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에서 대안적 독립언론 상상하기 : 급진적 민주주의와 새로운 저널리즘 양식 = Imagining Alternative Independent Media in Local Community : Radical Democracy and A New Mode of Journ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8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overall reconstruction of society has been required since the Candlelight Revolution. Media are no exception to this context. Especially considering local media in danger, it is required that there be metaphorical flight and radical reflection to solve the problem. The North-South problems and regional issues are emerging as the most important matter in improving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Of these two problems regional issues are related to better democracy, demanding that we should consider imagination of new democratic system and local media.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focus on only media in treating the problems of local media. Instead, it is suggested that we discuss how local community should be formed and how the media should be existed. This paper proposes that we should seek out emotional mode of journalism contributing to disclosure of social contradictions rather than such traditional values as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번역하기

      In Korea overall reconstruction of society has been required since the Candlelight Revolution. Media are no exception to this context. Especially considering local media in danger, it is required that there be metaphorical flight and radical reflectio...

      In Korea overall reconstruction of society has been required since the Candlelight Revolution. Media are no exception to this context. Especially considering local media in danger, it is required that there be metaphorical flight and radical reflection to solve the problem. The North-South problems and regional issues are emerging as the most important matter in improving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Of these two problems regional issues are related to better democracy, demanding that we should consider imagination of new democratic system and local media.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focus on only media in treating the problems of local media. Instead, it is suggested that we discuss how local community should be formed and how the media should be existed. This paper proposes that we should seek out emotional mode of journalism contributing to disclosure of social contradictions rather than such traditional values as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촛불혁명 이후 한국사회는 총체적인 재구조화를 요구받고 있다. 여기서 언론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지역 언론 상황은 매우 절망적이어서 본질적이고 대담한 상상이 요구된다. 현재 한국사회를 더 나은 사회로 변혁하려면 남북문제와 지역문제의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한 과제다. 이 중 지역문제는 더 나은 민주주의와 관련된 것이어서 새로운 민주주의에 대한 상상과 그에 걸맞는 새로운 언론의 역할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지역 언론의 문제는 언론에만 국한하여 접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대신에 새로운 민주주의의 구도 속에서 지역공동체를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 그리고 그러한 맥락에서 언론의 존재방식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기존의 보도 양식, 즉 객관성과 중립성을 폐기하고 사회모순을 적극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감성적 저널리즘의 실천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미 지난 세월호 참사 때 보여준 SNS와 팟캐스트 등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들이 주류 미디어의 감성적 보도 양식을 통해 대안적 미디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지역이라는 작은 공간은 대안적 독립언론이 활동하기에 적합한 생태조건이다. 따라서 지역과 언론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역 언론을 새삼스럽게 고치려는 노력보다는 대안적인 독립언론을 창설해서 새로운 보도양식을 적극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촛불혁명 이후 한국사회는 총체적인 재구조화를 요구받고 있다. 여기서 언론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지역 언론 상황은 매우 절망적이어서 본질적이고 대담한 상상이 요구된다. 현재 한국사...

      촛불혁명 이후 한국사회는 총체적인 재구조화를 요구받고 있다. 여기서 언론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지역 언론 상황은 매우 절망적이어서 본질적이고 대담한 상상이 요구된다. 현재 한국사회를 더 나은 사회로 변혁하려면 남북문제와 지역문제의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한 과제다. 이 중 지역문제는 더 나은 민주주의와 관련된 것이어서 새로운 민주주의에 대한 상상과 그에 걸맞는 새로운 언론의 역할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지역 언론의 문제는 언론에만 국한하여 접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대신에 새로운 민주주의의 구도 속에서 지역공동체를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 그리고 그러한 맥락에서 언론의 존재방식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기존의 보도 양식, 즉 객관성과 중립성을 폐기하고 사회모순을 적극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감성적 저널리즘의 실천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미 지난 세월호 참사 때 보여준 SNS와 팟캐스트 등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들이 주류 미디어의 감성적 보도 양식을 통해 대안적 미디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지역이라는 작은 공간은 대안적 독립언론이 활동하기에 적합한 생태조건이다. 따라서 지역과 언론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역 언론을 새삼스럽게 고치려는 노력보다는 대안적인 독립언론을 창설해서 새로운 보도양식을 적극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규,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회 33 : 87-113, 2006

