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걸, "특수학습교사들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와 요구 조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185-204, 2009
2 정동훈, "특수학교 교사의 보조공학 교육연수 실태 및 요구 조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61-79, 2013
3 정경희, "특수교육현장에서의 교육용 보조공학지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체계 구축 방안 연구: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26 (26): 129-162, 2019
4 김영걸,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실태 및 요구 탐색을 통한 관련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375-394, 2017
5 김영걸,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관련서비스 운영 및 요구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0 (30): 69-94, 2014
6 한경임, "특수교육 현장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 자세조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151-179, 2019
7 정동훈, "특수교육 기관별 보조공학 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1 (11): 95-114, 2018
8 김정연, "통합학급에서의 AAC 앱을 사용하는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특수교육연구소 17 (17): 97-117, 2018
9 김경양, "통합학급에서 협력적 AAC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자폐학회 15 (15): 19-44, 2015
10 송은주,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연구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5-53, 2012
1 김영걸, "특수학습교사들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와 요구 조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185-204, 2009
2 정동훈, "특수학교 교사의 보조공학 교육연수 실태 및 요구 조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61-79, 2013
3 정경희, "특수교육현장에서의 교육용 보조공학지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체계 구축 방안 연구: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26 (26): 129-162, 2019
4 김영걸,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실태 및 요구 탐색을 통한 관련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375-394, 2017
5 김영걸,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관련서비스 운영 및 요구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0 (30): 69-94, 2014
6 한경임, "특수교육 현장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 자세조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151-179, 2019
7 정동훈, "특수교육 기관별 보조공학 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1 (11): 95-114, 2018
8 김정연, "통합학급에서의 AAC 앱을 사용하는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특수교육연구소 17 (17): 97-117, 2018
9 김경양, "통합학급에서 협력적 AAC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자폐학회 15 (15): 19-44, 2015
10 송은주,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연구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5-53, 2012
11 양성빈, "직접교수법과 반복 읽기에 의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21 (21): 73-102, 2019
12 김은량, "지체장애 특수학교 학생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와 교사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11-135, 2015
13 정동훈, "지적장애학교 특수교사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와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99-218, 2013
14 신수정, "주제중심수업에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137-162, 2017
15 김지현, "주요 선진국 보조공학 서비스체계 비교연구: 미국, 일본, 호주, 한국" 대한작업치료학회 26 (26): 55-68, 2018
16 김영걸, "장애인을 위한 보조 공학 활용 실태 조사-교사들의 인식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281-301, 2003
17 박상건, "의료용 침대 및 수술대의 기준규격 연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3 (3): 35-40, 2009
18 김용욱, "순회교육 대상학생에 대한 보조공학 지원 실태 및 요구 분석 - 부산․울산 및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49-172, 2010
19 백경란, "상황중심 보완대체 의사소통 앱 사용이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155-182, 2016
20 한경임, "브릿지 스쿨(Bridge School) 초등학급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 현황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13-138, 2014
21 한경임, "복합의사소통장애 초등학생을 위한 미국의 특수학급 운영 사례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20 (20): 25-56, 2018
22 정명철, "모바일 AAC 앱 토크프렌드를 이용한 중재가 지역사회 상황에서 자폐성 장애 고등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321-341, 2016
23 장경례, "뇌병변 및 지체 장애아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만족도와 심리사회적 영향의 관련성"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42 (42): 132-144, 2017
24 김영걸, "나이스(NEIS)를 활용한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387-414, 2012
25 김남진, "경남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기기 지원 실태 및 문제점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9-40, 2011
26 Ryu, K. U., "Understand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akyoungsa 2018
27 Jeong, D. H., "Understanding an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igmapress 2016
28 Blair, M. E., "U.S. education policy and assistive technology: Administrative implementation" 13-66, 2006
29 Choi, Y. I., "The effect of dorsal wrist splint on hand function in child with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4 (4): 45-51, 2012
30 Solano, T., "Tech or Tots : Assistive technology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Children Hospital Los Angeles 2000
31 Best, S. J., "Teaching individuals with physical or multiple disabilities" Pearson Education, Inc 2010
32 한경임, "T.A.C.L.E. 프로그램 운영 미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 사례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19-47, 2018
33 Kim, E. J., "Suggestions about current status of supplying service and using status of assistive de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2 (2): 1-11, 2010
34 Rush, E. S., "Shared-reading: Fostering age-appropriate emergent-literacy and beginning communication for all ages" 2011
35 Jo, Y. H., "Qualitative research: logics & techniques"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8
36 Kim, Y. O., "Qualitative Inquiry" Kyoyookbook 2009
37 Case-Smith, J.,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Elsevier 2015
38 Wright-Ott, C., "Mobility. I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Elsevier Mosby 2010
39 Han, K. I., "KidWalk for mobility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2018
40 Reichrath, E., "Interventions in gener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A systematic review" 14 (14): 563-580, 2010
41 Roman-Lantzy, C., "Cortical visual impairment : An approach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FB Press 2018
42 Lim, M. J.,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f England via case" 11 : 133-135, 2008
43 Sadao, K. C., "Assistive technology for young children" Paul H. Brooks 2010
44 Angelo, J., "Assistive technology for rehabilitation therapists" F. A. Davis Co 1997
45 Cook, A. M., "Assistive Technology: Principles and Practices" Mosby 2002
46 Oh, Y. J., "Assistive Technology utilization status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field" 18 (18): 3-298, 2010
47 Kim, M. S., "A study on the supporting system of assistive device in Korea" 11 (11): 33-40, 2019
48 Lee, J. H., "A study o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improving students’ participation in school life: Focused on assistive technology" 9 (9): 37-44, 2017
49 Woo, J. H., "A study of Assistive Technology Utilization of elementary special class students and Assistive Technology awareness of special eduction teachers" 4 (4): 27-46, 2013
50 Choi, Y. I., "A Research on the State of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Handicapped Paediatrics and Adolescent With Brain Lesions Under 18" 3 (3): 1-12,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