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roup counseling for domestic family violence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o achieve this goal,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concepts ‘self-esteem’, ‘congruent commun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44279
2005
-
KCI등재
학술저널
137-154(18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roup counseling for domestic family violence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o achieve this goal,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concepts ‘self-esteem’, ‘congruent commun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roup counseling for domestic family violence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o achieve this goal,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concepts ‘self-esteem’, ‘congruent communication’. The program focuses on making participants to realize their dysfunctional communication in current circumstances by raising each other's self-esteem in the group counseling, and also on improving family structure and way of communication with emphasis on emotions and feelings of family members. Objects of the study have been limited to those who ordered to be counseled by court under the application of ‘the Special Law in Punishment and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Acts' and ‘the Law in Victim Protection under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t Acts'. A Group of between age 33 and 55 under domestic violence chosen. The program for the experiment group has been carried out for 120 minutes each week in total.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pplication for the program, a quality method has been used to analysis entire process of the group counsel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ports, the program has been proved to be effective.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 tests of the Program of Group Counseling for Domestic Family Violence are as follows; Members experiencing “Program of Group Counseling for Domestic Family Violence” showed improvement in self-esteem. Members experiencing “Program of Group Counseling for Domestic Family Violence” showed improvement in congruent communication. The study of program of group counseling for domestic family violence results that's it has positive effect improving self-esteem, congruent communication, we conclude that the domestic family violence group effective.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행위자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가정폭력 행위자를 대상으로 자기 존중 향상과 일...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행위자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가정폭력 행위자를 대상으로 자기 존중 향상과 일치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먼저,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이 지금-여기에서 일어나는 상황에서 부정적인 감정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인식하게 하며, 둘째 가족구성원들의 정서적 측면과 감정에 관심을 두면서 자기 존중 향상을 통한 일치적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의 훈련 대상은 「가정폭력방지의 처벌 등에 관한 특별법」과 「가정폭력방지의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신고가 되어, 법원으로부터 상담위탁처분 명령을 받은 자들로 국한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 대상자들의 연령은 33세부터 55세까지의 가정폭력 행위자 6명을 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의 프로그램은 총 11회기로 매 회기 120분씩 11주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질적 분석방법으로 먼저 참여자들이 그 목적에 도달하는 상담내용과 상담과정들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전에 실시한 심층면접과 개인상담 그리고 집단상담이 끝난 후 본 연구자와 관찰자가 함께 모여 각 참여자에 대해서 토의한 것을 분석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가정폭력 행위자들에게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폭력 행위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은 경험하기 전과 비교하여 볼 때 자존감을 향상시켰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은 경험하지 전과 비교하여 볼 때 일치적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 가정폭력 행위자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존감, 일치적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가정폭력 행위자에 실시한 본 프로그램은 효과적이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가부장적 테러리즘:아내 구타자 교육 프로그램" 하우 1999
2 "학대받는 아내의 능력고취를 위한 집단사회사업실천의 효과성" 서울대학교 1999
3 "폭력 가정 청소년의 가족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96
4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1998
5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가정폭력과 여성인권" 또하나의 문화 2001
6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부부 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10 (10): 45-73, 2002
7 "여성상담 사례집" 한국여성의 전화 1995
8 "아내구타의 발생과 지속 과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1985
9 "아내구타에 대한 태도 조사 정신건강연구 한양대 정신건강연구소" 3 : 1987
10 "아내 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도시 중산층 부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1998
1 "한국의 가부장적 테러리즘:아내 구타자 교육 프로그램" 하우 1999
2 "학대받는 아내의 능력고취를 위한 집단사회사업실천의 효과성" 서울대학교 1999
3 "폭력 가정 청소년의 가족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96
4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1998
5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가정폭력과 여성인권" 또하나의 문화 2001
6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부부 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10 (10): 45-73, 2002
7 "여성상담 사례집" 한국여성의 전화 1995
8 "아내구타의 발생과 지속 과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1985
9 "아내구타에 대한 태도 조사 정신건강연구 한양대 정신건강연구소" 3 : 1987
10 "아내 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도시 중산층 부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1998
11 "아내 학대에 관한 페미니스트 접근에 관한 사회사업적 분석" 서울대학교 1994
12 "부부폭력 가해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45-62, 1999
13 "부부간 폭력과 가정생활 및 청소년" 청소년보호위원회 1998
14 "매 맞는 아내들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8
15 "대구지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형의 아내학대 발생과 원인파악을 위한 연구" 19 : 341-379, 1999
16 "남편의 성장기 폭력 경험 심리적 특성 및 부부간 상호 작용이 아내 폭력에 미치는 영향 폭력의 연속성 가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1
17 "경험적 가족치료: Satir의 이론과 기법" 중앙적성출판사 1996
18 "가족주의와 가부장적 테러리즘으로서 아내구타" 9 : 49-80, 1997
19 "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1999
20 "가족 학대 가족 폭력" 나남출판사 2001
21 "가정폭력의 허상과 실상" 길안사 1999
22 "가정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8
23 "가정폭력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서울시 남편의 아내폭력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2
24 "가정폭력 예방 및 대처 프로그램 모형개발 배우자 학대를 중심으로" 1997
25 "가정폭력 경험이 청소년 학교 폭력에 미치는 영향-사례연구를 중심으로" 1999
26 "가정폭력 가해자 집단프로그램" 나눔의 집 2000
27 "Toward a phenomenological intervention with violence in intimate relationships families." Sage. 1996
28 "The New People Making" Science and Behavior Books 1988
29 "Satir의 가족조각 기법 집단상담이 인생태도에 미치는 효과 및 상담 효과 요인분석" 8 (8): 3-22, 1996
30 "Perceived change processes in emotionally focused coupled therapy" 2 (2): 5-31, 1988
31 "Peoplemaking" Science and Behavior Books 1972
32 "Future interventions with battered women and their families" Sage 1996
33 "Emotion in psychotherapy" 198919-20
34 "Determinants of Violence in the Family In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The Free Press 1979
35 "Couple therapy with battered women and abusive men Does it have a future?" Sage. 1996
36 "Battered women's strategic response to violence The role of context" Sage. 1996
37 "A review of the research in the seven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873-885, 1980
38 "3월 1일자" 1998
39 ".도시 부부의 폭력 행위에 관한 연구:아내에 대한 폭력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1987
남자 대학생의 외향성, 신경증적 경향성, 성역할, 성역할 갈등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기독교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 -H 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9-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5-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3-2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19 | 2.19 | 2.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45 | 2.48 | 3.426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