      2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3 전규찬, "커뮤니케이션 주권을 말한다. <미디어 개혁과 시민의 권리>(미디어 생태계와 민주화를 위한 2012 정책보고서)" 2012

      4 김송희, "지역신문의 지역성 구현 방식에 관한 질적 연구: 미국 <콜롬비아 데일리 트리뷴>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107-140, 2012

      5 한선, "지역방송의 지역성 개념과 지역성 구현의 문제 : 광주지역 방송생산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6 (26): 271-306, 2012

      6 이희성, "지방자치단체의 대언론 지출과 보도경향 분석 : 지역 언론의 시정 관련 기사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295-328, 2013

      7 유재원, "지방관료제에 대한 외부행위자들의 영향력 분석" 한국정책학회 11 (11): 23-26, 2002

      8 Schmitt, Carl, "정치적인 것의 개념" 살림 1932

      9 Bauman, Z., "자유" 이후 2002

      10 Rorty, Richard,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성" 민음사 1989

      1 김은규,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회 33 : 87-113, 2006

      2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3 전규찬, "커뮤니케이션 주권을 말한다. <미디어 개혁과 시민의 권리>(미디어 생태계와 민주화를 위한 2012 정책보고서)" 2012

      4 김송희, "지역신문의 지역성 구현 방식에 관한 질적 연구: 미국 <콜롬비아 데일리 트리뷴>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107-140, 2012

      5 한선, "지역방송의 지역성 개념과 지역성 구현의 문제 : 광주지역 방송생산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6 (26): 271-306, 2012

      6 이희성, "지방자치단체의 대언론 지출과 보도경향 분석 : 지역 언론의 시정 관련 기사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295-328, 2013

      7 유재원, "지방관료제에 대한 외부행위자들의 영향력 분석" 한국정책학회 11 (11): 23-26, 2002

      8 Schmitt, Carl, "정치적인 것의 개념" 살림 1932

      9 Bauman, Z., "자유" 이후 2002

      10 Rorty, Richard,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성" 민음사 1989

      11 이상훈, "신자유주의 시대 공영방송의 위기와 공공영역의 변화" 한국언론정보학회 57 (57): 250-266, 2012

      12 김성구, "사회화와 공공부문의 정치경제학" 문화과학사 2003

      13 Mouffe, Chantal, "민주주의의 역설" 인간사랑 2000

      14 남시호, "미디어 다양성의 문화정치학: 측정의 자유시장, 그 울타리를 넘어서" 한국언론정보학회 51 (51): 136-155, 2010

      15 Gitlin, T., "무한미디어: 미디어 독재와일상의 종말" Human & Books 2001

      16 Hyek, F. A., "노예의 길" 나남 1944

      17 Massey, Doreen, "공간을 위하여" 심산 2005

      18 임영호, "공간 이론을 통해 본 한국 방송학의 정체성 문제 : 지역방송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6 (16): 275-303, 2002

      19 남궁협, "‘타자의 고통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언론의 역할 세월호 참사에 대한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91 : 41-75, 2018

      20 남궁협, "‘언론 부재’의 한국 사회는전체주의로 향하고 있는가?: 조지 오웰(George Orwell) 불러오기" 한국언론학회 10 (10): 255-294, 2014

      21 김동춘, "‘사회국가’를 만들어야 한다" (여름) : 210-236, 2015

      22 Napoli, P. M., "Foundations of Communications Policy : Principles and Process in the Regulation of Electronic Media" Hampton Press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