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차년도에 (1)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사회적 상황이야기에 대한 문헌연구, (2) 애니메이션 상징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상황이야기 개발을 진행하며, 2차년도에 (3) 개발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0895
201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차년도에 (1)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사회적 상황이야기에 대한 문헌연구, (2) 애니메이션 상징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상황이야기 개발을 진행하며, 2차년도에 (3) 개발된 ...
본 연구는 1차년도에 (1)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사회적 상황이야기에 대한 문헌연구, (2) 애니메이션 상징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상황이야기 개발을 진행하며, 2차년도에 (3) 개발된 인터랙티브 상황이야기의 교육현장에서의 검토, (4) 장애학생 대상 실행 효과 검토 및 효율적인 활용 방안 제시의 네 단계로 실행될 계획이다. 보다 구체적인 핵심 연구내용의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연구방법 등은 다음과 같다.
(1) 문헌연구
◆ 자폐성장애 학생들의 인터랙티브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에 관한 체계적 문헌분석
<연구질문>
첫째, 국내외의 자폐성장애 학생들에 대한 인터랙티브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중재는 어떠한 교수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졌는가?
둘째, 인터랙티브 상황이야기는 사회적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는데 얼마나 효과적인가?
셋째, 인터랙티브 상황이야기는 자폐성장애 학생들의 어떠한 사회적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는가?
◆ 상황이야기 내용 및 사회성 검사도구 내의 상황 이야기 검토
① 상황이야기의 내용 검토: 분석대상 논문 및 상업적, 교사제작용, 사회성 기술 검사도구용 상황이야기 등으로 분류하여 검토한다.
② 개발 대상 상황이야기 선정: 검토된 상황이야기 중 인터랙티브 상황이야기 앱으로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상황이야기를 선정한다.
(2) 인터랙티브 사회적 상황 이야기 개발
◆ 인터랙티브 사회적 상황이야기 콘텐츠 개발
① 핵심 어휘의 애니메이션 상징화: 선정된 상황이야기의 핵심키워드를 선정하여 애니메이션 상징화작업을 실시한다.
② 어휘 및 상징에 대한 내용 타당도 검증: 선정된 핵심어휘 및 상징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한다.
◆ 인터랙티브 사회적 상황 이야기 앱 개발
① 상황이야기 스토리보드 작성: 인터랙티브 상황이야기 앱을 개발하기 위한 스토리보드 도안을 작성한다.
② 인터랙티브 상황 이야기 앱 개발:음성 및 그림파일을 준비하고 TTS(문자를 음성화하기)기능을 활성화시키며 앱기반의 인터랙티브 활동이 가능하도록 제작하고 쉽게 새로운 상황이야기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③ 애니메이션 상징 및 인터랙티브 데이터베이스 구축
(3) 인터랙티브 사회적 상황이야기 앱 현장검토
◆ 인터랙티브 사회적 상황이야기 앱 사용성 평가를 위한 전문가 포커스 그룹인터뷰
①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실시
- 인터랙티브 사회적 상황 이야기 활용 시 기대되는 효과
- 현장 활용시의 방해요인/촉진요인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
- 활용 사례 공유
② 자료 분석: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사용성 평가 자료들은 각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자유롭게 제시한 의견들을 비슷한 내용들끼리 분류하여 정리해 나가는 상향식 접근방식(bottom-up approach)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한다.
◆ 앱의 수정 및 보완
- 사용성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앱의 기능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피드백을 참고하여 앱의 구성 등을 수정 및 보완한다.
(4) 장애학생 대상 중재연구
◆ 인터랙티브 사회적 상황이야기 앱을 활용한 중재 절차 고안
- 중재절차 설계 및 강화전략 수립
◆ 인터랙티브 사회적 상황이야기 앱을 활용한 단일대상 연구 실시
-연구 참여자: 통합된 일반학급 및 특수학급에 배치되어 있는 자폐성장애 학생들 3~5명
-독립변인: 인터랙티브 상황이야기 앱 활용 중재
-종속변인: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
-연구설계: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
-자료 수집 및 분석: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기에서 장애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행동의 변화를 회기별로 기록한 후 그래프를 통해 시각적(평균, 추세, 비중복률)으로 분석하고, 구간 간 효과크기(Tau-U)를 측정
- 신뢰도 측정: 각 구간 별로 최소 20% 이상의 신뢰도를 측정
- 중재 충실도: 전체 중재 중 30% 이상의 회기에서 중재를 관찰 후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