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비디오 아트에서 시간과 기억 이미지 - 베르그손의 시간 개념을 중심으로 비디오 작품 사례분석 - = Time and Memory Image in Video Art - Analysis of Video Art Cases Focusing on Bergson`s Time Concep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93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비디오 아트는 현재를 지속시키거나 분열된 시점의 현재 그리고 사건 없는 시간자체를 보여줌으로써 영화와 달리 내러티브에 종속되지 않는 순수한 시간 그 자체를 드러내려 시도한다. 시...

      비디오 아트는 현재를 지속시키거나 분열된 시점의 현재 그리고 사건 없는 시간자체를 보여줌으로써 영화와 달리 내러티브에 종속되지 않는 순수한 시간 그 자체를 드러내려 시도한다. 시간을 기록하고 변형하는 비디오 아트에서 현재와 시간의 본질에 관한 물음은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비디오 초창기에는 기록과 동시에 투사되는 실시간성을 표현하는데 주력했다면 오늘날 비디오에서는 분열되고 해체되며 끊임없이 나타났다 사라짐을 반복하는 비결정적인 불특정한 시간성을 보여주는 이미지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특성이 강화된 비디오 아트에서는 시간이 추상적인 리듬을 만들어 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는 비디오 아트에서 변형되는 시간개념을 베르그손(Henri Bergson)의 지속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베르그손에 의하면 시간은 지속되는 것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상태 그 자체를 의미한다. 그래서 현재는 이미 주어진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지속은 한 지점으로 분리되지 않는 과거, 현재 미래의 공존을 이루게 된다. 그래서 지나가버린 과거를 이루는 기억들이 현재와 함께 하고 있다. 이러한 기억과 시간에 관한 개념을 프랑스 비디오 아티스트인 로버트 카엔(Robert Cahen)과 미국출신의 미디어 아티스트인 제레미 블레이크(Jeremy Blake)의 디지털 비디오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로버트 카엔의 비디오에서 시간은 한 가지 감정으로 귀속되지 않는 여러 결의 감정의 상태가 얽혀있는 이미지로 표현된다. 그의 이미지들은 느린 시간 속에 과거와 또 그 이전의 과거가 겹쳐있는 채로 보여진다. 소멸하지 않는 기억 이미지들은 현재의 행동에 관여해 다양한 질적인 차이들을 생성해낸다. 또한 블레이크의 사진적 이미지들은 색면으로 전환되어가는 과정들을 드러낸다. 이야기의 서사를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과정들에 관여하는 색면들의 리듬은 현실에서 기억으로 변환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두 예술가들의 비디오작품들은 하나의 이미지로 결정되지 않는 흘러가고 비결정적인 시간의 실재를 드러낸다. 현재가 흘러가며 하나의 색으로 전환되어 감각이미지로 변하는 과정 혹은 현재 속에 드러나는 고통, 기쁨, 슬픔 등의 다양한 질적 차이를 보이는 이미지들의 교차를 보여주기 위해 예술가들은 비디오의 이미지 중첩, 느린 시간, 서서히 사라지게 하는 전환 등을 사용한다. 그래서 보이지 않는 시간의 실재는 예술가의 손을 거쳐 지각할 수 있는 이미지로 생성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는 기계적인 지각을 통해 시간을 해체하고 재구성해 잠재적이고 유동적인 이미지들로 겹쳐져있는 실재를 시각화함으로써 자신만의 미학을 드러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Video Art, time represented by delay a moment or split up vision for dissemble story, not same as cinema. Problem of time and present is rational interest in video art. In the early video history, artistes focalized real-time for record time as it ...

      In Video Art, time represented by delay a moment or split up vision for dissemble story, not same as cinema. Problem of time and present is rational interest in video art. In the early video history, artistes focalized real-time for record time as it is. But Nowadays in video art, time represented as constantly repeat and temporal image. In particular, time in digital art realm became important feature for makes abstract rhythm. This study investigate the concept of time of Bergson for analysis video art, According to Bergson, time means the state itself which constantly changes. So the current is continuously generated, not already is given. And duration is co-existed with past, present, future that is not separated as a point. Past memories are not disappeared but conserved as potential images surrounding our present. To evaluate these memories and concept of duration, this paper analysis Robert Cahen`s video art and Jeremy Blake`s digital video art in terms of the time. In Cahen`s video art, the time is represented as images in various resolutions intertwined emotional state that does not belong in one feeling. His video shows overlapping images in the previous image with slow motion. Memories that do not decayed involve in present and create variety of qualitative differences. Blake makes photographic images to the color field by dissolving and switching original images. Rhythm of color shows process of dismantling and reconstructing the narrative of the story and convert real life to the memory. In slow time, artists makes image superimpose and gradually disappear by using digital conversion. So the real of invisible time thought figurative process becomes perceptible. Thus, video art reveals their own aesthetics by visualizing the reality that overlap with potential and flexible image thought mechanical percep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eleuze, Gille, "시네마1,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2002

      2 조현수, "베르그손 <지속> 이론의 근본적인 변화: 시간 구성에 있어서 미래의 주도적 역할" 철학연구회 (95) : 29-57, 2011

      3 Bergson, Henri, "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9

      4 박성수, "들뢰즈" 이룸 2004

      5 Deleuze, Gille, "감각의 논리" 민음사 2010

      6 Krauss, Rosalind, "Video: The Aesthetics of Narcissism" 1 : 1976

      7 "Tilloufineart.com "WINCHESTER""

      8 Jamson, Frederic, "Postmodernism and Consumer Society, The Anti -Aesthetic : Essay on Postmodern Culture" Bay Press 1983

      9 "Lefresnoy.net. "Deux Eternites Proches""

      10 Robert Cahen, "L'étreinte"

      1 Deleuze, Gille, "시네마1,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2002

      2 조현수, "베르그손 <지속> 이론의 근본적인 변화: 시간 구성에 있어서 미래의 주도적 역할" 철학연구회 (95) : 29-57, 2011

      3 Bergson, Henri, "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9

      4 박성수, "들뢰즈" 이룸 2004

      5 Deleuze, Gille, "감각의 논리" 민음사 2010

      6 Krauss, Rosalind, "Video: The Aesthetics of Narcissism" 1 : 1976

      7 "Tilloufineart.com "WINCHESTER""

      8 Jamson, Frederic, "Postmodernism and Consumer Society, The Anti -Aesthetic : Essay on Postmodern Culture" Bay Press 1983

      9 "Lefresnoy.net. "Deux Eternites Proches""

      10 Robert Cahen, "L'étreinte"

      11 Bassan, Raphaël, "Créateurs de prototypes : Patrick Bokanowski et Robert Cahen, entretien" (100) : 2011

      12 Bill Viola, "BILL VIOLA: Video Black-The Mortality of the Image, (experpts,1990) from Illuminating Video: An Essential Guide to Video Art, eds. Doug Hall and Sally Jo Fifer" Aperature

      13 Connor, Michel, "Abstract Vide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예술과 미디어학회 -> 예술과미디어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 예술과 미디어학회
      영문명 : Council for Advanced Media & Moving pictures ->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31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