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速川治郞,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논리" 문예출판사 1989
2 신일철, "프랑크푸르트 학파" 청람문화사 103-123, 1985
3 Höffe, H. Otfried, "철학의 거장들4" 한길사 2014
4 이찬, "오규원의 초기 시론 연구 -『현실과 극기』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34) : 381-411, 2011
5 김혜원, "오규원의 ‘날이미지시’에 나타난 사진적 특성-『롤랑 바르트의 카메라 루시다』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83) : 305-330, 2012
6 신주철, "오규원과 비스와바 쉼보르스카의 시작품 비교 연구" 세계문학비교학회 (28) : 31-50, 2009
7 김문주, "오규원 후기시의 자연 형상 연구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와 『두두』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2) : 145-168, 2010
8 이연승, "오규원 초기시의 창작방법과 이미지 연구" 한국시학회 (5) : 171-194, 2001
9 윤의섭, "오규원 초기시의 시간의식 연구" 한국시학회 (45) : 167-192, 2016
10 이윤정, "오규원 초기시의 공간 인식과 시세계의 변모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40) : 289-309, 2009
1 速川治郞,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논리" 문예출판사 1989
2 신일철, "프랑크푸르트 학파" 청람문화사 103-123, 1985
3 Höffe, H. Otfried, "철학의 거장들4" 한길사 2014
4 이찬, "오규원의 초기 시론 연구 -『현실과 극기』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34) : 381-411, 2011
5 김혜원, "오규원의 ‘날이미지시’에 나타난 사진적 특성-『롤랑 바르트의 카메라 루시다』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83) : 305-330, 2012
6 신주철, "오규원과 비스와바 쉼보르스카의 시작품 비교 연구" 세계문학비교학회 (28) : 31-50, 2009
7 김문주, "오규원 후기시의 자연 형상 연구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와 『두두』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2) : 145-168, 2010
8 이연승, "오규원 초기시의 창작방법과 이미지 연구" 한국시학회 (5) : 171-194, 2001
9 윤의섭, "오규원 초기시의 시간의식 연구" 한국시학회 (45) : 167-192, 2016
10 이윤정, "오규원 초기시의 공간 인식과 시세계의 변모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40) : 289-309, 2009
11 김민지, "오규원 중기 시의 시적 방법론과 몸" 전남대한국어문학연구소 28 : 117-139, 2015
12 박선영, "오규원 시의 아이러니와 실존성의 상관관계 연구" 국제어문학회 (32) : 143-174, 2004
13 장동석, "오규원 시의 사물 제시 방법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35) : 317-344, 2011
14 송기한, "오규원 시에서의 ‘언어’의 현실응전 방식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30 (30): 409-432, 2007
15 김지선, "오규원 시에 나타난 주체의식의 변모 양상" 동악어문학회 (50) : 311-336, 2008
16 이광호, "오규원 시에 나타난 도시 공간의 이미지" 문학과환경학회 8 (8): 171-194, 2009
17 정유미, "오규원 시에 나타난 날이미지의 환유 체계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9) : 237-254, 2011
18 박래은, "오규원 시에 나타나는 도시 사물성과 유동의 시학-1970~80년대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66) : 91-120, 2021
19 이찬, "오규원 시론의 변모 과정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1) : 67-102, 2011
20 이찬, "오규원 시론에 나타난 ‘초월성’의 의미 -「언어와 삶」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4) : 401-426, 2011
21 정성철, "예술사회학으로서의 아도르노 미학" 한국미학회 (58) : 35-77, 2009
22 문광훈, "아도르노의 사회이론과 예술이론" 문학과지성사 132-141, 1993
23 이종하, "아도르노의 문화철학" 철학과현실사 2007
24 Adorno, Theodor W., "아도르노의 문학이론" 민음사 1985
25 Hamel, Claudie,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오뒷세이아" 열린책들 2014
26 김유동, "아도르노와 현대사상" 문학과지성사 93-121, 1997
27 이순예, "아도르노와 자본주의적 우울" 풀빛 2005
28 문광훈, "아도르노와 김우창의 예술문화론" 한길사 2006
29 김유동, "아도르노 사상" 문예출판사 1993
30 원준식, "아도르노 미학에서 미메시스와 합리성의 변증법" 한국미학예술학회 26 : 57-83, 2007
31 DeNora, Tia, "아도르노 그 이후" 한길사 2012
32 서울사회과학연구소, "소크라테스에서 미셸 푸코까지" 중언문화 2010
33 Adorno, Theodor W., "부정변증법강의" 세창출판사 2012
34 Adorno, Theodor W., "부정변증법" 한길사 1999
35 배용준, "변증법적 미학에 있어서 형식과 내용 - 헤겔과 아도르노의 형식과 내용을 중심으로 -" 한국동서철학회 63 : 97-125, 2012
36 정경은, "버리기와 더하기의 변증법 —오규원 시 연구" 한국문예창작학회 13 (13): 97-124, 2014
37 Adorno, Theodor W., "미학이론" 문학과지성사 2005
38 권대중, "미학과 그 외연" 월인 2010
39 박영욱, "미적 가상과 놀이-아도르노의 미학 이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3 (23): 109-136, 2012
40 Adorno, Theodor W., "미니마 모랄리아" 도서출판길 2012
41 김웅식, "문화산업 시대의 글쓰기와 날이미지의 시" 돈암어문학회 15 : 22-45, 2002
42 Hammermeister, Kai, "독일미학전통" 이학사 2014
43 유형식, "독일미학" 논형 522-533, 2009
44 정재각, "독일 사회철학 강의" 인간사랑 2015
45 한래희, "김현 비평의 아도르노 미학 수용 양상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22 (22): 59-90, 2014
46 노명우, "계몽의 변증법" 살림출판사 2005
47 Horkheimer, M.,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2002
48 서진영, "‘시선’의 사유와 탈근대적 시간의식 -정진규와 오규원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2) : 309-342, 2007
49 홍정수, "20세기 음악미학 이론" 심설당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