to inform the character's general gender, race, occupation, and skills. In line with the application and use of the characters, the roles will be developed in a concrete and rich way, and the shapes, movements, colors, costumes and weapons will be more ref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RPG character's personality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perceptual design theory. In addition, it is proposed that the RPG game character personality design method should be adop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RPG 게임에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리얼리티를 준다는 측면에서 게임캐릭터의 개성 표현은 디자인 행위의 핵심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독특한 캐릭터의 개성이 플레이어의 관심과 몰입감을 높여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론적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RPG게임 캐릭터 디자인에서의 개성 있는 표현 방식을 분석해봤다. RPG 게임에서 캐릭터의 개성을 표현하는 방식은 우선 게임의 시공간적 배경과 줄거리, 미션에 따라 캐릭터의 대략적인 성별, 인종, 직업, 기능 등 기본적인 정보를 제시한다. 그리고 캐릭터의 응용과 활용에 맞춰 구체적이고 풍성하게 캐릭터를 성장시키면서 체형, 움직임, 색채, 의상 ,무기류 등을 더욱 정교하게 그려낸다. 이 연구는 감성적 디자인 이론의 관점에서 RPG게임 캐릭터의 개성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획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의해 감성적인 디자인의 RPG게임 캐릭터 개성 디자인 방법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RPG 게임에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리얼리티를 준다는 측면에서 게임캐릭터의 개성 표현은 디자인 행위의 핵심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독특한 캐릭터의 개성이 플레이어의 관심과 몰입감을 ...

      RPG 게임에서 게임 플레이어에게 리얼리티를 준다는 측면에서 게임캐릭터의 개성 표현은 디자인 행위의 핵심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독특한 캐릭터의 개성이 플레이어의 관심과 몰입감을 높여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론적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RPG게임 캐릭터 디자인에서의 개성 있는 표현 방식을 분석해봤다. RPG 게임에서 캐릭터의 개성을 표현하는 방식은 우선 게임의 시공간적 배경과 줄거리, 미션에 따라 캐릭터의 대략적인 성별, 인종, 직업, 기능 등 기본적인 정보를 제시한다. 그리고 캐릭터의 응용과 활용에 맞춰 구체적이고 풍성하게 캐릭터를 성장시키면서 체형, 움직임, 색채, 의상 ,무기류 등을 더욱 정교하게 그려낸다. 이 연구는 감성적 디자인 이론의 관점에서 RPG게임 캐릭터의 개성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획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의해 감성적인 디자인의 RPG게임 캐릭터 개성 디자인 방법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해표, "체감형 게임에서 캐릭터 선택 GUI 디자인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83-387, 2020

      2 남기덕, "상호작용을 고려한 게임 캐릭터 성격 모델 연구" 한국게임학회 20 (20): 27-34, 2020

      3 탕군, "사용자 선호 감성이미지 기반의 캐릭터 디자인 연구 -MMORPG게임에서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2 (22): 133-143, 2009

      4 남기덕, "미국과 일본 게임의 플레이어 캐릭터 나이와 성별 비교 분석" 한국게임학회 17 (17): 91-100, 2017

      5 김미선, "게임 캐릭터의 성격 정의를 위한 자아 상태와 5대 성격 요인의 연관성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 (20): 75-83, 2015

      6 조현승,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UI/UX 디자인의 그래픽 기본요소 선호도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573-579, 2017

      7 H. J. Yeo, "study on appearance features a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of animation characters" Ninjo University 2003

      8 "Types of games that male and female players like"

      9 I.J. Lee, "Phychologyof dress" Heungmun 2009

      10 "Maslow's hierarchy of needs"

      1 황해표, "체감형 게임에서 캐릭터 선택 GUI 디자인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83-387, 2020

      2 남기덕, "상호작용을 고려한 게임 캐릭터 성격 모델 연구" 한국게임학회 20 (20): 27-34, 2020

      3 탕군, "사용자 선호 감성이미지 기반의 캐릭터 디자인 연구 -MMORPG게임에서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2 (22): 133-143, 2009

      4 남기덕, "미국과 일본 게임의 플레이어 캐릭터 나이와 성별 비교 분석" 한국게임학회 17 (17): 91-100, 2017

      5 김미선, "게임 캐릭터의 성격 정의를 위한 자아 상태와 5대 성격 요인의 연관성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 (20): 75-83, 2015

      6 조현승,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UI/UX 디자인의 그래픽 기본요소 선호도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573-579, 2017

      7 H. J. Yeo, "study on appearance features a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of animation characters" Ninjo University 2003

      8 "Types of games that male and female players like"

      9 I.J. Lee, "Phychologyof dress" Heungmun 2009

      10 "Maslow's hierarchy of needs"

      11 Maslow, "Maslow's Theory of Motivation: The original complete version of the five-step theory of needs"

      12 "Five personality traits"

      13 H.A. Kang, "Analysis of Game Character Motion in RPG genre" 909-912, 2005

      14 Y. E. Mi, "A study on Observer Psychology of Environmental Color perception psycohlogical analysis an observer as a consumer" 42-45, 2007

      15 K. D. Nam, "A Study on the Personality Design of Game Charactersusing AHP"

      16 Y.Y. Lin, "2018 mobile game make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