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嬰陽王代高句麗의 政局動向과 對隋關係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3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高句麗의 對隋關係에 대해서는 양국간 전쟁에 초점을 맞추어 그 배경에 대한 검토가 깊이 있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고구려의 입장에서 대외정책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거나 고구려 ...

      지금까지 高句麗의 對隋關係에 대해서는 양국간 전쟁에 초점을 맞추어 그 배경에 대한 검토가 깊이 있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고구려의 입장에서 대외정책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거나 고구려 내정을 통해 양국관계를 살펴보려는 노력은 부족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런 점을 인식하고 隋文帝및 煬帝의 집권 시기 및 정책적 중점을 고려하여 ?陽王代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고구려의 대수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三國遺事』紀異편에 소재한 金庾信의 출생설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설화를 590년대 전반 고구려 국정, 특히 대수정책을 둘러싼 이견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영양왕 전기 고구려의 대수정책은 강경노선으로 기울었다. 이러한 대수강경론이 등장한 이면에는 東突厥과의 관계개선을 통해 정세를 유리하게 이끌 수 있다는 판단과 고구려적 질서를 지켜나가고자 하는 인식이 깔려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영양왕은 내부반발을 잠재우고 遼海諸國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遼西攻略을 단행함으로써 수의 고구려원정을 유발하였다. 결과적으로 영양왕은 1차 高ㆍ隋戰爭을 통해 확고한 입지를 다졌으며 국정운영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대외정책을 추진해 나갈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영양왕 후기 정국과 대수전쟁에 대해 검토하였다. 598년 제1차 高ㆍ隋戰爭이후에도 고구려의 對隋政策은 강경노선을 견지하였으며 그 중심에는 영양왕이 있었다. 이러한 정국흐름 속에서 대수정책은 1차 전쟁을 통해 드러난 여러 변수를 고려하며 전방위외교에 총력을 기울이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고구려의 對南方政策은 한수 유역과 가야를 둘러싼 百濟ㆍ新羅양국의 적대관계를 이용하여 국경을 맞대고 있는 신라를 견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백제 및 倭와 通好하였다. 고구려는 북방에 위치한 돌궐에도 사신을 파견하는 등 수에 대한 대비책에 만전을 기하였다.
      수 양제는 체제정비를 바탕으로 수중심의 국제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외팽창정책을 취하며 세 차례에 걸쳐 고구려원정을 단행하였다. 고구려는 수의 공세를 잘 막아내었으나 오랜 전쟁으로 국력이 소진되었으며 경제기반마저 무너져 내렸다. 이제 영양왕에게 주어진 과제는 안으로 경제기반을 복구하여 민심을 수습하는 것이며 밖으로는 대수관계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었다. 이는 영양왕에 대한 또 다른 시험대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tween Koguryo and Sui major wars broke out four times. Many scholars have concentrated on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use this led directly to the fall of the Sui dynasty. Until now most research covers the military backg...

      Between Koguryo and Sui major wars broke out four times. Many scholars have concentrated on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use this led directly to the fall of the Sui dynasty. Until now most research covers the military background of the Sui expedition to Koguryo. The reign of King Yeongyang of Koguryo will be divided into two periods in consideration of the Sui reigning emperors. I wish to examine Koguryo-Sui relations through this perspective.
      Chapter two examines the tale about Kim yusin(金庾信)’s birth in the Samgukyusa(三國遺事). This tale is an indication of the differences of opinion in Koguryo concerning relations with the Sui dynasty. Koguryo during the reign term of King Yeongyang took a hard-line policy toward the Sui. Thereupon Koguryo delivered an attack against Liaoxi(遼西). At once Sui Wenti(文帝) led a large force and invaded Koguryo territory. The Sui expedition force failed not only because of the monsoon season and supply problems but also because of the Turks(突厥).
      Chapter three discusses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latter reign term of King Yeongyang and the war with the Sui. King Yeongyang took a hard-line policy toward the Sui all through in his reign. On Such a framework Koguryo devoted all its might to omnidirectional diplomacy. Koguryo made use of animosity between Baekche(百濟) and Silla(新羅). Namely, Koguryo entered into friendly relations with Baekche and Wae(倭), thereby restraining Silla. Koguryo began to pay more attention to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Turks(突厥) and coping with the Sui Dynasty.
      As a result, Sui Yangti(陽帝) attacked Koguryo three times, all ending in complete failure. Thereby Sui was on the road to collapse. Also as a result of prolonged warfare, Koguryo’s national power declined and its economic foundation was weakened. As a result, Koguryo was likely to thrust into the vortex of political instability during the end reign of king Yeongya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陽王前期의 對隋關係
      • Ⅲ. ?陽王後期의 對隋關係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陽王前期의 對隋關係
      • Ⅲ. ?陽王後期의 對隋關係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탐구당 2003

      2 김진한, "평원왕대 고구려의 대외관계 - 요해遼海지역의 동향을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1 (1): 215-252, 2007

      3 르네 그루쎄,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1998

      4 김수태, "삼국의 외교적 협력과 경쟁 - 7세기 신라와 백제의 외교전을 중심으로-" 신라문화연구소 (24) : 23-38, 2004

      5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 사람들 2005

      6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7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8 임기환, "고구려 王號의 변천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28 : 5-42, 2002

