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은하, "해방세대 여성의 이동과 탈주 - 박순녀의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32 : 149-173, 2019
2 전소영, "해방 이후 ‘월남 작가’의 존재 방식 1945~1953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44) : 383-420, 2014
3 김엘리, "한국의 군사주의와 성: 유교전통, 반공주의, 경제발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평화연구원 (2) : 135-, 2002
4 김은하, "한국 여성문학의 형성과 성장 —해방과 전쟁을 중심으로—" 한림과학원 (26) : 41-75, 2020
5 김양선,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문학제도와 양식" 소명출판 154-181, 2012
6 베티 리어든, "포괄적 평화교육" 살림터 48-, 2021
7 박순녀, "케이스워커"
8 박순녀, "칠법전서" 일지사 1976
9 김미덕, "주한미군 기지 정치(Base Politics) 연구에 대한 검토" 국제지역연구원 21 (21): 109-141, 2014
10 고규진, "정전의 해부" 전북대학교 출판부 134-135, 2016
1 김은하, "해방세대 여성의 이동과 탈주 - 박순녀의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32 : 149-173, 2019
2 전소영, "해방 이후 ‘월남 작가’의 존재 방식 1945~1953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44) : 383-420, 2014
3 김엘리, "한국의 군사주의와 성: 유교전통, 반공주의, 경제발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평화연구원 (2) : 135-, 2002
4 김은하, "한국 여성문학의 형성과 성장 —해방과 전쟁을 중심으로—" 한림과학원 (26) : 41-75, 2020
5 김양선,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문학제도와 양식" 소명출판 154-181, 2012
6 베티 리어든, "포괄적 평화교육" 살림터 48-, 2021
7 박순녀, "케이스워커"
8 박순녀, "칠법전서" 일지사 1976
9 김미덕, "주한미군 기지 정치(Base Politics) 연구에 대한 검토" 국제지역연구원 21 (21): 109-141, 2014
10 고규진, "정전의 해부" 전북대학교 출판부 134-135, 2016
11 와카쿠와 미도리, "전쟁과 젠더: 사람은 왜 전쟁을 하는가" 알마 201-, 2005
12 유임하, "전쟁 속 휴머니즘과 '국가'의 시선 - 「흥남철수」의 정치적 독해 -" 한국문학연구소 (34) : 431-456, 2008
13 이다 유코, "일본 근현대 여성문학 선집 18 – 이다 유코" 어문학사 2019
14 박순녀, "이중섭을 찾아서" 동서문화사 2014
15 이정호, "이정호문학전집1: 잔양" 계간문예 18-, 2009
16 이병순, "이정호 소설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48) : 617-643, 2011
17 이정호, "이정호 구술채록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18 서세림, "월남문학의 유형 - ‘경계인’의 몇 가지 가능성" 한국근대문학회 (31) : 7-39, 2015
19 김주리, "월남 여성 작가 박순녀의 소설 속 배회하는 여성의 표상" 한국문학언어학회 (80) : 181-210, 2019
20 김대현, "원본 없는 판타지" 후마니타스 142-, 2020
21 박완서, "엄마의 말뚝" 세계사 67-, 1999
22 박순녀, "어떤 파리" 정음사 1972
23 김귀옥, "아래로부터의 반공 이데올로기 허물기" 비판사회학회 (43) : 236-, 1999
24 서은주, "비판적 지성과 젠더, 그 재현의 문제- 박순녀의 1960-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42) : 65-99, 2017
25 김은하, "비판적 여성 지성의 형성과 성장"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6 (6): 173-200, 2020
26 이명희, "반공주의와 작가정신: 월남 작가 박순녀의 경우" 아시아여성연구원 47 (47): 7-38, 2008
27 박순녀, "박순녀 작품집" 지만지 2010
28 정미지, "박순녀 문학의 젠더 주체와 ‘불온’의 재현 논리"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227-255, 2016
29 박순녀, "박순녀 구술채록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30 지그문트 프로이트, "문명 속의 불만" 열린책들 123-, 1997
31 이정호, "마그마" 문조사 1972
32 캐서린 H. S. 문, "동맹 속의 섹스" 삼인 20-, 2002
33 조은, "냉전문화 속 여성의 침묵과 기억의 정치화" 한국여성평화연구원 (3) : 74-, 2003
34 베티 리어든, "나무연필" 나무연필 47-, 2020
35 박완서, "꼴지에게 박완서보내는 갈채" 평민사 60-, 1977
36 박순녀, "기쁜 우리 젊은 날" 지혜네 1998
37 이정호, "그들은 왜 갔을까" 계간문예 97-, 2009
38 조선매거진, "1950년 크리스마스의 기적, 흥남철수작전" (453) : 360-37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