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긍정심리역량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urnout among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3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urnout in general hospital nurses. Participants were 157 nurses working at F General Hospital in C City, Gyeongsangnam 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8 to 22, 2019.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3.0. Burnou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labor (r=.531, p<.001),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391, p<.001).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cluded emotional labor (β=.47, p<.001),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28, p<.001), with 34.9% explanatory power (F=42.78, p<.001). This result may be useful in developing new strategies for reducing burno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other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general hospital nur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urnout in general hospital nurses. Participants were 157 nurses working at F General Hospital in C City, Gyeongsangnam Province and data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urnout in general hospital nurses. Participants were 157 nurses working at F General Hospital in C City, Gyeongsangnam 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8 to 22, 2019.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3.0. Burnou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labor (r=.531, p<.001), whereas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391, p<.001).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cluded emotional labor (β=.47, p<.001),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28, p<.001), with 34.9% explanatory power (F=42.78, p<.001). This result may be useful in developing new strategies for reducing burno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other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general hospital nur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역량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F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와 책임간호사 157명이며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 8일부터 2월 22일까지 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3.0 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소진은 감정노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531, p<.001)이었으나, 긍정심리역량과는 부적 상관관계(r=-.391, p<.001) 이었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β=.47, p<.001), 긍정심리역량(β=-.28,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4.9% 이었다(F=42.78 p<.001). 이 연구 결과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낮추는 전략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추후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 감소를 위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역량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F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 경력 6개월 이...

      이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역량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F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와 책임간호사 157명이며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 8일부터 2월 22일까지 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3.0 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소진은 감정노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531, p<.001)이었으나, 긍정심리역량과는 부적 상관관계(r=-.391, p<.001) 이었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β=.47, p<.001), 긍정심리역량(β=-.28,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4.9% 이었다(F=42.78 p<.001). 이 연구 결과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낮추는 전략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추후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 감소를 위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자, "최근 10년간 한국 간호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분석" 간호행정학회 15 (15): 305-313, 2009

      2 임덕순,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강인성 및 소진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 14 (14): 120-127, 2007

      3 박승미, "정신간호사의 D 성격유형, 긍정심리자본,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29 (29): 133-142, 2020

      4 변대식,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 간호행정학회 15 (15): 444-454, 2009

      5 양승경,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29-337, 2017

      6 백지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학회 (46) : 61-83, 2017

      7 백다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감성지능의 효과" 간호행정학회 18 (18): 271-280, 2012

      8 고정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 19 (19): 647-657, 2013

      9 임현정,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55-266, 2017

      10 고정옥, "임상 간호사의 긍정심리역량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9 (19): 304-314, 2013

      1 전경자, "최근 10년간 한국 간호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분석" 간호행정학회 15 (15): 305-313, 2009

      2 임덕순,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강인성 및 소진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 14 (14): 120-127, 2007

      3 박승미, "정신간호사의 D 성격유형, 긍정심리자본,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29 (29): 133-142, 2020

      4 변대식,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 간호행정학회 15 (15): 444-454, 2009

      5 양승경,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29-337, 2017

      6 백지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학회 (46) : 61-83, 2017

      7 백다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감성지능의 효과" 간호행정학회 18 (18): 271-280, 2012

      8 고정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 19 (19): 647-657, 2013

      9 임현정,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55-266, 2017

      10 고정옥, "임상 간호사의 긍정심리역량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9 (19): 304-314, 2013

      11 김미로,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27 (27): 404-412, 2019

      12 김자숙,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예측 요인" 한국노인간호학회 16 (16): 130-140, 2014

      13 김영옥, "병원 일반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14 (14): 591-601, 2002

      14 이순늠,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개념분석" 간호행정학회 23 (23): 181-190, 2017

      15 이병엽, "국내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관련 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병원간호사회 25 (25): 221-236, 2019

      16 김신향, "국내 간호사의 소진과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387-400, 2015

      17 이승희, "간호사의 조직몰입도와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35-345, 2016

      18 김소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감정노동, 간호업무수행 및 소진" 간호행정학회 23 (23): 336-345, 2017

      19 B. S. Lee, "The relationship of Shift work Nurs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Life" Yonsei University

      20 J. A. Morris,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21): 986-1010, 1996

      21 T. S. Kristensen,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A new tool for the Assessment of Burnout" 19 (19): 192-207, 2005

      22 A. R. Hochschild, "Self and society" Blackwell Publishing 2001

      23 F. Lutha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yond Human and Social Capital" 47 (47): 45-50, 2004

      24 F. Lutha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60 (60): 541-572, 2007

      25 M. J. Ham, "Path analysis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Nurs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1

      26 C. Maslach, "Job Bournout" 52 (52): 397-422, 2001

      27 J. M. D. S. Vilelas, "Emotional Labor in Nursing Praxis" 35 (35): 145-149, 2014

      28 M. J. Kim, "Effects of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 - related Attitudes" 21 (21): 129-141, 1998

      29 T. Bartram, "Do perceived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ur, Burnout and Intention to Leave? A study of Australian nurses" 68 (68): 1567-1578, 2012

      30 G. Morse, "Burnout in Mental health services: A Review of the Problem and its Remediation" 39 (39): 341-352, 2012

      31 C. S. Monsalve-Reyes, "Burnout Syndrome and its Prevalence in Primary Care Nurs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9 (19): 59-,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