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dentification of Potential Substrates of N-acetylglucosamine Kinase by a Proteomic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193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단백질 번역 후 O-GlcNAc 수식은 단백질 조절의 새로운 기전으로 대두되고 있다. 전통적인 당수식과 달리 O-GlcNAc 수식은 단 한번의 O-GlcNAc 전달로 이루어지며, 핵 및 세포질단백질 모두에 수식...

      단백질 번역 후 O-GlcNAc 수식은 단백질 조절의 새로운 기전으로 대두되고 있다. 전통적인 당수식과 달리 O-GlcNAc 수식은 단 한번의 O-GlcNAc 전달로 이루어지며, 핵 및 세포질단백질 모두에 수식될 수 있다. O-GlcNAc은 이 분자를 끝으로 하는 최종수식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최근의 논문(J Proteome Res. 201110:2725-2733)은 AP180 단백질에 O-GlcNAc-P가 존재함을 보고하였다. 이 논문은 O-GlcNAc-P가 일반적인 단백질 수식인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이에 답하고자 저자들은 HEK293T 세포에 O-GlcNAc 인산화효소 NAGK를 DsRed2에 연결한 DsRed2-NAGKWT 혹은 효소활성이 없는 돌연변이 NAGK를 표현하는 DsRed2-NAGKD107A를 표현시키고, 단백질 추출물을 얻어 2D-PAGE로 분리한 후 인산화 정도를 측정하여, NAGKWT에 의하여 인산화가 증가되는 15개의 단백질 스폿을 선별하였다. 이 가운데 7개 스팟을 동정한 결과 2개의 스폿은 O-GlcNAc 수식 단백질인 HSP90β, 다른 2개의 스폿도 O-GlcNAc 수식 단백질인 ENO1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dUTP nucleotidohydrolase mitochondrial isoform 2, glutathione S-transferase P, grp94)는 O-GlcNAc수식 여부를 아직 모르는 단백질이였다. NAGK에 의하여 O-GlcNAc 단백질의 인산화가 증가된다는 사실은 O-GlcNAc이 인산화되어 O-GlcNAc-P로 수식됨을 시사하며,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O-GlcNAc이 최종 수식이 아님을 지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st-translational O-GlcNAc modification (O-GlcNAcylation) of serine or threonine is a new protein modulation mechanism. In contrast to the classical glycosylation, O-GlcNAcylation occurs in a onestep transfer of O-GlcNAc on both nuclear and cytoplasm...

      Post-translational O-GlcNAc modification (O-GlcNAcylation) of serine or threonine is a new protein modulation mechanism. In contrast to the classical glycosylation, O-GlcNAcylation occurs in a onestep transfer of O-GlcNAc on both nuclear and cytoplasmic proteins. In contrast to the general consensus that O-GlcNAc is a final modification, a recent paper (J Proteome Res. 2011 10:2725?2733) showed the presence of O-GlcNAc-P on a synaptic assembly protein AP180. This finding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its prevalence. To address this question, we used proteomics to identify those proteins that were phospho-signal enriched by GlcNAc kinase (NAGK). Comparison of pDsRed2-NAGKWT-transfected HEK293T cell extract with pDsRed2-NAGKD107A-transfected control culture revealed 15 phospho-signal increased spots. Excluding those spots that had no detectable amount of protein expression yielded 7 spots, which were selected for ID determination. Among these, two duplicate spots (two HSP90β and two ENO1 spots) were shown to be O-GlcNAcylated, two (dUTP nucleotidohydrolase mitochondrial isoform 2, glutathione S-transferase P) were not known to be involved in OGlcNAcylation, and one (heat shock protein gp96 precursor or grp94) was a glycoprotein. The increase in the phospho-levels of O-GlcNAc by NAGK strongly indicates that these proteins are phosphorylated on O-GlcNAc. Our present data support the idea that O-GlcNAc is not a terminal modifi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and Discussion
      • Acknowledgment
      • Reference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and Discussion
      • Acknowledgment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