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文學槪論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74687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現代文學 , 1988

      • 발행연도

        198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01 판사항(3)

      • DDC

        801 판사항(21)

      • ISBN

        9788972753882 03810(2007년)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文學槪論 / 尹明求 外著.

      • 형태사항

        382 p. ; 23 cm.

      • 일반주기명

        공저자: 이건청, 김재홍, 감태준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가톨릭관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중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술문화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협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책 머리에 = 2
      • 제1장 총론
      • 1. 문학이란 무엇인가 = 14
      • (1) 문학과 문학연구 = 14
      • 목차
      • 책 머리에 = 2
      • 제1장 총론
      • 1. 문학이란 무엇인가 = 14
      • (1) 문학과 문학연구 = 14
      • (2) 문학의 정의 = 17
      • (3) 문학의 기원 = 20
      • 가. 심리학적 기원설 = 21
      • ① 모방본능설 = 21
      • ② 유희본능설 = 23
      • ③ 흡인본능설 = 24
      • ④ 자기표현본능설 = 24
      • 나. 사회학적 기원설 = 25
      • (4) 문학의 장르 = 27
      • 가. 작품의 매체·형태의 기준에 의할 때 = 28
      • ① 운문 = 28
      • ② 산문 = 28
      • 나. 제재의 성격의 기준에 의할 때 = 29
      • ① 농촌소설 = 29
      • ② 연애소설 = 29
      • ③ 해양소설 = 29
      • ④ 역사소설 = 29
      • 다. 창작목적의 기준에 의할 때 = 29
      • ① 참여문학 = 29
      • ② 계몽문학 = 29
      • ③ 오락문학 = 29
      • 라. 독자와의 관계 상황의 기준에 의할 때 = 29
      • ① 순수문학 = 29
      • ② 대중문학 = 29
      • ③ 통속문학 = 29
      • (5) 국문학의 장르 = 30
      • 2. 문학의 이론 = 32
      • (1) 문학의 효용 = 32
      • 가. 문학의 쾌락적 기능 = 33
      • 나. 문학의 교시적 기능 = 36
      • (2) 문학의 구조 = 38
      • (3) 문학과 역사 = 42
      • (4) 문학과 전통 = 43
      • (5) 문학론의 제유형 = 46
      • 가. 모방론 = 46
      • 나. 효용론 = 48
      • 다. 존재론 = 51
      • 라. 표현론 = 52
      • 3. 문학작품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55
      • (1) 음성적 요소 = 56
      • (2) 이미지 = 59
      • (3) 상징 = 62
      • (4) 알레고리 = 64
      • (5) 메타포 = 66
      • (6) 문체 = 68
      • (7) 플롯 = 70
      • (8) 성격 = 72
      • (9) 배경 = 74
      • 제2장 시론
      • 1. 시란 무엇인가 = 76
      • (1) 시의 일반적 특성 = 76
      • (2) 현대시의 지향점 = 78
      • 2. 시의 언어와 갈래 = 81
      • (1) 시어의 특성 = 81
      • (2) 시어의 구성 = 85
      • (3) 시의 갈래 = 87
      • 가. 서정시 = 87
      • 나. 서사시 = 88
      • 다. 극시 = 88
      • (4) 시의 유형 = 89
      • 가. 정형시·자유시·산문시 = 89
      • ① 정형시 = 89
      • ② 자유시 = 90
      • ③ 산문시 = 90
      • 나. 장시·연작시 = 91
      • ① 장시 = 91
      • ② 연작시 = 92
      • (5) 운율이란 무엇인가 = 92
      • 가. 개념과 원리 = 92
      • 나. 운율의 종류 = 94
      • ① 음수율 = 94
      • ② 음성률 = 96
      • ③ 음위율 = 96
      • 3. 시의 요소와 기법 = 98
      • (1) 이미지의 개념 = 98
      • (2) 이미지의 유형 = 99
      • 가. 지각 이미지 = 100
      • 나. 비유적 이미지 = 102
      • 다. 상징적 이미지 = 103
      • (3) 은유란 무엇인가 = 105
      • (4) 은유의 종류 = 106
      • (5) 상징이란 무엇인가 = 109
      • (6) 상징과 상징주의 = 110
      • (7) 상징의 분석 = 113
      • 가. 원형적 상징 = 113
      • 나. 인습적 상징 = 114
      • 다. 개인적 상징 = 115
      • (8) 아이러니의 개념 = 116
      • (9) 아이러니의 유형 = 117
      • 가. 냉소 = 118
      • 나. 축소 = 118
      • 다. 패러디 = 119
      • 라. 궤변 = 120
      • 4. 한국 현대시 약사 = 122
      • (1) 현대시 형성의 배경 = 122
      • (2) 3·1운동과 현대시의 형성 = 126
      • (3) 1930년대와 현대시의 본격적 전개 = 130
      • (4) 8·15의 의미와 해방 직후의 문단 = 133
      • (5) 6·25와 한국시단의 전개 = 134
      • (6) 60년대의 시와 시인 = 138
      • (7) 70년대의 시의 의미 = 141
      • (8) 80년대 문학의 한 지평 = 143
      • 제3장 소설론
      • 1. 소설이란 무엇인가 = 146
      • (1) 소설의 개념 = 146
