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 간의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36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210명이었으며, 유아 정서지능 검사, 유아 ...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210명이었으며, 유아 정서지능 검사, 유아 자아존중감 검사, K-BASC-Ⅱ, KABC-Ⅱ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인지능력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행동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정서지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문제행동이 정서지능을 예측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문제행동 하위요인인 적응기술이 정서지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인 정서적 자아, 인지적 자아 그리고 문제행동 하위요인인 행동증상 순으로 정서지능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유아 정서지능에 미치는 유아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정서지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유아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10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located at G City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10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located at G City and H city in K province.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The Kaufman Assesment Battery for Children Second Edition, and The Self-Esteem Inventory for Young Children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lf-esteem of children is a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emotional intelligence. Furthermore problem behavior is a nega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daptive skills’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h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In addition, ‘emotional self-esteem,’ and ‘cognitive self-esteem,’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self-esteem and 'behavior symptoms.' a subordinate factor of problem behavior were additional predi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se results implied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emotionail intelligence for young children with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congnitive 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명희, "한국판 교사 보고형 아동 성격 진단검사 표준화 예비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101-116, 2007

      2 문수백, "한국판 KABC-II의 확인적 요인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38, 2014

      3 강인숙, "청소년의 성격유형과 문제행동 및 정서지능의 관계" 13 : 85-105, 2006

      4 문용린, "정서지능의 의미와 중요성" 사단법인 한국어린이육영회 1996

      5 Matthews, G., "정서지능: 그 오해와 진실" 학지사 2010

      6 정옥분,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학지사 2007

      7 지성애, "유아의 정서지능과 인지능력, 또래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간의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35-358, 2011

      8 김연, "유아의 정서지능,인지능력,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성 및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7-298, 2004

      9 염미애,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5 (45): 61-75, 2007

      10 조성희,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리더십이 유치원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171-191, 2015

      1 안명희, "한국판 교사 보고형 아동 성격 진단검사 표준화 예비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101-116, 2007

      2 문수백, "한국판 KABC-II의 확인적 요인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38, 2014

      3 강인숙, "청소년의 성격유형과 문제행동 및 정서지능의 관계" 13 : 85-105, 2006

      4 문용린, "정서지능의 의미와 중요성" 사단법인 한국어린이육영회 1996

      5 Matthews, G., "정서지능: 그 오해와 진실" 학지사 2010

      6 정옥분,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학지사 2007

      7 지성애, "유아의 정서지능과 인지능력, 또래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간의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35-358, 2011

      8 김연, "유아의 정서지능,인지능력,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성 및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7-298, 2004

      9 염미애,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5 (45): 61-75, 2007

      10 조성희,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리더십이 유치원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171-191, 2015

      11 이승은, "유아의 정서에 관한 연구: 정서이해, 정서유발원인, 표현방식, 연령차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67-94, 2010

      12 이영자, "유아의 정서 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구" 19 (19): 157-186, 1999

      13 지성애,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11-127, 2010

      14 김성숙, "유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73-493, 2011

      15 지성애, "유아의 자아 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43-67, 2003

      16 박유영, "유아의 유치원 적응력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19-336, 2010

      17 지성애, "유아의 마음이론과 정서실행기능, 인지능력,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5-28, 2015

      18 박찬옥, "유아사회교육" 정민사 2013

      19 김경미, "유아-교사 관계와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영향" 2 (2): 27-47, 2017

      20 배율미, "유아 정서지능과 우울 증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369-386, 2015

      21 고현, "유아 정서지능·유치원 적응·유아행복감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115-136, 2014

      22 조수정,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1 (31): 167-183, 2010

      23 김은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1 (11): 5-28, 2016

      24 안라리,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2645-2652, 2013

      25 박영애, "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의 특성 및 상호 관계" 21 (21): 5-23, 2000

      26 강세미, "만 3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 2 (2): 5-21, 2007

      27 황혜정, "교사의 평정에 의한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19 (19): 141-157, 1999

      28 정서연, "감정이입적 그림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및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445-468, 2015

      29 Mugrage, M. 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forgiveness" The Chicago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2014

      30 Kokkinos, C. M.,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empathy among preadolescents" 15 (15): 41-58, 2012

      31 Coopersmith, S., "The antecedent of Self-Esteem"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81

      32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3 Jaffe, J., "Rhythms of dialogue in infancy: Coordinated timing in development" 66 (66): 1-149, 2001

      34 Elias, M. J., "Promot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 Guidelines for educators. Alexandr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7

      35 Argyriou, E., "Parenting styles and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in adolescence" 57 : 42-49, 2016

      36 Ciarrochi, J.,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in adolescents" 31 (31): 1105-1119, 2001

      37 Kaufman, A. S., "KABC-II: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AGS Pub 2004

      38 Slatcher, R. B., "Influences of parent and child negative emotionality on young children's everyday behaviors" 12 (12): 932-942, 2012

      39 Onchwari, G.,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behavior to emotion regulation ability" 39 (39): 279-284, 2011

      40 Mayer, J. D., "Emotional intelligence as a standard intelligence" 1 : 232-242, 2001

      41 Sullivan, M. W., "Emotional expressions of young infants and children : A practitioner's primer" 16 (16): 120-142, 2003

      42 Mayer, J. D.,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Harper Collins 3-34, 1997

      43 Denham, S. A., "Emotional and behavioral predictors of preschool peer ratings" 61 : 1145-1152, 1990

      44 Mayer, J. D., "Emotional Intelligence and Everyday Life" Psychology Press 3-24, 2001

      45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Books 2006

      46 Schultz, D., "Emotion knowledge in economically disadvantaged children : Self-regulatory antecedents and relations to social difficulties and withdrawal" 13 : 53-67, 2001

      47 Kaiser, B.,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 Allyn & Bacon 2003

      48 Reynolds, C. R.,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Manual" American Guidance Service 1992

      49 Payne, W. L., "A study of emotion: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integration, relating to fear, pain and desire" The Union for Experiment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