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문양 이미지를 적용한 특수분장 기법의 아트 메이크업 연구 = Art Make-up Study of Special Effects Make-up Techniques with Traditional Korean Pattern Im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47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트 메이크업은 신체에 행하는 표현예술로써 현대 조형예술의 한 분야이며, 파격적 소재와 다양한 기법의 사용으로 오브제의 형태로 나타난다. 아트 메이크업은 다양한 예술분야의 조합을 통하여 특색 있는 표현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특수분장 기법을 적용한 아트 메이크업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통문양 중 단청문양의 조형적 특징을 고찰하고, 특수분장 기법을 적용한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을 표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작품에 사용된 전통문양은 단청문양을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하였으며, 구성방식은 좌·우 대칭형의 시각적인 균형감을 주었고, 배색은 오방간색을 사용하여 보색대비를 주었다. 또한 아트 메이크업에 필요한 오브제가 더욱 부각 되도록 특수분장 기법을 적용하여 표현영역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특수분장 기법을 활용한 아트 메이크업이 조형적인 예술 표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전통문양의 내재된 상징적 의미와 한국미를 표현한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아트 메이크업의 표현 영역이 확대되고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데 그 의의를 둔다.
      번역하기

      아트 메이크업은 신체에 행하는 표현예술로써 현대 조형예술의 한 분야이며, 파격적 소재와 다양한 기법의 사용으로 오브제의 형태로 나타난다. 아트 메이크업은 다양한 예술분야의 조합을...

      아트 메이크업은 신체에 행하는 표현예술로써 현대 조형예술의 한 분야이며, 파격적 소재와 다양한 기법의 사용으로 오브제의 형태로 나타난다. 아트 메이크업은 다양한 예술분야의 조합을 통하여 특색 있는 표현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특수분장 기법을 적용한 아트 메이크업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통문양 중 단청문양의 조형적 특징을 고찰하고, 특수분장 기법을 적용한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을 표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작품에 사용된 전통문양은 단청문양을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하였으며, 구성방식은 좌·우 대칭형의 시각적인 균형감을 주었고, 배색은 오방간색을 사용하여 보색대비를 주었다. 또한 아트 메이크업에 필요한 오브제가 더욱 부각 되도록 특수분장 기법을 적용하여 표현영역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특수분장 기법을 활용한 아트 메이크업이 조형적인 예술 표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전통문양의 내재된 상징적 의미와 한국미를 표현한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아트 메이크업의 표현 영역이 확대되고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데 그 의의를 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t make-up is an expression art performed on the body, and is a part of modern formative art, and it has emerged in the form of objects using unconventional materials and various techniques. Art make-up requires a distinctive way of expression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of art fields. Therefore, I would like to design art makeup with special makeup techniqu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rmative features of Dancheong patterns among traditional patterns and to express art make-up designs applied with special make-up techniques. The traditional patterns used in the work were designed based on the motif of the Dancheong pattern, and the composition method provided a symmetrical bal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coloration was given a complementary contrast using obanggan colors. In addition, special make-up techniques were used to present expression areas to further highlight objects needed for art make-up.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art make-up using special make-up techniques was possible to express formative art.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was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develop the expression area of art make-up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nd producing works that express the inherent symbolic meaning and Korean beauty.
      번역하기

      Art make-up is an expression art performed on the body, and is a part of modern formative art, and it has emerged in the form of objects using unconventional materials and various techniques. Art make-up requires a distinctive way of expression throug...

      Art make-up is an expression art performed on the body, and is a part of modern formative art, and it has emerged in the form of objects using unconventional materials and various techniques. Art make-up requires a distinctive way of expression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of art fields. Therefore, I would like to design art makeup with special makeup techniqu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rmative features of Dancheong patterns among traditional patterns and to express art make-up designs applied with special make-up techniques. The traditional patterns used in the work were designed based on the motif of the Dancheong pattern, and the composition method provided a symmetrical bal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coloration was given a complementary contrast using obanggan colors. In addition, special make-up techniques were used to present expression areas to further highlight objects needed for art make-up.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art make-up using special make-up techniques was possible to express formative art.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was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develop the expression area of art make-up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nd producing works that express the inherent symbolic meaning and Korean beau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주, "화문 단청문양을 응용한 전통 헤어 장신구의 현대적 표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454-463, 2013

      2 박미정, "현대 아트메이크업에 나타난 페이스페인팅의 시뮬라시옹 표현기법과 페인팅의 재료특성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2020

      3 김보균, "한지 마스크에 마블링(Marbling)을 활용한 아트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24) : 53-75, 2014

      4 임도연, "한류문화 발전에 미치는 한국 메이크업 산업: K-Beauty의 현재와 미래" 한국문화산업학회 15 (15): 31-37, 2015

      5 예인걸, "한국 전통문양의 현대적 재구성을 통한 티셔츠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학회 37 (37): 270-279, 2013

