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계획 : 추간판 세포의 배양에서 세포의 형질에 따른 phospholipas A2의 생성 정도의 차이를 규명한다. 연구목적 : 통증의 발생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phospholipase A2의 생성과 연관하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723668
2000
Korean
514.325
KCI등재
학술저널
1-8(8쪽)
※ KISS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계획 : 추간판 세포의 배양에서 세포의 형질에 따른 phospholipas A2의 생성 정도의 차이를 규명한다. 연구목적 : 통증의 발생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phospholipase A2의 생성과 연관하여,...
연구계획 : 추간판 세포의 배양에서 세포의 형질에 따른 phospholipas A2의 생성 정도의 차이를 규명한다.
연구목적 : 통증의 발생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phospholipase A2의 생성과 연관하여, 주로 관계하는 세포 형질과 생성을 촉진하는 조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변성되지 않은 인체의 추간판에서 외연의 섬유륜부와 중심의 수핵부에서 각각 조직을 채취하여 세포를 배양한다. 배양 7일째에 배양된 세포들을 조직별로 3군씩 나누고 젖산을 0mM(대조군), 1mM, 5mM을 첨가하여 2주간 더 배양한 다음 phospholipase A2의 생성 정도를 Northerm blotting으로 측정한다.
결과 : 수핵 조직에서 채취된 세포들에서는 적은 양의 phospholipase A2가 생성되었다. 반면에 섬유륜 조직의 세포들은 왕성한 phospholipase A2의 생성을 보였다. 첨가된 젖산의 양에 따른 phospholipase A2의 생성 정도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이런 결과로 볼 때 추간판을 구성하는 조직들 중에서 외연의 섬유륜부 세포들이 phospholipase A2의 생성에 주로 관계하며, 추간판성 통증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Design : Evaluation of phospholipase A2 production according to cell type of human intrevertebral disc.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 It was reported that the phospholipase A2 acitvity in human lumbar desc herniation was more active than that ...
Study Design : Evaluation of phospholipase A2 production according to cell type of human intrevertebral disc.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 It was reported that the phospholipase A2 acitvity in human lumbar desc herniation was more active than that in other tissues.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erences between the cells of anulus fibrosus and nucleus pulposus when lactate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Materials and Methods : Cells from the anulus fibrosus and nucleus pulposus of a human intervertebral disc were prepared enzymaitically. After the monolayer was set up, the cells were didvided to three groups and lactate doses of a OmM, 2mM or 5mM were added respectively. At two week after lactate addition the production of phospholipase A2 was measured by Northerm blotting.
Results : Cells of nucleus pulposus produced a small amount of phospholipase A2. Those of anulus fibrosus showed a high activity of phospholipase A2 production. The concentration of lactate did not influenced on the production of phospholipase A2.
Conclusion : The anulus fibrosus hsa an improt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phospholipase A2 and is thought to be related with generation of discogenic pain.
청소년기 요추 수핵 탈출증의 MRI 및 방사선 소견에 대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