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형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 방안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586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 government has been driving Government 3.0, a policy for building creative economy to overcome global economic crisis and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With content analysis, this study derived a new paradigm model which is designed to support the formation of a new eco-system for creative economy in Korea. Based on the derived paradigm, this study explored methods to form the ecological system for creative economy in two aspects. First, regarding methods to create the base for the eco-system for creative economy, formation of creative culture, innovation in the government, and nurturing creative human resources a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And, in terms of methods to create the eco-system for creative economy, creation of an eco-system where role of convergence of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are emphasized, creative cluster eco-system, an ecosystem where venture business foundation is active, and an eco-system raising globally competitive small companies are identified as critical factors. The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expand qualitative research by analyzing literature data by using content analysis. The prac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by police makers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conomy.
      번역하기

      The Korea government has been driving Government 3.0, a policy for building creative economy to overcome global economic crisis and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With content analysis, this study derived a new paradigm model which is designed t...

      The Korea government has been driving Government 3.0, a policy for building creative economy to overcome global economic crisis and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With content analysis, this study derived a new paradigm model which is designed to support the formation of a new eco-system for creative economy in Korea. Based on the derived paradigm, this study explored methods to form the ecological system for creative economy in two aspects. First, regarding methods to create the base for the eco-system for creative economy, formation of creative culture, innovation in the government, and nurturing creative human resources a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And, in terms of methods to create the eco-system for creative economy, creation of an eco-system where role of convergence of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are emphasized, creative cluster eco-system, an ecosystem where venture business foundation is active, and an eco-system raising globally competitive small companies are identified as critical factors. The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expand qualitative research by analyzing literature data by using content analysis. The prac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by police makers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conom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창조경제 생태계 관련 선행연구
      • Ⅲ.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내용분석 절차 및 방법
      • Ⅳ. 내용분석 결과
      • Abstract
      • Ⅰ. 서론
      • Ⅱ. 창조경제 생태계 관련 선행연구
      • Ⅲ.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내용분석 절차 및 방법
      • Ⅳ. 내용분석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호, "행정학 연구에서 사용된 내용분석법의 방법론 분석:한국행정학보 게재 논문(1991-2005)의 사례" 한국행정연구소 45 (45): 1-23, 2007

      2 김수연, "항공사별 기내 면세품 카달로그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3 정의정, "한국형 창조경제클러스터 구축방안" 경기과학기술진흥원 2013

      4 홍성호, "포스트-지식정보화 시대, 충북의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 12 : 4-9, 2013

      5 황인영, "콘텐츠산업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6 이상규, "창조경제하에서 혁신적인 정보통신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과제" 산업연구원 2013

      7 현대경제연구원, "창조경제의 의미와 새정부의 실현 전략" 현대경제연구 2013

      8 이민화, "창조경제와 창조도시" 산업연구원 (6) : 6-19, 2013

      9 남기범, "창조경제와 정부 3. 0 생태계 조성을 위한 ICT 융합 국가전략 개발과 관리방안" 방통융합미래 전략체계연구 2013

      10 이민화, "창조경제시대의 중소기업 정책" 93-137, 2013

      1 이상호, "행정학 연구에서 사용된 내용분석법의 방법론 분석:한국행정학보 게재 논문(1991-2005)의 사례" 한국행정연구소 45 (45): 1-23, 2007

      2 김수연, "항공사별 기내 면세품 카달로그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3 정의정, "한국형 창조경제클러스터 구축방안" 경기과학기술진흥원 2013

      4 홍성호, "포스트-지식정보화 시대, 충북의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 12 : 4-9, 2013

      5 황인영, "콘텐츠산업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6 이상규, "창조경제하에서 혁신적인 정보통신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과제" 산업연구원 2013