      9 김창석, "고구려 수 전쟁의 배경과 전개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15) : 103-135, 2007

      10 辻 正博, "麴氏高昌國と中國王朝-朝貢·羈縻·冊封·征服, in:中國東アジア外交交流史の硏究"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7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탐구당 2003

      2 김진한, "평원왕대 고구려의 대외관계 - 요해遼海지역의 동향을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1 (1): 215-252, 2007

      3 르네 그루쎄,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1998

      4 김수태, "삼국의 외교적 협력과 경쟁 - 7세기 신라와 백제의 외교전을 중심으로-" 신라문화연구소 (24) : 23-38, 2004

      5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 사람들 2005

      6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7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8 임기환, "고구려 王號의 변천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28 : 5-42, 2002

      9 김창석, "고구려 수 전쟁의 배경과 전개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15) : 103-135, 2007

      10 辻 正博, "麴氏高昌國と中國王朝-朝貢·羈縻·冊封·征服, in:中國東アジア外交交流史の硏究"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7

      11 이호영, "麗·濟連和說의 檢討" 사학과 (9-10) : 1982

      12 이성제, "高句麗의 西方政策硏究" 국학자료원 2005

      13 박원길, "高句麗와 柔然·突厥의 관계" 고구려발해학회 14 : 2002

      14 이문기, "高句麗莫離支의 官制的性格과 機能" 백산학회 (55) : 2000

      15 金子修一, "高句麗と隋の關係" 4 : 2002

      16 末松保和, "高句麗と朝鮮古代史" 吉川弘文館 1996

      17 노중국, "高句麗, 百濟, 新羅사이의 力關係變化에 대한 一考察" 연세대국학연구원 (28) : 1981

      18 이용범, "韓滿交流史硏究" 동화출판공사 1989

      19 이기백, "韓國古代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1996

      20 이홍직, "韓國古代史의 硏究" 신구문화사 1971

      21 이병도, "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1987

      22 정재훈, "隋煬帝의 對外政策과 天下巡行" 중국사학회 (10) : 2004

      23 內田昌功, "隋煬帝期官制改革の目的と性格" 85 (85): 2004

      24 韓國磐, "隋煬帝" 湖北人民出版社 1957

      25 "隋書"

      26 劉健明, "隋文帝時代與高麗的衝突試釋" 13 : 1995

      27 정재훈, "隋文帝(581-604)의 統一指向과 對外政策" 중국사학회 (13) : 2001

      28 谷川道雄, "隋唐帝國形成史論" 筑摩書房 1971

      29 金子修一, "隋唐交代と東アジア, in:隋唐の國際秩序と東アジア" 名著刊行會 2001

      30 堀敏一, "隋代東アジアの國際關係, in:隋唐帝國と東アジア世界" 1979

      31 渡邊信一郞, "隋の樂制と帝國構造-散樂と正月十五日の民間習俗-" (252) : 2006

      32 韓昇, "隋と高句麗の國際政治關係をめぐって, in:堀敏一先生古稀紀念論叢" 汲古書院 1995

      33 김선민, "隋 煬帝의 軍制改革과 高句麗遠征" 국학연구원 (119) : 139-193, 2003

      34 松島惇, "阿旦城址考" (136) : 1926

      35 "資治通鑑"

      36 黃約瑟, "試論隋代對高句麗的認識" 13 : 1995

      37 關尾史郞, "義和政變’前史-高昌國王麴伯雅の改革を中心として-" 52 (52): 1993

      38 민덕식, "百濟阿旦城硏究" 한국상고사학회 (17) : 1994

      39 淺見直一郞, "煬帝の第一次高句麗遠征軍-その規模と兵種-" 44 (44): 1985

      40 池內宏, "滿鮮史硏究上世第2冊" 吉川弘文館 1960

      41 日野開三郞, "日野開三郞東洋史學論集15卷" 三一書房 1991

      42 "日本書紀"

      43 鬼頭淸明, "日本古代國家の形成と東アジア" 校倉書房 1976

      44 신종원, "新羅初期佛敎史硏究" 민족사 2001

      45 李成市, "古代東アジアの民族と國家" 岩波書店 1998

      46 정중환, "古代史上의 大陸關係" 백산학회 (4) : 1968

      47 內田吟風, "北アジア史硏究-突厥篇" 同朋舍 1975

      48 "冊府元龜"

      49 "元興寺伽藍緣起幷流記資財帳"

      50 이성규, "中國帝國의 分裂과 統一, in:歷史上의 分裂과 再統一, 上" 일조각 1992

      51 塚本善隆, "中國中世佛敎史論考" 大東出版社 1975

      52 "三國遺事"

      53 김영관, "三國爭覇期阿旦城의 위치와 영유권" 고구려연구회 (5) : 1998

      54 "三國史記"

      55 정동준, "7세기 전반 백제의 대외정책" 한국역사연구회 (46) : 37-72, 2002

      56 西嶋定生, "7世紀の東アジアと日本, in:東アジア世界における日本古代史講座5" 學生社 1981

      57 여호규, "6세기말~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구려 대외정책의 변화 -대수관계(對隋關係)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46) : 1-36, 2002

      58 박윤선, "5세기 중반-7세기 백제의 대외관계" 숙명여대 2007

      59 이희진, "'고구려의 對中認識論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역사학회 (190)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