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북도청 이전이 대구경북광역경제권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 An Analysis of the Multiplier Effects of Gyeo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Relocation on Daegyeong Economic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41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청과 같은 공공기관의 이전은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경북도청의 경우도 2014년부터 대구광역시에서 안동·예천으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어 대구경북의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도청이 이전해 가는 지역은 경제적으로 큰 편익을 누리는 반면 떠나는 지역은 경제적 침체를 겪게 되는 문제가 발생 하는데, 지금까지 이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이 더러 있다. 그런데 이와 관련되어 발생되는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공공기관 이전이 지역경제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청이 중심도시를 떠나 권역 내의 다른 곳으로 이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집적경제가 약화되어 지역 전체에 부정적인 효과를 많이 발생시킬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에 반하여, 도청이전은 출발지역과 도착지역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만, 상쇄효과 때문에 지역경제권 전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후지역의 발전을 촉진하고 지방자치의 원칙에도 부합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청이전의 효과에 대해서는 상반되는 주장이 있으나 지금까지 그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측면에서 지역 간 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하여 생산, 부가가치, 고용 등의 측면 에서 경북도청 이전이 대구경북광역경제권 전체에 미치는 영향과 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 청이전으로 인하여 대경광역경제권의 생산유발효과는 1,290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705백만원, 고용유발효과는 571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북도청 이전은 대경권 이외의 타 권역에 생산유발효과 1,179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23백만원을 감소시키는 반면, 고용유발효과는 오히려 10명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북도청 이전은 대경권 전체와 타 권역에 대하여 고용을 제외한 각종 유발효과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크기는 그렇게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심도시의 기능과 산업구조 개편 등의 필요성에 관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도청과 같은 공공기관의 이전은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경북도청의 경우도 2014년부터 대구광역시에서 안동·예천으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어 대구경북의 지역경제에 큰 영...

      도청과 같은 공공기관의 이전은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경북도청의 경우도 2014년부터 대구광역시에서 안동·예천으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어 대구경북의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도청이 이전해 가는 지역은 경제적으로 큰 편익을 누리는 반면 떠나는 지역은 경제적 침체를 겪게 되는 문제가 발생 하는데, 지금까지 이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이 더러 있다. 그런데 이와 관련되어 발생되는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공공기관 이전이 지역경제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청이 중심도시를 떠나 권역 내의 다른 곳으로 이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집적경제가 약화되어 지역 전체에 부정적인 효과를 많이 발생시킬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에 반하여, 도청이전은 출발지역과 도착지역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만, 상쇄효과 때문에 지역경제권 전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후지역의 발전을 촉진하고 지방자치의 원칙에도 부합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청이전의 효과에 대해서는 상반되는 주장이 있으나 지금까지 그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측면에서 지역 간 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하여 생산, 부가가치, 고용 등의 측면 에서 경북도청 이전이 대구경북광역경제권 전체에 미치는 영향과 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 청이전으로 인하여 대경광역경제권의 생산유발효과는 1,290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705백만원, 고용유발효과는 571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북도청 이전은 대경권 이외의 타 권역에 생산유발효과 1,179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23백만원을 감소시키는 반면, 고용유발효과는 오히려 10명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북도청 이전은 대경권 전체와 타 권역에 대하여 고용을 제외한 각종 유발효과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크기는 그렇게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심도시의 기능과 산업구조 개편 등의 필요성에 관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location of the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provincial government attracts much attentions since it results in substantial regional economic impact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relocation of Gyeo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from Daegu city to Gyeongsangbuk-Do, which is scheduled for 2014, on Daegyeong economic region. Based on the interregional input-output model and I-O data which were provided by the Bank of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multiplier effects of the relocation in terms of production, value added, and employment on Daegyeong economic region and other regions, except for the construction effects of the provin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location is expected to reduce the production by 290million won, value added by 709million won, and employment by 571 persons in Daegyeong economic region. Also, the relocation turns out to decrease the production by 1,179million won and value added by 123million won of other regions. This paper discusses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번역하기

      The relocation of the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provincial government attracts much attentions since it results in substantial regional economic impact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relocation of Gyeongsangbuk-Do provincia...

