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과 간 연계를 통한 국악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through inter-curricular linkage: Focusing on Pansori and the cultire of the common peo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6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6학년 음악⋅사회 교과의 영역에 대한 연계성을 검토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교과 간 연결 수업을 위해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했다. 방법 이를 위해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음악 교과의 감상 영역과 사회 교과의 정치⋅문화사 영역을 고찰하고, 둘째,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연계한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5-6학년의 음악 교과서 7종과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셋째,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연계한 국악감상교육 프로그램을 2차시로 구성하였고, 교수학습 자료로 AI와 VR 플랫폼을 적용하였다. 결과 판소리는 음악 교과의 감상 영역으로, 서민 문화는 사회 교과의 정치⋅문화사 영역에서 학습 내용으로 해당한다. 본 연구는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연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ASSURE 모형을 계획 단계에서 적용하였고, 학습 초기 접근 방식을 달리하여 2차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 내용을 온⋅오프라인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자료로 에듀테크를 활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교과 간 연계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음악 교과와 사회 교과의 연계성을 탐색하고,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주제로 국악 감상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악과 타 교과 간 연계를 위한 예비연구 성격을 지닌다. 끝으로 향후 교과 간 연계를 통한 국악 교육을 위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6학년 음악⋅사회 교과의 영역에 대한 연계성을 검토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교과 간 연결 수업을 위해 판소리와 서민 ...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6학년 음악⋅사회 교과의 영역에 대한 연계성을 검토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교과 간 연결 수업을 위해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했다. 방법 이를 위해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음악 교과의 감상 영역과 사회 교과의 정치⋅문화사 영역을 고찰하고, 둘째,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연계한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5-6학년의 음악 교과서 7종과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셋째,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연계한 국악감상교육 프로그램을 2차시로 구성하였고, 교수학습 자료로 AI와 VR 플랫폼을 적용하였다. 결과 판소리는 음악 교과의 감상 영역으로, 서민 문화는 사회 교과의 정치⋅문화사 영역에서 학습 내용으로 해당한다. 본 연구는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연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ASSURE 모형을 계획 단계에서 적용하였고, 학습 초기 접근 방식을 달리하여 2차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 내용을 온⋅오프라인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자료로 에듀테크를 활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교과 간 연계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음악 교과와 사회 교과의 연계성을 탐색하고,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주제로 국악 감상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악과 타 교과 간 연계를 위한 예비연구 성격을 지닌다. 끝으로 향후 교과 간 연계를 통한 국악 교육을 위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the conn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the music and social studies subjects of 5th to 6th graders, and attempted to derive the direction of education centered on Pansori and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for inter-curricular classes required in the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first, the possibility of linking music subjects and social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reviewed. Second, textbooks analyzed seven music textbooks and social textbooks for fifth and sixth graders, focusing on learning activities linking pansori with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Third, the systematic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linking pansori with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consisted of two learning contents, and AI and VR platforms were applied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sults Pansori is the area of appreciation, and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corresponds to the content of learning in the areas of politics and cultural history. In this study, the ASSURE model was applied in the planning stage to develop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linking Pansori with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and the second program was developed by changing the initial approach to learning. In addition, EduTech was used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o that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in online and offline classes.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music subjects and social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inter-curriculum linkage and to present education plans for listening to Korean traditional music under the theme of Pansori and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In other words,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reliminary study for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other subjec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suggestions and research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rough linkage between subjects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the conn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the music and social studies subjects of 5th to 6th graders, and attempted to derive the direction of education centered on Pansori and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fo...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the conn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the music and social studies subjects of 5th to 6th graders, and attempted to derive the direction of education centered on Pansori and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for inter-curricular classes required in the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first, the possibility of linking music subjects and social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reviewed. Second, textbooks analyzed seven music textbooks and social textbooks for fifth and sixth graders, focusing on learning activities linking pansori with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Third, the systematic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linking pansori with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consisted of two learning contents, and AI and VR platforms were applied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sults Pansori is the area of appreciation, and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corresponds to the content of learning in the areas of politics and cultural history. In this study, the ASSURE model was applied in the planning stage to develop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linking Pansori with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and the second program was developed by changing the initial approach to learning. In addition, EduTech was used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o that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in online and offline classes.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music subjects and social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inter-curriculum linkage and to present education plans for listening to Korean traditional music under the theme of Pansori and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In other words,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reliminary study for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other subjec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suggestions and research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rough linkage between subjects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사회 교과 간 연계성 Ⅲ. 초등학교 5-6학년 음악⋅사회 교과서의 학습 내용 Ⅳ.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연계한 감상 교육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사회 교과 간 연계성 Ⅲ. 초등학교 5-6학년 음악⋅사회 교과서의 학습 내용 Ⅳ. 판소리와 서민 문화를 연계한 감상 교육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판소리"

      2 오재호,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경기연구원 (421) : 2020

      3 박중열, "코로나 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고찰" 대한기계학회 60 (60): 2020

      4 교육부, "초중등학교 총론 및 각론 교육과정"

      5 홍종건, "초등 음악 5⋅6" YBM 2019

      6 허정미, "초등 음악 5⋅6" 지학사 2019

      7 김용희, "초등 음악 5⋅6" 금성출판사 2019

      8 석문주, "초등 음악 5⋅6" 동아출판 2019

      9 조순이, "초등 음악 5⋅6" 비상교육 2019

      10 장기범, "초등 음악 5⋅6" 미래엔 2019

      1 "판소리"

      2 오재호,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경기연구원 (421) : 2020

      3 박중열, "코로나 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고찰" 대한기계학회 60 (60): 2020

      4 교육부, "초중등학교 총론 및 각론 교육과정"

      5 홍종건, "초등 음악 5⋅6" YBM 2019

      6 허정미, "초등 음악 5⋅6" 지학사 2019

      7 김용희, "초등 음악 5⋅6" 금성출판사 2019

      8 석문주, "초등 음악 5⋅6" 동아출판 2019

      9 조순이, "초등 음악 5⋅6" 비상교육 2019

      10 장기범, "초등 음악 5⋅6" 미래엔 2019

      11 김애경, "초등 음악 5⋅6" 천재교육 2019

      12 김영주, "교과 통합을 활용한 학무 감상 지도 방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12 (12): 59-99, 2018

      13 김민하, "교과 간 연계‧융합형 국악 수업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A교육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5 (15): 79-111, 2021

      14 교육부, "[교육부 09-29(화) 참고자료] 교육분야 코로나19 현황 자료"

      15 이혜지 ; 김두열, "ASSURE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자료 개발 - 웹드라마 <긍정이 체질>을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97 : 319-344, 2018

      16 천재교육 EduXR, "AR, VR 플랫폼"

      17 정미영, "<봉수당진찬도>를 활용한 고등학교 교과 통합 교수․학습내용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14 (14): 175-212,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