      7 현대경제연구원, "창조경제의 의미와 새정부의 실현 전략" 현대경제연구 2013

      8 이민화, "창조경제와 창조도시" 산업연구원 (6) : 6-19, 2013

      9 남기범, "창조경제와 정부 3. 0 생태계 조성을 위한 ICT 융합 국가전략 개발과 관리방안" 방통융합미래 전략체계연구 2013

      10 이민화, "창조경제시대의 중소기업 정책" 93-137, 2013

      11 김학준, "창조경제시대의 관광 창조화 방안: 개념적 접근"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73-87, 2014

      12 강요셉, "창조경제시대 한국 창업생태계현황과 과제"

      13 민현정, "창조경제를 통한 연대와 상생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 방안" (21) : 71-88, 2013

      14 장윤종, "창조경제론의 성장 패러다임 구조와 정책 보완 과제" (4) : 7-18, 2013

      15 장석인,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 연구실 2014

      16 권오혁,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산업생태계 조성방안" 14-21,

      17 이세준,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 KIET산업경제 104-108, 2013

      18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과 과제에 관한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2014

      19 관계부처 합동,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 2013년 6월 5일자"

      20 황인학,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도 재구축의 방향과 과제" 한국경제연구원 3-29, 2014

      21 정승영, "창의와 혁신의 생태계 조성" 한국경제연구원 31-39, 2014

      22 이봉우, "신문기사에 제시된 ‘에너지와 기후변화’ 내용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 (2): 59-66, 2012

      23 윤영한, "소프트웨어, 콘텐츠 기반 융합 서비스산업 육성 방안" 12 : 15-23, 2013

      24 조선비즈, "성장없는 고용 시대 일자리는 늘었지만 질은 떨어져"

      25 이진석, "미 군정기 교육관련 전문 잡지의 내용분석을 통해 본 민주주의 교육의 실천에 관한 연구-『조선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5 (45): 81-101, 2013

      26 강영주,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기지와 벤처생태계 조성" 대전발전연구원 (46) : 6-19, 2013

      27 이명희, "내용분석법에 의한 문헌정보학 학술지 연구논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36 (36): 287-310, 2002

      28 주재현, "내용분석 방법의 수행절차 및 적용 연구사례 분석" 3 : 2002

      29 박양주, "국내 교육공학분야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적용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한국교육공학회 28 (28): 263-287, 2012

      30 차석빈, "관광분야 연구에서 사용된 내용분석법의 방법론 분석"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1 (21): 215-229, 2012

      31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과 ICT로 창조경제와국민행복 실현" 미래창조과학부 2013

      32 오영재,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지속가능발전' 관련 내용 분석 : 'Ⅴ. 지역 개발과 환경 보전' 단원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3 박희찬, "경남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지역생태계 조성" 128 : 4-12, 2013

      34 김명진, "경기도 혁신클러스터 발전방안연구: 캘리포니아 혁신클러스터를 사례로" (6) : 2013

      35 Ahuvia, A, "Traditional, Interpretive, and Reception Based Content Analyses: Improving the Ability of Content Analysis to Address Issues of Pragmatic and Theoretical Concern" 54 (54): 139-172, 2001

      36 Hsieh, H,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15 (15): 1277-1288, 2005

      37 Howkins, J, "The Creative Economy: How People Make Money from Ideas" Penguin 2001

      38 Howkins, J, "The Creative Ecology where Thinking is a Proper Job"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2009

      39 최상민, "ICT역량이 융합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융합능력의 매개효과분석"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5 (15): 159-175, 2015

      40 정순기, "ICT 융합 진화과정의 동태성:실리콘밸리 지식 융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 12 (12): 143-161, 2013

      41 Williamson, P, "Ecosystem Advantage: How to Successfully Harness the Power of Partners" 55 (55): 24-46, 2012

      42 UNCTA, "Creative Economy Report" 2010

      43 Howkins, J, "Creative Ecologies" Transaction Publishers 2011

      44 홍순구, "Co-creation의 실행 절차와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4 (14): 89-106, 2014

      45 Lee, S, "Co-Innovation: Convergenomics, Collaboration, and Co-creation for Organizational Values" 50 (50): 817-83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7 1.07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