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학년공동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Teachers` Experiences of Innovating the Curriculum for Innovative School Re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50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사협력을 통한 교육과정 혁신 경험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형 혁신학교인 창의초등학교 교사 4명을 면담하였다. 창의초등학...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사협력을 통한 교육과정 혁신 경험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형 혁신학교인 창의초등학교 교사 4명을 면담하였다. 창의초등학교에서는 교육과정 혁신의 일환으로 동학년 교사들이 서로 협력하여 학년공동교육과정을 만들어 실행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 교사들은 학년공동교육과정의 커다란 방향부터 세세한 학습자료까지 함께 논의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혁신 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스스로의 전문성을 신장시켰으며 교사로서의 성취감과 보람을 느끼기도 하였지만, 이를 위한 업무량은 매우 과중하였고 서로 상이한 교육관을 가진 교사들 간의 협력 역시 쉬운 일은 아니었다. 또한, 교육과정 혁신의 일환인 학년공동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교사들은 교육과정 획일화와 답습의 문제를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를 공론화하여 해법을 모색해나가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s` experience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for Innovative School reform. The author interviewed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developing and im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s` experience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for Innovative School reform. The author interviewed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t an Innovative School. The author found that the teachers collaborated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Innovative curriculum through the same grade teachers` committees; they together discussed big agendas, designed lesson plans, and even made specific artifacts of the Innovative curriculum; they felt satisfaction as teacher experts in designing their own curriculum for Innovative instruction. However, they suffered from overwork loads and sometimes conflicted with their colleagues due to different thoughts on Innovative education. 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innovative curriculum as the grade-level common curriculum the teachers got and recognized the problems of decreasing their unique colors of teaching in each class and of imitating the curriculum the teachers of the past years already construc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숙, "희망의 학교를 꿈꾸다: 혁신학교 성공 모델, 장곡중학교 4년간의 성장 기록" 해냄출판사 2013

      2 노상우, "혁신학교의 수업혁신 과정과 과제" 교육종합연구소 13 (13): 43-67, 2015

      3 길현주,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살림터 183-203, 2014

      4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1

      5 김수경,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45-168, 2011

      6 송순재, "혁신학교 운영과정 질적 연구"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정보원 2011

      7 박일관, "혁신학교 2. 0" 에듀니티 2014

      8 성열관, "혁신학교" 살림터 2011

      9 이형빈, "학생의 수업참여 및 소외 양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5-51, 2014

      10 김성열, "학교혁신, 리더 교사 그리고 평생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291-305, 2006

      1 박현숙, "희망의 학교를 꿈꾸다: 혁신학교 성공 모델, 장곡중학교 4년간의 성장 기록" 해냄출판사 2013

      2 노상우, "혁신학교의 수업혁신 과정과 과제" 교육종합연구소 13 (13): 43-67, 2015

      3 길현주,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살림터 183-203, 2014

      4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1

      5 김수경,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45-168, 2011

      6 송순재, "혁신학교 운영과정 질적 연구"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정보원 2011

      7 박일관, "혁신학교 2. 0" 에듀니티 2014

      8 성열관, "혁신학교" 살림터 2011

      9 이형빈, "학생의 수업참여 및 소외 양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5-51, 2014

      10 김성열, "학교혁신, 리더 교사 그리고 평생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291-305, 2006

      11 이중현, "학교가 달라졌다" 우리교육 2011

      12 김성천, "학교 혁신의 핵심 원리: 교장공모제를 실시한 D중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9 (19): 59-89, 2009

      13 성열관,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지원 요구량의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59-81, 2009

      14 민용성,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행동과 신념에 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 173-194, 2005

      15 Merriam, B. S., "질적 사례연구법(교육학에서의)" 양서원 1994

      16 이윤미, "주제통합수업 : 아이들을 수업의 주인공으로!" 살림터 2014

      17 김정안, "주제통합수업" 맘에드림 2013

      18 박순경,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연구(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19 나민주, "자율학교 성과분석연구: 혁신학교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3

      20 박현숙, "어! 교육과정? 아하! 교육과정 재구성!" 맘에드림 2014

      21 서우철, "수업을 살리는 교육과정" 맘에드림 2013

      22 이부영, "서울형 혁신학교 이야기" 살림터 2013

      23 서울교육소식, "서울교육청, 2016년 서울형혁신학교 52곳 지정"

      24 이윤미, "서울교육발전을 위한 학교혁신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의회 정책연구위원회 2013

      25 송순재, "새로운 사회를 여는 교육혁명" 살림터 98-122, 2012

      26 길현주, "사회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관한 이해 -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25-58, 2015

      27 한광웅, "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에 의한 2007 개정초등사회과교육과정 실행양상 해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145-167, 2010

      28 김삼진, "덕양중학교 혁신학교 도전기" 맘에드림 2012

      29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98

      30 이윤미, "교육과정 마주하기" 살림터 2015

      31 정진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243-276, 2014

      32 이효인, "교사의 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 경기도 창의지성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3 정미경, "교사의 교육과정 변화 능력(change capacity) 함양을 위한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 신장 방안" 교육과학연구소 37 (37): 25-45, 2006

      34 경기도교육연구원, "경기도 혁신학교 성과분석" 경기도교육연구원 2012

      35 장훈, "경기 혁신학교 운영 사례 분석 -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311-333, 2011

      36 Elbaz, F., "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11 (11): 43-71, 1981

      37 Clandinin, D. J.,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 study of teachers’ classroom images" 15 (15): 361-385, 1985

      38 Wiles, J., "Curriculum Development: A guide to practice"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2007

      39 서울시교육청, "2016 서울형 혁신학교 현황"

      40 서울시교육청, "2015 서울형 혁신학교 운영 기본계획"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4 1.84 1.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2 1.8 2.2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