      The relocation of the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provincial government attracts much attentions since it results in substantial regional economic impact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relocation of Gyeo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from Daegu city to Gyeongsangbuk-Do, which is scheduled for 2014, on Daegyeong economic region. Based on the interregional input-output model and I-O data which were provided by the Bank of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multiplier effects of the relocation in terms of production, value added, and employment on Daegyeong economic region and other regions, except for the construction effects of the provin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location is expected to reduce the production by 290million won, value added by 709million won, and employment by 571 persons in Daegyeong economic region. Also, the relocation turns out to decrease the production by 1,179million won and value added by 123million won of other regions. This paper discusses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경득, "충청남도 도청이전의 절차, 쟁점 및 과제; 국내외 자치단체의 경험과 교훈을 중심으로" 4 (4): 107-152, 2000

      2 임형빈, "충청권 경제모형 구축연구 Ⅱ; 충청광역경제권의 전략산업간 연계구조 분석" 충남발전연구원 2009

      3 임재영, "충남도청 이전의 효과" 34 : 42-61, 2006

      4 이춘근, "지역산업연관분석론" 학문사 2006

      5 김용웅, "지역개발사업의 파급효과 분석기법 및 적용 연구" 국토연구원 2001

      6 지해명, "지역간 생산승수와 생산연계구조: 지역경제성장의 제약요인 분석" 한국경제학회 59 (59): 131-161, 2011

      7 박상우, "지역간 산업연관표 작성에 관한 연구(III)" 국토연구원 2003

      8 이춘근, "지역간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231-249, 2008

      9 김종구, "지방정부 소비지출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지역산업연관분석의 적용" 한국지방재정학회 14 (14): 1-25, 2009

      10 김상호, "전남도청 이전이 광주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13 (13): 97-113, 2001

      1 권경득, "충청남도 도청이전의 절차, 쟁점 및 과제; 국내외 자치단체의 경험과 교훈을 중심으로" 4 (4): 107-152, 2000

      2 임형빈, "충청권 경제모형 구축연구 Ⅱ; 충청광역경제권의 전략산업간 연계구조 분석" 충남발전연구원 2009

      3 임재영, "충남도청 이전의 효과" 34 : 42-61, 2006

      4 이춘근, "지역산업연관분석론" 학문사 2006

      5 김용웅, "지역개발사업의 파급효과 분석기법 및 적용 연구" 국토연구원 2001

      6 지해명, "지역간 생산승수와 생산연계구조: 지역경제성장의 제약요인 분석" 한국경제학회 59 (59): 131-161, 2011

      7 박상우, "지역간 산업연관표 작성에 관한 연구(III)" 국토연구원 2003

      8 이춘근, "지역간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231-249, 2008

      9 김종구, "지방정부 소비지출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지역산업연관분석의 적용" 한국지방재정학회 14 (14): 1-25, 2009

      10 김상호, "전남도청 이전이 광주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13 (13): 97-113, 2001

      11 이성근, "신도청의 건설투자사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7 (7): 73-87, 1995

      12 김명수, "세 지역 MRIO모형을 이용한 지역경제 연관 분석" 48 (48): 175-207, 2000

      13 정현, "도청입지 기준의 설정 및 파급효과 분석:경상북도 도청을 중심으로" 10 : 93-124, 2001

      14 김홍배, "도시 및 지역경제분석론" 기문당 2009

      15 전라남도, "남악신도시 사업추진전략" 2002

      16 정준화, "공공기관의 이전정책에 따른 광역경제성장 효과분석: 1983년 경남도청 이전 사례를 대상으로" 161-182, 2010

      17 김태환, "공공기관 이전과 지역발전 효과" 282 : 3-15, 2005

      18 경상북도, "경북도청이전 신도시 기본계획 재원조달 및 사업시행방안 보고서" 2010

      19 경상북도, "경북도청이전 신도시 기본계획 본보고서" 2010

      20 Hewings, Geoffrey J. D.,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Economic Structure" Springer 1999

      21 권태현, "SAS를 이용한 산업연관분석" 도서출판 청람 2004

      22 윤갑식, "MRIO를 이용한 충청권 지역간 산업연관구조 분석" 충남발전연구원 2006

      23 Richardson, H. W, "Input-Output and Regional Economics" John Wiley & Sons 1972

      24 Miller, Ronald E.,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5 이데 마사히로, "Excel을 활용한 산업연관분석 입문" 제주대학교출판부 2010

      26 한국은행,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0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