      6 황선희, "한국 전통 연화이미지를 적용한 프로스테틱 특수분장 기법의 아트메이크업" 한복문화학회 23 (23): 87-98, 2020

      7 신세영, "한국 전통 문양 및 색채를 활용한 뷰티디자인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 (26) : 279-300, 2014

      8 김은옥, "한국 전통 꽃문양 헤어아트 작품 연구 : 김진숙 작품을 중심으로" 11 (11): 82-83, 2017

      9 김유경, "하이브리드(hybrid) 캐릭터의 분장 디자인 요소에 따른 조형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113-125, 2014

      10 "표준국어대사전"

      1 이현주, "화문 단청문양을 응용한 전통 헤어 장신구의 현대적 표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 (19): 454-463, 2013

      2 박미정, "현대 아트메이크업에 나타난 페이스페인팅의 시뮬라시옹 표현기법과 페인팅의 재료특성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2020

      3 김보균, "한지 마스크에 마블링(Marbling)을 활용한 아트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24) : 53-75, 2014

      4 임도연, "한류문화 발전에 미치는 한국 메이크업 산업: K-Beauty의 현재와 미래" 한국문화산업학회 15 (15): 31-37, 2015

      5 예인걸, "한국 전통문양의 현대적 재구성을 통한 티셔츠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학회 37 (37): 270-279, 2013

      6 황선희, "한국 전통 연화이미지를 적용한 프로스테틱 특수분장 기법의 아트메이크업" 한복문화학회 23 (23): 87-98, 2020

      7 신세영, "한국 전통 문양 및 색채를 활용한 뷰티디자인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 (26) : 279-300, 2014

      8 김은옥, "한국 전통 꽃문양 헤어아트 작품 연구 : 김진숙 작품을 중심으로" 11 (11): 82-83, 2017

      9 김유경, "하이브리드(hybrid) 캐릭터의 분장 디자인 요소에 따른 조형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113-125, 2014

      10 "표준국어대사전"

      11 박정신, "패션쇼메이크업에 나타난 질감요소의 이미지영역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 19 (19): 135-144, 2013

      12 이현주, "특수분장이 적용된 캐릭터 개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13 김승현, "특수분장에 사용하는Silicone의 특성에 관한 조사" 5 (5): 253-261, 2009

      14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코리아넷뉴스"

      15 이송자, "전통문양을 활용한 Symmetry 디자인 전개" 한국의류산업학회 10 (10): 364-370, 2008

      16 한정아, "전통문양을 응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고려도자기에 나타난 당초 문양을 중심으로-" 4 (4): 51-, 2006

      17 허균, "전통문양(빛깔있는 책들 165)" 대원사 14-, 1995

      18 한정아, "전통 문양을 응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4 (4): 52-, 2006

      19 "옥스퍼드 영한사전"

      20 김혜균, "오브제 융합 아트메이크업디자인 표현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7 (37): 81-92, 2019

      21 방수진, "아트메이크업에 표현된 오브제의 특성에 관한 연구Ⅱ-Christian Dior 패션쇼를 중심으로-" 3 (3): 49-50, 2009

      22 신원선, "아트 메이크업 교육을 위한 MIS 디자인 발상 프로세스"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2

      23 김미정,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메이크업아티스트 교과 과정에 관한연구"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 6 (6): 28-29, 2010

      24 염미선, "민화의 화조화에 나타난 모티브와 색채를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8 (18): 115-125, 2016

      25 한국미용학회 편찬위원회, "미용학 사전" 지능신기교육 573-, 2003

      26 나 경, "무대공연에 나타난 분장에 관한 연구 : 뮤지컬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03

      27 이현주, "단청문양을 응용한 수식 연구 : 비녀, 뒤꽂이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4

      28 이유나, "단청과 꽃살문을 응용한 네일 디스펜서 커버디자인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0

      29 정은정, "단청 문양을 활용한 3D 디지털 메이크업 작품 연구" 한복문화학회 24 (24): 19-29, 2021

      30 임도연, "깃털, 비즈, 조화를 주재로 한 오브제 활용 아트 메이크업의 표현" 한국문화산업학회 15 (15): 119-124, 2015

      31 김난희, "Henna Designs Applied by Korean Traditional Pattern"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null (null): 151-160, 2015

      32 심주영, "Fat Make-up 사례 및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본 특수분장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33 김학순, "A Study on the nail design with the motive of Korean patterns"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4 (24): 5-14, 2010

      34 Ha-Ram Shin,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Using Korean Traditional Danchung Pattern"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2 (22): 25-38, 2019

      35 Haeran Lee, "A Study on the Design of New Hanbok Using Danchung’s Flower Pattern"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0 (20): 5-22, 2017

      36 Ki-Weon Park, "A Study of Up-Style design Using Dancheong Pattern from Flower Patten"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0 (20): 279-290,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