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5년 독도의 불법적 영토편입을 시작으로 일본의 대한제국의 영토주권에 대한 전면적 침탈은 1904년 시작된 러일전쟁과 직접적 관련성을 갖는다. 이 글은 우선 국제법적으로 러일전쟁의 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62236
최철영 (대구대학교)
2015
Korean
러일전쟁 ; 제물포사건 ; 독도 ; 문명국 ; 낙후지역 ; Russo-Japanese War ; Chemulpo Incidents ; Dokdo ; Civilized State ; Backward State Theory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27-361(35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05년 독도의 불법적 영토편입을 시작으로 일본의 대한제국의 영토주권에 대한 전면적 침탈은 1904년 시작된 러일전쟁과 직접적 관련성을 갖는다. 이 글은 우선 국제법적으로 러일전쟁의 발...
1905년 독도의 불법적 영토편입을 시작으로 일본의 대한제국의 영토주권에 대한 전면적 침탈은 1904년 시작된 러일전쟁과 직접적 관련성을 갖는다. 이 글은 우선 국제법적으로 러일전쟁의 발발과정에서 대한제국의 제물포사건이 갖는 의미, 전쟁개시 시점 그리고 국제법상 일본의 전쟁선포행위가 합법적인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러일전쟁의 개시 시점에 대하여는 일본 해군이 중국 뤼순 항구에 정박 중인 러시아함대에 대한 무력공격을 도발한 1904년 2월 8일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글에서는 러일전쟁의 발발과정 특히 대한제국의 영해인 제물포 앞바다 사건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일본이 러일전쟁의 개전 일자를 일본 해군이 전쟁수행을 위해 사세보항구를 출항한 2월 6일으로 주장하는 이유가 일본이 전시국제법을 위반하여 러일전쟁을 시작하였음을 은폐하려는 의도임을 밝히고 있다.
두 번째, 이 글은 일본이 아시아의 유일한 문명국으로 인정받게 된 근거와 러일전쟁과정에서 영국과 미국이 유럽국가인 러시아가 아닌 일본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 일본 지식인들과 관료들의 유럽과 미국에서 어떠한 활동을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러일전쟁을 통해서 일본이 국제사회에 강대국으로 등장했다는 인식과 다르게 일본은 러일 전쟁이전에 유럽의 소수국가와 미국이 중심이 된 제국주의국가들의 국제클럽(international club)에 의하여 아시아에서 유일한 소위 문명국(civilized state)으로 인정되어 있었으며, 러일전쟁은 러시아와 일본이 대한제국과 만주의 패권을 놓고 벌인 소위 문명국 간의 전쟁이었다.
세 번째, 러일전쟁의 발생 이전에 국제법상 중립(neutrality)을 선언한 대한제국의 영토주권이 어떠한 이론적 배경에서 일본에 의하여 무시되고 침해당하였으며 미국과 영국 등 당시 국제사회를 주도하던 국가들은 왜 이를 묵인하였는지 그리고 러일전쟁 당시 한일 간에 체결되어 있던 조약들은 어떻게 양 국가 간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이와 함께 일본의 대한제국 흡수행위의 근거가 된 소위 국제클럽 구성 국가들의 낙후지역(backward territory)이론의 문제점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gard to the Japanese violation of Korean territorial sovereignty including Dokdo, this article reviews the meaning of Chemulpo Incident, exact commence time of Russo-Japanese War and the legality of Japanese proclamation of the war. This article ...
In regard to the Japanese violation of Korean territorial sovereignty including Dokdo, this article reviews the meaning of Chemulpo Incident, exact commence time of Russo-Japanese War and the legality of Japanese proclamation of the war. This article suggests that Japanese government claim of the beginning day of the war, February 6, 1904, is an attempt to try to conceal the violation of wartime international law. Japan claims the war broke out when the Imperial Japanese navy leave the port Sasebo on that day. However, the ultimatum of the war declared on February 10, 1904 and actual attack against Russian Navy ships occurred February 6.
Second, Japan was recognized as a civilized sate by the international club not after the war but before the war. Russo-Japanese war was regarded as the world war zero between the equal civilized states because that the parties of war promised to follow the international laws of war (the Hague Convention) was the first time in history. During the wartime, a lot of Japanese international law specialist and diplomats positively published articles and gave speeches to the Europe and American public as a kind of propaganda for imperial Japanese government. And these activities contributed to distortion of Western viewpoint to the Japanese illegal absorption of Korea.
