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인제, "통일 한국의 국어 교육과 교육 과정 통합의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17) : 173-228, 2005
2 김용은, "초. 고중 문학 교수에서의 작품 분석" 교육도서출판사 1958
3 尹永川, "중국조선족 初?高中學校 詩敎育에 대하여-北韓 高等中學校 詩敎育의 영향과 관련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277-298, 2002
4 황규수,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조선어문』 수록 시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8) : 149-171, 2009
5 황규수, "중국 조선족 初中 新編 『조선어문』收錄 詩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501-521, 2008
6 조선어문편집실, "조선족고급중학교교과서 조선어문" 연변교육출판사 2008
7 조선어문편집실, "조선족고급중학교교과서 조선어문" 연변교육출판사 2008
8 김경훈, "조선족 초중 ≪조선어문≫ 교재 연구 -소설과 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26) : 305-320, 2008
9 조선어문편집실, "의무교육조선족학교교과서 조선어문 in: 9학년용 상권 하권" 연변교육출판사 2007
10 조선어문편집실, "의무교육조선족학교교과서 조선어문 in: 7학년 상권~8학년 하권" 연변교육출판사 2006
1 이인제, "통일 한국의 국어 교육과 교육 과정 통합의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17) : 173-228, 2005
2 김용은, "초. 고중 문학 교수에서의 작품 분석" 교육도서출판사 1958
3 尹永川, "중국조선족 初?高中學校 詩敎育에 대하여-北韓 高等中學校 詩敎育의 영향과 관련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277-298, 2002
4 황규수,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조선어문』 수록 시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8) : 149-171, 2009
5 황규수, "중국 조선족 初中 新編 『조선어문』收錄 詩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501-521, 2008
6 조선어문편집실, "조선족고급중학교교과서 조선어문" 연변교육출판사 2008
7 조선어문편집실, "조선족고급중학교교과서 조선어문" 연변교육출판사 2008
8 김경훈, "조선족 초중 ≪조선어문≫ 교재 연구 -소설과 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26) : 305-320, 2008
9 조선어문편집실, "의무교육조선족학교교과서 조선어문 in: 9학년용 상권 하권" 연변교육출판사 2007
10 조선어문편집실, "의무교육조선족학교교과서 조선어문 in: 7학년 상권~8학년 하권" 연변교육출판사 2006
11 황규수, "북한 고중 『국어』 및 『문학』과 중국 조선족 『조선어문』 수록 시의 비교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82) : 721-744, 2009
12 윤경수, "문학 in: 중학교 제5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01
13 리혜숙, "문학 in: 고등중학교 제4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02
14 이인제, "남북한 초․중등 국어과 교육 과정 및 교과서 통합 방안 연구"
15 文珷永, "개편된 北韓國語 敎科書의 체제와 내용:高等中學校1~3學年 敎科書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9 (29): 260-283, 2001
16 李鍾順, "中國 朝鮮族 文學敎育 硏究-中․高等學校 朝鮮語文科目을 中心으로" 서울大學校 2002
17 김양희, "80년대 이후 북한의 국어 교과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3 : 373-402,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