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과제는 기존의 영어 읽기-쓰기 통합이론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우리의 영어학습문맥에서 검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읽기와 쓰기 간의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수방법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4132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과제는 기존의 영어 읽기-쓰기 통합이론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우리의 영어학습문맥에서 검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읽기와 쓰기 간의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수방법을 ...
본 연구과제는 기존의 영어 읽기-쓰기 통합이론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우리의 영어학습문맥에서 검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읽기와 쓰기 간의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수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특히, 행태유형 그룹별 유사점과 상이점을 분석하고 통합수업에서 학생 고유의 학습행태가 두 언어 영역의 유기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교실수업에 적용 가능한 통합학습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 질문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어작문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쓰기 통합 학습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를 5점 척도(Likert scale) 분리-통합 선상에서 측정한다.
(2) 읽기와 쓰기를 연계하는 학습행태의 차이가 두 언어 영역간의 학습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행태유형에 따른 그룹 분류를 통해 분석한다.
(3) EFL 학습문맥에서 학생들이 읽기와 쓰기를 연계하는 행태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 가능한 읽기-쓰기 통합학습모형을 개발한다.
위의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 패러다임의 틀 안에서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병행하는 혼용방법을 이용한다. 질적 분석에 기초한 교실수업연구를 수행하면서 부분적으로 양적 분석을 병행하는 방법은 현장 중심의 연구수행에 적절한 방법론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과제 수행에 적절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연구수행에 이용될 다양한 분석방법은 아래와 같다. 설문연구를 통해 교실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읽기-쓰기 통합학습에 대한 인지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그룹분류의 기준으로 이용한다. 학기 초에 수행되는 설문을 통해 대학생들의 읽기-쓰기 통합학습에 대한 인식, 읽기와 연계한 쓰기 행태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예정이다. 설문 분석의 경우 설문응답을 수량화하는 판독절차(coding procedure)를 이용해 수행할 예정이다. 그룹별 읽기-쓰기 행태유형 분석은 교실수업을 통해 자료수집과 동시에 분석에 착수하는 지속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이용해 수행할 예정이다. 이 방법의 초점은 학기 초에 수집한 다양한 자료(읽기자료, 쓰기과제, 인터뷰, 참관노트 등)를 코딩절차를 통해 개별 그룹이 공유하는 읽기-쓰기 패턴을 분석한 후 추가적인 자료분석을 통해 이전의 그룹패턴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데 있다. 한 학기 동안 수행할 읽기-쓰기 통합학습모형은 주제별 읽기-쓰기수업(theme-based reading-writing class)을 근간으로 삼고 있다. 참여 학생들은 특정 논제와 관련된 일련의 읽기활동(비판적 읽기, 토론, 비평 등)을 수행한 후 과정 중심의 쓰기활동을 통해 논술문을 작성한다. 논술문은 초안, 쓰기토론, 수정, 완성 등의 절차를 통해 작성되며 한 학기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쓰기 과제를 통해 학생들의 쓰기발달 과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읽기-쓰기 통합수업이 영역별 쓰기 발달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이용해 수행할 예정이다. 세부 영역별 평가점수를 종속변수로, 비조작변수인 시간을 단일 독립변수로 그룹별, 그룹간 학습발달 편차를 분석한다. 동일 그룹에 속한 학생들의 학습발달을 한 학기 동안 시차를 두고 반복적으로 측정한다는 점에서 그룹간 읽기-쓰기 발달편차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