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관리 수용자에 대한 교정 복지정책의 내용과 문제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17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정복지란 원칙적으로는 사회복지 방법론을 통해 클라이언트인 범죄자에 대해 교정공공재를 독점 또는 경쟁방식으로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교정복지 생산함수는 클라이언트의 특...

      교정복지란 원칙적으로는 사회복지 방법론을 통해 클라이언트인 범죄자에 대해 교정공공재를 독점 또는 경쟁방식으로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교정복지 생산함수는 클라이언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고 이에 의해 생산함수상의 탄력성이나 변곡점도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대개 교정복지의 일반적인 생산대상의 수용자들은 비슷한 교정복지 생산함수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들에 대한 교정복지 처우는 획일성을 어느 정도 띠게 되지만 사형수, 여성 수용자, 노인 수용자, 소년 수용자 등은 소위 관리 대상자로서 이들은 그 특성에 의해 교정복지 수요탄력성이나 변곡점 등이 상이한 특징들을 가지므로 이러한 특성을 알고 교정복지사는 클라이언트들에게 개입하여 교정복지를 생산해야 함에도 현행 교정 관련법령이나 교정실무에서는 이러한 차별적인 교정복지 처우를 행하지 않고 신체적 특징과 형기의 외형적 특징에 따른 처우를 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정공공재 생산은 오래전부터 이어온 경로 의존적이여서 적절한 교정복지 생산을 저해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관리대상 수용자들의 교정통계와 특징을 살펴보고 관리대상 수용자들에게 행해지는 교정복지 처우의 내용과 문제점들을 살펴본 뒤에 그 대안을 교정복지 거시론적 측면과 교정복지 미시론적 측면으로 나누어 언급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plain correctional welfare public service policy about special prisoners which in cludes criminals under sentence of death, female prisoners juvenile prisoners, aged prisoners which has been made light of for a long ...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plain correctional welfare public service policy about special prisoners which in cludes criminals under sentence of death, female prisoners juvenile prisoners, aged prisoners which has been made light of for a long time in the korean correctional public service production history owing to the path-dependence theory inclusive of the principle of standardization of correctional welfare public service production. Therefore in the first, I explain correctional statistics and features about special prisoners inclusive of female prisoners and aged prisoners and so on. Secondly, I explain the existing correction welfare law against my insistence of correctional welfare public service prodution and assert the problem about the existing correction welfare law. Finally, I presented distinctly the desirable correctional welfare public service production inclusive of the desirable correctional public policy about special prisoners through path-breaking theory of correctional welfare public service policy. Therefore, from what has been asserted above, it seem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correctional welfare public policy of special prisoners should have value-orientation with social welfare paradig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기본이론(교정복지 개념론)
      • Ⅲ. 관리 수용자 통계와 특징
      • Ⅳ. 관리 수용자에 대한 교정복지의 내용과 문제점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기본이론(교정복지 개념론)
      • Ⅲ. 관리 수용자 통계와 특징
      • Ⅳ. 관리 수용자에 대한 교정복지의 내용과 문제점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정식, "형사정책" 동현출판사 2000

      2 천정환, "한국의 교육형주의의 문제점" (2) : 2005

      3 천정환, "천정환의 신교정복지개념론" (1) : 2005

      4 천정환, "천정환의 범죄피해복지론" (6) : 2006

      5 남세진, "인간과 복지" 한울 1992

      6 천정환, "신판교정학" 대왕사 2005

      7 천정환, "신교정복지학" 창지사 2010

      8 이정서, "사회복지학개론" 유풍 2002

      9 정민숙, "사회복지학" 양서원 2000

      10 천정환, "범죄인에 대한 교정에 관한 저서들에 나타난 교정복지 연구내용의 특징과 문제점" 한국교정복지학회 (21) : 1-23, 2011

      1 공정식, "형사정책" 동현출판사 2000

      2 천정환, "한국의 교육형주의의 문제점" (2) : 2005

      3 천정환, "천정환의 신교정복지개념론" (1) : 2005

      4 천정환, "천정환의 범죄피해복지론" (6) : 2006

      5 남세진, "인간과 복지" 한울 1992

      6 천정환, "신판교정학" 대왕사 2005

      7 천정환, "신교정복지학" 창지사 2010

      8 이정서, "사회복지학개론" 유풍 2002

      9 정민숙, "사회복지학" 양서원 2000

      10 천정환, "범죄인에 대한 교정에 관한 저서들에 나타난 교정복지 연구내용의 특징과 문제점" 한국교정복지학회 (21) : 1-23, 2011

      11 법무부, "교정통계연보" 2009

      12 이정찬, "교정복지학" 교정선교회 2000

      13 천정환, "교정복지실천에서의 탄력성의 의미" (15) : 2009

      14 홍금자, "교정복지론" 학현사 2009

      15 천정환, "개정행형법의 내용과 사회복지적 측면에서의 반론" 15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5 1.41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