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성균관 반수(泮水)의 연원과 특성 = Characteristics of Bansu at Sunggyungwan in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0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bout the Bansu which surrounded the Sunggyungwan(成均館), national university in the Joseon Dynasty to ge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t Korean traditional school campus by analyzing cul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bout the Bansu which surrounded the Sunggyungwan(成均館), national university in the Joseon Dynasty to ge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t Korean traditional school campus by analyzing cultural meaning and historical origin. The earliest record about the Bansu was in "The Book of Odes(詩經)" as Bansu was the water flowing near the Ban palace(泮宮). But, in the following time, Bansu has become the symbol of the school which was built by the feudal lords and one of very important elements in the temple-school(廟學) landscape. The Bansu of Sunggyungwan at Joseon Dynasty was the streams flowing at the east and west of the school campus and get together at the south. Sunggyungwan was located in the sacred place which followed the special organization of Bansu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Bansu in Joseon Dynasty was influenced by the Bansu in Song Dynasty(宋), but it was different from the Bansu in Ming and Qing Dynasty which has been formulated as the halfround pond in front of the school. This research tried to find the reason why in the Josenon Dynasty the stream flowing around the school was regarded as the Bansu. Bansu was also regard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public school, Hyanggyo(鄕校) and the private Seowon(書院).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streams which flows around the Seowon or the Hyanggyo were found as called Bansu. Water stream around the Hyanggyo and the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has to be reconsidered under the deep research on the organization of Ban-su.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성균관을 끼고 도는 물인 반수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함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 전통조경에서 학교 조경의 특질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반수를 기록한 최초의...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성균관을 끼고 도는 물인 반수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함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 전통조경에서 학교 조경의 특질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반수를 기록한 최초의 문헌인 "시경"에서 반수는 반궁 곁에 흐르는 하천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그러나 후대에 반수는 제후의 학교인 반궁(泮宮) 조영에 있어 필수적인 조경시설이 되었고, 묘학의 중요한 위상을 점유한 수계로 인식되었다. 조선시대 성균관 반수의 개념은 학교 동서로 물이 흐르고 남쪽에서 합류되는 물길을 말하며, 성균관은 국초에 개성 성균관의 공간구성을 답습하여 이러한 지세가 있는 곳에 입지되었다. 또한 고려시대의 반수제도는 송대의 반수개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것은 묘학 내부에 반원형의 반지를 조성하는 명 청시대 이후 정형화된 중국의 전범과는 달리, 조선시대 성균관이 묘학 외부의 수계를 반수로 이용하게 된 원인으로 판단된다. 조선시대의 반수 조영관은 몇몇 향교와 서원의 택지에 있어서도 중요한 조건으로 고려되었던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선시대 창건된 향교와 서원에서 학교 둘레를 흐르는 물길은 반수 조영관에 입각하여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우진, "중국 묘학 반수(泮水)의 변천과 전개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182-197, 2011

      2 장재천, "조선시대 성균관의 반촌과 주변 환경 연구" (17) : 105-118, 2010

      3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일지사 2000

      4 허영환, "정도 600년 서울지도" 범우사 1994

      5 영남대학교박물관,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한국의 옛 지도(도판편)"

      6 이찬, "서울의 옛 지도"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1995

      7 문화재청, "서울문묘 실측조사보고사(상)" 문화재청 2006

      8 노송호, "鄕校와 書院의 立地 및 外部空間 分析을 통한 韓國的 敎育環境 摸索" 한국전통조경학회 24 (24): 25-37, 2006

      9 南孝溫, "秋江集"

      10 南景善, "燕轅直指"

      1 정우진, "중국 묘학 반수(泮水)의 변천과 전개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182-197, 2011

      2 장재천, "조선시대 성균관의 반촌과 주변 환경 연구" (17) : 105-118, 2010

      3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일지사 2000

      4 허영환, "정도 600년 서울지도" 범우사 1994

      5 영남대학교박물관,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한국의 옛 지도(도판편)"

      6 이찬, "서울의 옛 지도"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1995

      7 문화재청, "서울문묘 실측조사보고사(상)" 문화재청 2006

      8 노송호, "鄕校와 書院의 立地 및 外部空間 分析을 통한 韓國的 敎育環境 摸索" 한국전통조경학회 24 (24): 25-37, 2006

      9 南孝溫, "秋江集"

      10 南景善, "燕轅直指"

      11 兪得一, "燕行日記"

      12 朴趾源, "熱河日記"

      13 유본예, "漢京識略" 탐구당 1974

      14 洪大容, "湛軒書"

      15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作製@ 一萬分一朝鮮地形圖集成" 경인문화사 1988

      16 "朝鮮王朝實錄"

      17 許, "朝天記"

      18 馬端臨, "文獻通考 : 經籍考(上)" 華東師範大學出版社 1985

      19 이민홍, "文廟의 釋奠大祭와 太學生의 泮宮生活"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1) : 309-336, 2004

      20 최기수, "成均館 造營의 전래수용에 따른 건축 배치 및 傳統配植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3 (23): 14-28, 2005

      21 正祖, "弘齋全書"

      22 曾棗莊, "全宋文, 93권" 上海辭書出版社 2006

      23 李修生, "全元文, 47권" 江蘇古籍出版社 2004

      24 李修生, "全元文, 36권" 江蘇古籍出版社 2004

      25 王圻, "三才圖會』권3" 민속원 2004

      26 "http://www.itkc.or.kr"

      27 "http://res4.nlc.gov.cn/home/index.trs?channelid=8"

      28 "http://north.nricp.go.kr"

      29 "http://local.daum.net"

      30 태학지 번역사업회, "(국역)태학지 上" 성균관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