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용선, "혁신교육 존 듀이에게 묻다" 살림터 2012
2 Vaughn, Margaret, "학생 주도성" 학지사 2023
3 Holt, John, "학교를 넘어서" 아침이슬 2007
4 김한수, "프레이리 선생님, 어떻게 수업할까요?" 학이시습 2018
5 김용찬, "포스트 매스미디어" 컬처룩 2023
6 최승복, "포노사피엔스는 거꾸로 공부한다" 메디치미디어 2022
7 최승복, "포노 사피엔스 학교의 탄생" 공명 2020
8 최재붕, "포노 사피엔스" 쌤앤파커스 2019
9 Freire, Paulo, "페다고지" 그린비 2002
10 우신영, "팬데믹 시대, 문학교육 앞의 질문들에 대하여" 한국문학교육학회 (71) : 43-69, 2021
1 서용선, "혁신교육 존 듀이에게 묻다" 살림터 2012
2 Vaughn, Margaret, "학생 주도성" 학지사 2023
3 Holt, John, "학교를 넘어서" 아침이슬 2007
4 김한수, "프레이리 선생님, 어떻게 수업할까요?" 학이시습 2018
5 김용찬, "포스트 매스미디어" 컬처룩 2023
6 최승복, "포노사피엔스는 거꾸로 공부한다" 메디치미디어 2022
7 최승복, "포노 사피엔스 학교의 탄생" 공명 2020
8 최재붕, "포노 사피엔스" 쌤앤파커스 2019
9 Freire, Paulo, "페다고지" 그린비 2002
10 우신영, "팬데믹 시대, 문학교육 앞의 질문들에 대하여" 한국문학교육학회 (71) : 43-69, 2021
11 Rosenblatt, Louise M., "탐구로서의 문학" 한국문화사 2006
12 Dewey, John,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박영사 2019
13 Arendt, Hannah,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17
14 양지윤, "이걸요? 제가요? 왜요? … MZ ‘3요’에 임원도 떤다"
15 염은열, "예비교사의 교과 통합 수업 능력 함양을 위한 국어과 강좌 운영 사례"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75) : 291-322, 2022
16 정혜승, "역량 함양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2021
17 정재찬,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문학교육의 실천" 한국독서학회 (21) : 111-160, 2009
18 Anderson, Benedict, "상상의 공동체" 나남 2003
19 Dewey, John,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2007
20 Freire, Paulo, "문해교육" 학이시습 2014
21 김대행, "문학생활화의 패러다임" 한국문학교육학회 7 : 9-23, 2001
22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9"
23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8"
24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7"
25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10"
26 이원영, "문학교육적 역설로서 ‘문학 생활화’ 교육의 문제 - 문학하기의 ‘즐거움’과 문학적 ‘통과의례’를 기제로 한 역설의 정치(正治)법-" 한국어교육학회 (174) : 315-343, 2021
27 김성진, "문학교육은 저자성의 변화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한국어교육학회 (173) : 29-56, 2021
28 최미숙, "문학교육론"
29 구연정, "디지털 시대 문자의 미래와 문학교육 – 빌렘 플루서의 ‘읽기’의 전환에 대한 소고" 한국독일현대문학회 (60) : 45-70, 2023
30 Wolf, Maryanne, "다시, 책으로" 어크로스 2019
31 Baron, Naomi S.,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어크로스 2023
32 노진규 ; 강현석, "내러티브 자아에 근거한 자기주도 학습의 재개념화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9 (9): 77-103, 2021
33 장석훈, "나는 오늘도 메타버스로 출근합니다"
34 염은열, "글쓰기 개념 생태계 기술을 위한 시론"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2) : 157-176, 2003
35 柄谷行人, "근대문학의 종언" 도서출판 b 2006
36 Gadamer, Hans Georg, "교육은 자기 교육이다" 동문선 2004
37 Arendt, Hannah, "과거와 미래 사이" 푸른숲 2005
38 김성진, "‘근대 문학의 종언’과 문학교육 - 읽기 중심주의에 대한 성찰 -" 한국문학교육학회 (76) : 87-112, 2022
39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40 Toulmin, S., "Human understanding" Princeton Uni. Press 1972
41 Biesta, G., "How is agency possible? Towards an ecological understanding of agency-as-achievement"
42 노은희,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최종안)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43 국가교육위원회,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사회적 협의 결과 및 권고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