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한모 초기시 연구 : ‘되기’의 상상력과 연대 의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Jeong han mo’s early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5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alization of existence and the aspect of life that appeared in Jeonghanmo s early days. First of all, darkness appears in his early days, when darkness allows the poet to experience the innermost experience, which means hope and vitality beyond the passage of time. This situation allowed the poet to confront a war of masculine and destructive power. Therefore, darkness served as an image that strengthened the poet s vitality. Many stones come out in the early days. In particular, his stone acts as a driving force that embodies the manifestation of existence. The poet is lonely and anxious due to the experience of war, but he spurs on the realization of existence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erefore, ordinary stones are themselves but such stones make them escape the boundaries of human beings. Gradually becoming a stone becomes transcendental beyond the realization of one s own existence. In the early days erosive imagination emerges when eros act as a solidarity rather than as a simple principle of pleasure. Human beings themselves are in a state of discontinuity, and beyond this sense of isolation or anxiety, the sense of continuity is figuratively present as sexual pleasure. In his poem, Eros goes beyond the question of sex and has continuity and emphasizes solidar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alization of existence and the aspect of life that appeared in Jeonghanmo s early days. First of all, darkness appears in his early days, when darkness allows the poet to experience the innermost experien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alization of existence and the aspect of life that appeared in Jeonghanmo s early days. First of all, darkness appears in his early days, when darkness allows the poet to experience the innermost experience, which means hope and vitality beyond the passage of time. This situation allowed the poet to confront a war of masculine and destructive power. Therefore, darkness served as an image that strengthened the poet s vitality. Many stones come out in the early days. In particular, his stone acts as a driving force that embodies the manifestation of existence. The poet is lonely and anxious due to the experience of war, but he spurs on the realization of existence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erefore, ordinary stones are themselves but such stones make them escape the boundaries of human beings. Gradually becoming a stone becomes transcendental beyond the realization of one s own existence. In the early days erosive imagination emerges when eros act as a solidarity rather than as a simple principle of pleasure. Human beings themselves are in a state of discontinuity, and beyond this sense of isolation or anxiety, the sense of continuity is figuratively present as sexual pleasure. In his poem, Eros goes beyond the question of sex and has continuity and emphasizes solidar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어둠의 긍정성을 통한 타자와 공감의 확장 3. ‘돌멩이 - 되기’를 통한 존재의 발현과 초월성 4. 에로스의 상상력을 통한 연속성과 연대 의식 5. 결론
      • 1. 서론 2. 어둠의 긍정성을 통한 타자와 공감의 확장 3. ‘돌멩이 - 되기’를 통한 존재의 발현과 초월성 4. 에로스의 상상력을 통한 연속성과 연대 의식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훈, "현대시와 에로스" 한국언어문화학회 (32) : 163-184, 2007

      2 전미정, "한국 현대시의 에로티시즘 연구 : 서정주, 오장환, 송욱, 전봉건의 시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3 질 들뢰즈, "푸르스트와 기호들" 민음사 2004

      4 질 들뢰즈, "천 개의 고원" 새물결 2001

      5 김시태, "정한모의 문학과 인간" 시와 시학사 1992

      6 "정한모 시전집1" 포엠토피아 2001

      7 이진경, "오늘의 문예비평" 오늘의 비평 2003

      8 이연승, "여성 생명력의 신화적 회복과 에코페미니즘 - 정한모의 시세계" 한국시학회 (29) : 235-263, 2010

      9 조르주 바타유, "에로티즘" 민음사 1997

      10 슈테판클라인, "어젯밤꿈이나에게말해주는것들" 웅진지식하우스 2016

      1 이승훈, "현대시와 에로스" 한국언어문화학회 (32) : 163-184, 2007

      2 전미정, "한국 현대시의 에로티시즘 연구 : 서정주, 오장환, 송욱, 전봉건의 시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3 질 들뢰즈, "푸르스트와 기호들" 민음사 2004

      4 질 들뢰즈, "천 개의 고원" 새물결 2001

      5 김시태, "정한모의 문학과 인간" 시와 시학사 1992

      6 "정한모 시전집1" 포엠토피아 2001

      7 이진경, "오늘의 문예비평" 오늘의 비평 2003

      8 이연승, "여성 생명력의 신화적 회복과 에코페미니즘 - 정한모의 시세계" 한국시학회 (29) : 235-263, 2010

      9 조르주 바타유, "에로티즘" 민음사 1997

      10 슈테판클라인, "어젯밤꿈이나에게말해주는것들" 웅진지식하우스 2016

      11 로저 에커치, "밤의 문화사" 고유서가 2016

      12 바슐라르, "물과 꿈" 문예출판사 1980

      13 이진경, "노마디즘" 휴머니스트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