Third, Korea declared neutrality before the beginning of Russo-Japanese War but Japan just ignores the neutrality of Korea and violates Korean territorial sovereignty based upon the backward territory theory which had come from Western imperial states. That is the reason why Western states did not protest Japan’s invasion and absorption of Korea.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덕, "한일공문서를 통해 본 독도"
2 최덕수, "조약으로 본 한국근대사" 열린 책들 2011
3 박현옥, "시바 료타로의 역사관" 모시는사람들 2014
4 寺本康俊, "日露戦争以後の日本外交 : パワ-·ポリティクスの中の満韓問題" 信山社 1999
5 一又正雄, "日本の国際法学を築いた人々" 日本国際問題研究所 37 : 1973
6 심재기, "幕末明治初期에 있어서의 日本의 對朝鮮 對應" 30 : 2000
7 Kato Yoko, "What Caused the Russo-Japanese War-Korea or Manchuria?" 10 (10): 2007
8 Stephen C. Neff, "War and the Law of Nations: A General History" Cambridge Univ. Press 2005
9 F. A. McKenzie, "The Tragedy of Korea" Yonsei University Press 1969
10 Robert B. Valliant, "The Selling of Japan: Japanese Manipulation of Western Opinion, 1900-1905" 29 (29): 1974
1 이원덕, "한일공문서를 통해 본 독도"
2 최덕수, "조약으로 본 한국근대사" 열린 책들 2011
3 박현옥, "시바 료타로의 역사관" 모시는사람들 2014
4 寺本康俊, "日露戦争以後の日本外交 : パワ-·ポリティクスの中の満韓問題" 信山社 1999
5 一又正雄, "日本の国際法学を築いた人々" 日本国際問題研究所 37 : 1973
6 심재기, "幕末明治初期에 있어서의 日本의 對朝鮮 對應" 30 : 2000
7 Kato Yoko, "What Caused the Russo-Japanese War-Korea or Manchuria?" 10 (10): 2007
8 Stephen C. Neff, "War and the Law of Nations: A General History" Cambridge Univ. Press 2005
9 F. A. McKenzie, "The Tragedy of Korea" Yonsei University Press 1969
10 Robert B. Valliant, "The Selling of Japan: Japanese Manipulation of Western Opinion, 1900-1905" 29 (29): 1974
11 Kim Ki Jung, "The Russo-Japanese War in Global Perspective: World War Zero, vol. 2" Brill 2006
12 John Austin, "The Province of Jurisprudence Determined" Cambridge Univ. Press 1995
13 Brahm Swaroop Agrawal, "The Opening of Korea and the Kangwha Treaty of 1876" 11 : 1980
14 Patrick Beillevaire, "The Impact of the Russo-Japanese War" Routledge 2007
15 R. Higgins, "The 1907 Hague Peace Conference as a Milestone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Nijhoff Publisher 2008
16 Douglas Howland, "Sovereignty and the Laws of War : International Consequences of Japan’s 1905 Victory Over Russia" 29 : 2011
17 Anthony Carty, "Philosophy of International Law" Edinburgh Univ. Press 2007
18 Paul Keal, "Just Backward Children: international LAw and the Conquest of Non-European Peoples" 49 (49): 1995
19 Douglas Howland, "Japanese Neutral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 International Law and Transcultural Process" Transcultural Studies 2010
20 John M. Marki, "Conflict and Tension in the Far East: Key Documents, 1894-1960" University Washington Press 1961
21 Peter Malanczuk, "Akehurst’s Moder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Routledge 1987
대일평화조약 제2조 (a)항에 규정된 울릉도에 독도의 포함여부 문제의 검토
Kuril Islands dispute – From the viewpoint of Russia
Claiming Japan’s ‘Northern Territories’ from the Margins: The Early Irredentist Grassroots Movement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7-10-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독도 · 평화연구소 -> 독도연구소영문명 : Dokdo and Peace Research Institute -> Dokdo Research Institute | |
2007-08-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독도연구소 -> 독도 · 평화연구소영문명 : Dokdo Research Institute -> Dokdo and Peace Research Institut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