      • (2) 소설의 특성 = 147
      • 가. 이야기 문학 = 147
      • 나. 허구와 진실성 = 150
      • 다. 삶의 표현과 인간의 탐구 = 153
      • (3) 소설의 기원 = 154
      • (4) 로망스와 노벨 = 157
      • 2. 소설의 유형 = 160
      • (1) 뮤어의 소설유형론 = 161
      • (2) 프라이의 소설유형론 = 163
      • (3) 기타의 소설유형론 = 165
      • (4) 단편소설과 장편소설 = 167
      • 3. 소설의 기본요소 = 170
      • (1) 플롯(plot) = 171
      • 가. 플롯의 개념 = 171
      • 나. 플롯의 전개 = 173
      • 다. 플롯의 종류 = 176
      • (2) 성격(character) = 178
      • 가. 성격의 개념 = 178
      • 나. 성격의 유형 = 180
      • 다. 성격화의 방법 = 182
      • (3) 배경(setting) = 187
      • 가. 배경의 개념 = 187
      • 나. 배경의 유형 = 188
      • 다. 배경의 기능 = 190
      • (4) 주제(theme) = 194
      • 가. 주제의 개념 = 194
      • 나. 주제의 발견 = 196
      • (5) 문체(style) = 217
      • 가. 문체의 개념 = 217
      • 나. 문체의 요소 = 218
      • (6) 서술 방법(narrative method) = 221
      • 가. 서술의 기법 = 223
      • 나. 시점 = 225
      • 다. 거리와 톤 = 231
      • 4. 소설과 사회·역사 = 235
      • 5. 현대소설의 양상 = 239
      • (1) 현대심리주의 소설 = 239
      • (2) 행동주의 소설 = 241
      • (3) 실존주의 소설 = 242
      • (4) 반소설 = 243
      • 6. 한국 현대소설 약사 = 245
      • (1) 개화기소설―민족주의적 계몽주의 시기 = 246
      • (2) 20년대 소설―사실주의와 현대소설의 확립 시기 = 247
      • (3) 30년대 소설―다양한 소설의 전개 = 250
      • (4) 해방 후의 소설과 현실의 극복 = 253
      • 제4장 비평론
      • 1. 비평이란 무엇인가 = 256
      • (1) 비평의 개념 = 256
      • (2) 창작과 비평 = 257
      • 2. 비평의 준거 = 262
      • 3. 비평의 갈래 = 268
      • (1) 일반적인 유형 = 268
      • (2) 티보데와 왓슨의 분류 = 270
      • (3) 에이브럼즈의 분류 = 272
      • 4. 문학비평의 방법 = 275
      • (1) 역사·전기적 비평 = 276
      • (2) 형식주의 비평 = 279
      • (3) 사회·문화적 비평 = 282
      • (4) 구조주의 비평 = 287
      • (5) 원형비평 = 290
      • 5. 작품 비평의 몇 단계 = 294
      • (1) 분석 = 294
      • (2) 해석 = 295
      • (3) 평가 = 296
      • (4) 감상 = 297
      • (5) 비평의 실제 = 298
      • 제5장 희곡론
      • 1. 희곡이란 무엇인가 = 306
      • (1) 희곡의 개념 = 306
      • (2) 희곡과 연극·시나리오 = 308
      • 가. 희곡과 연구 = 308
      • 나. 희곡과 시나리오 = 309
      • (3) 희곡의 유형 = 310
      • 가. 비극 = 310
      • 나. 희극 = 313
      • 다. 멜로드라마 = 316
      • 라. 笑劇 = 318
      • 2. 희곡의 특성 = 319
      • (1) 갈등(conflict) = 319
      • (2) 대사·지문 = 321
      • 가. 무대 지시문(stage direction) = 321
      • 나. 대사(dialogue) = 322
      • 다. 인물 설정(characterization) = 324
      • 3. 희곡의 구성 = 329
      • (1) 구성의 원리 = 329
      • (2) 구성의 단계 = 331
      • 가. 도입부 = 334
      • 나. 상승부 = 334
      • 다. 頂點 = 335
      • 라. 하강부 = 336
      • 마. 파국 = 336
      • (3) 구성의 유형 = 336
      • 가. 단순형(simple plot) = 337
      • 나. 이중형(double plot) = 337
      • 다. 복잡형(complex plot) = 337
      • 4. 희곡의 발달 = 339
      • (1) 고전주의극(classic drama) = 339
      • (2) 낭만주의극(romantic drama) = 339
      • (3) 사실주의극(realistic drama) = 340
      • (4) 표현주의극(expressionistic drama) = 340
      • (5) 부조리극(theatre of absurd) = 341
      • (6) 서사극(epic drama) = 342
      • 5. 한국 희곡 약사 = 343
      • 제6장 수필론
      • 1. 수필이란 무엇인가 = 346
      • (1) 수필의 개념 = 346
      • (2) 수필과 Essay = 348
      • 2. 수필의 특성 = 351
      • (1) 형식의 개방성 = 351
      • (2) 개성의 표출성 = 352
      • (3) 제재의 다양성 = 353
      • (4) 유머와 위트의 문학 = 354
      • 3. 수필의 유형 = 355
      • (1) 2종류설 = 355
      • 가. 주정적 수필 = 356
      • 나. 주지적 수필 = 357
      • (2) 3종류설 = 359
      • (3) 5종류설 = 360
      • (4) 8종류설 = 360
      • (5) 10종류설 = 361
      • 가. 여러 가지 타입의 수필 = 361
      • 나. 보다 형식적인 수필 = 361
      • 다. 다른 특수한 타입의 수필 = 362
      • 4. 수필의 구성 = 363
      • (1) 수필의 주제 = 363
      • (2) 수필의 구조 = 364
      • (3) 수필의 문체 = 365
      • 5. 한국 현대소설 약사 = 367
      • 찾아보기 = 3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