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도금인자에 따른 LED 리드프레임 상의 도금층의 반사특성 =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oplated Deposits on LED Lead frame with Plating Con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05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LED 리드프레임 상에 Sn-3.5wt%Ag를 무전해도금하여 표면 거칠기와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Sn-3.5wt%Ag를 도금하기에 앞서 Sn-3.5wt%Ag 도금층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u 전해도금을 실시하였다. 도금 후 도금액의 교반속도와 온도가 도금층의 표면 거칠기와 반사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도금인자에 대해서 표면 거칠기와 반사율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교반속도가 100~300 rpm으로 증가함에 따라 표면 거칠기는 0.513 ${\mu}m$에서 0.266 ${\mu}m$으로 감소하였으며, 반사율은 1.67 GAM에서 1.86 GAM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온도가 $25{\sim}45^{\circ}C$로 증가함에 따라 표면 거칠기는 0.507 ${\mu}m$에서 0.350 ${\mu}m$으로 감소하였으며, 반사율은 1.68 GAM에서 1.84 GAM으로 증가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LED 리드프레임 상에 Sn-3.5wt%Ag를 무전해도금하여 표면 거칠기와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Sn-3.5wt%Ag를 도금하기에 앞서 Sn-3.5wt%Ag 도금층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u 전해도금...

      본 연구에서는 LED 리드프레임 상에 Sn-3.5wt%Ag를 무전해도금하여 표면 거칠기와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Sn-3.5wt%Ag를 도금하기에 앞서 Sn-3.5wt%Ag 도금층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u 전해도금을 실시하였다. 도금 후 도금액의 교반속도와 온도가 도금층의 표면 거칠기와 반사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도금인자에 대해서 표면 거칠기와 반사율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교반속도가 100~300 rpm으로 증가함에 따라 표면 거칠기는 0.513 ${\mu}m$에서 0.266 ${\mu}m$으로 감소하였으며, 반사율은 1.67 GAM에서 1.86 GAM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온도가 $25{\sim}45^{\circ}C$로 증가함에 따라 표면 거칠기는 0.507 ${\mu}m$에서 0.350 ${\mu}m$으로 감소하였으며, 반사율은 1.68 GAM에서 1.84 GAM으로 증가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순호,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다중 LED 패키지의 방열 성능 연구" 대한기계학회 35 (35): 569-575, 2011

      2 유순재, "트랜스퍼 몰딩 방식을 이용한 고 색 균일성 특성을 가지는 백색 LED 램프"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3 (23): 38-41, 2010

      3 한성원, "다양한 유무연 도금 리드프레임에 적용된 Sn-8Zn-3Bi 솔더접합부의 열충격 신뢰성 평가"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14 (14): 35-40, 2007

      4 B. S. Seo, "Thermal simulation using COB Type LED modules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in Kor.)" 1722-, 2011

      5 J. B. Kim, "The Issues and the Technology Trends of LED(in Kor.)" 24 (24): 61-76, 2009

      6 Z. Xu,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Displacement Deposited Sn for LED Lead Frame" 53 (53): 946-, 2012

      7 M. Schlesinger, "Modern electroplating" WILEY 1-32, 2010

      8 기세호, "LED용 리드프레임 상의 Sn-3.5Ag 솔더 도금의 젖음성 및 반사율" 대한금속·재료학회 50 (50): 563-568, 2012

      9 구영모, "LED용 Si 기판의 저비용, 고생산성 실리콘 관통 비아 식각 공정"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19 (19): 19-23, 2012

      10 이영철, "LED 패키지 솔더 접합부의 기계적 신뢰성에 미치는 리플로우 횟수의 영향" 대한금속·재료학회 48 (48): 1035-1040, 2010

      1 황순호,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다중 LED 패키지의 방열 성능 연구" 대한기계학회 35 (35): 569-575, 2011

      2 유순재, "트랜스퍼 몰딩 방식을 이용한 고 색 균일성 특성을 가지는 백색 LED 램프"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3 (23): 38-41, 2010

      3 한성원, "다양한 유무연 도금 리드프레임에 적용된 Sn-8Zn-3Bi 솔더접합부의 열충격 신뢰성 평가"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14 (14): 35-40, 2007

      4 B. S. Seo, "Thermal simulation using COB Type LED modules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in Kor.)" 1722-, 2011

      5 J. B. Kim, "The Issues and the Technology Trends of LED(in Kor.)" 24 (24): 61-76, 2009

      6 Z. Xu,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Displacement Deposited Sn for LED Lead Frame" 53 (53): 946-, 2012

      7 M. Schlesinger, "Modern electroplating" WILEY 1-32, 2010

      8 기세호, "LED용 리드프레임 상의 Sn-3.5Ag 솔더 도금의 젖음성 및 반사율" 대한금속·재료학회 50 (50): 563-568, 2012

      9 구영모, "LED용 Si 기판의 저비용, 고생산성 실리콘 관통 비아 식각 공정"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19 (19): 19-23, 2012

      10 이영철, "LED 패키지 솔더 접합부의 기계적 신뢰성에 미치는 리플로우 횟수의 영향" 대한금속·재료학회 48 (48): 1035-1040, 2010

      11 육지현, "LED 램프 패키지 설계를 위한 기본 지침" 한국광학회 22 (22): 141-150, 2011

      12 M. Meneghini, "High brightness GaN LEDs degradation during dc and pulsed stress" 46 : 1720-1724, 2006

      13 김서희, "GaN계 청색 발광 다이오드에서 저전류 스트레스 후의 광 및 전기적 특성 변화" 한국광학회 23 (23): 64-70, 2012

      14 김성현, "FR4 PCB면적과 Via-hole이 LED패키지에 미치는 열적 특성 분석"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4 (24): 234-239, 2011

      15 홍대운, "COB LED 램프 패키징 방열 특성과 신뢰성에 관한 연구" 한국광학회 21 (21): 118-122,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6-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마이크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외국어명 :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Jo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5 0.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