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교파별 예배 모델 모색의 일환으로 오늘날 개신교 내에서 널리 시행되는 두 개의 주요 예배 유형, 즉 설교중심예배와 찬양예배의 사례를 선택하여 이들 안에 교파의 교리적 특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교파별 예배 모델 모색의 일환으로 오늘날 개신교 내에서 널리 시행되는 두 개의 주요 예배 유형, 즉 설교중심예배와 찬양예배의 사례를 선택하여 이들 안에 교파의 교리적 특장...
이 논문은 교파별 예배 모델 모색의 일환으로 오늘날 개신교 내에서 널리 시행되는 두 개의 주요 예배 유형, 즉 설교중심예배와 찬양예배의 사례를 선택하여 이들 안에 교파의 교리적 특장들을 반영하고 예배 전통과 현대적 상황들을 균형 있게 반영하는 방식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시도가 자칫 교회일치라는 주제에 반하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나 교회 연합은 제도 및 형식의 통합을 넘어서 오히려 상황과 여건의 다양성이 불가피한 현실 속에서도 긴밀한 교류, 이해 및 협력이 보다 본질적이라는 점에서 교파별 예배 모델 시도는 오히려 큰 틀 안에서의 교회일치의 유용한 접근일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비록 성결교회의 비예전적 예배 유형, 곧 설교중심예배와 찬양예배 유형 등의 제한된 사례를 다루고 있지만 이를 통해 주로 말씀중심이면서 비교적 형식으로부터는 자유로운 예배를 지켜온 전통개신교회들의 예배 속에 어떻게 개개 교파별 특장을 구체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지, 그래서 이를 통해 개신교회 각 예배 상호 간에 상보적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예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현실 속에서 자칫 정체성이 약화되거나 부실해 질 수 있는 예배를 올바로 재정립하기 위해 전통의 지혜를 반영하는 것과 동시대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맞는 예배 형식 및 스타일의 변용을 모색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모든 교회 공히 예배의 정체성 확립과 내용 및 기능의 강화를 도전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eals with how the particular protestant traditions can maximize their liturgical experiences by adapting their characteristic dogmas to worship practices in detail, specially focused on sermon centered worship and praisecentered worship....
This article deals with how the particular protestant traditions can maximize their liturgical experiences by adapting their characteristic dogmas to worship practices in detail, specially focused on sermon centered worship and praisecentered worship. It also adds to that effort the balanced appropriation of desirable liturgical heritages and contemporary socio-cultural background. While the effort may seem to be contradictory to the movement such as current church unity, it is, in fact, cooperative to it in that, in the true and profound experiences of renewed worship practices, the unity in deep level with one another can be more strongly secured and prompted. Though it mainly confines to dealing with two particular types of worship, by this effort, this article presen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trategies in exemplary fashion not only for strengthening all worship practices in all traditions but also compensating whatever they lack liturgically and contextual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희, "현대예배론"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11
2 남호, "초대 기독교 예배"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2001
3 유재원, "이머징 에배 따라잡기" 미션아카데미 2011
4 주승중, "은총의 교회력과 설교"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4
5 한기채, "웨슬리안 윤리의 최근 동향"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3) : 125-148, 1999
6 Allmen, J. J. Von, "예배학원론" 대학기독교출판사 1979
7 Tozer, A. W., "예배인가, 쇼인가!" 규장 2004
8 기독교대한성결교회예식서수정위원회, "예배와 예신서"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2004
9 정양모, "열두 사도들의 가르침 : 디다케" 분도출판사 1993
10 Reicke, Bo I., "신약성서 시대사" 한국신학연구소 1986
1 이명희, "현대예배론"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11
2 남호, "초대 기독교 예배"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2001
3 유재원, "이머징 에배 따라잡기" 미션아카데미 2011
4 주승중, "은총의 교회력과 설교"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4
5 한기채, "웨슬리안 윤리의 최근 동향"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3) : 125-148, 1999
6 Allmen, J. J. Von, "예배학원론" 대학기독교출판사 1979
7 Tozer, A. W., "예배인가, 쇼인가!" 규장 2004
8 기독교대한성결교회예식서수정위원회, "예배와 예신서"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2004
9 정양모, "열두 사도들의 가르침 : 디다케" 분도출판사 1993
10 Reicke, Bo I., "신약성서 시대사" 한국신학연구소 1986
11 서울신학대학교 성결교회신학연구위원회, "성결교회 신학용어 사전" 대한기독교성결교회 출판부 2005
12 Webber, Robert, "살아있는 예배" 예본 1992
13 조정남, "사중복음의 현대적 의의" 대한기독교서회 2009
14 이성주, "사중복음의 신학적 이해" 성결대학교 출판부 2 : 35-57, 2005
15 이홍기, "미사전례" 분도출판사 1997
16 대천덕, "교회력에 따른 대천덕 절기설교" 홍성사 2006
17 Martin, Ralph, "Worship in the Early Church" William B. Edrdmans 1974
18 Martin, Ralph, "The Worship of God" William B. Edrdmans 1982
19 The United Methodist Book of Worship Committee, "The United Methodist Book of Worship" The United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92
20 Webber, Robert, "The Renewal of Sunday Worship. vol 3. Complete Library of Christian Worship Nashville" StarSong Publishing Group 1993
21 Maxwell, William, "Outline of Christian Wo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1936
22 Kavanagh, Aidan, "On Liturgical Theology" Pueblo 1981
23 Board of Publication, "Lutheran Book of Worship" Augsburg 1992
24 White, James, "Introduction to Christian Worship(3rd ed)" Abingdon 2000
25 Underhill, "Everlyn. Worship" Harper & Brothers 1936
26 Wegman, Herman, "Christian Worship in East and West" Pueblo 1976
27 Theology and Worship Ministry Unit for the Presbyterian Church(U.S.A.) and the Cumberland Presbyterian Church, "Book of Common Worship. Louisville" Westminster/John Kvox 1993
28 김순환, "21세기 예배론" 대한기독교서회 2003
실천신학의 과제와 전망 -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를 중심으로
"헨리 나우웬 영성이 현대 기독교 영성에 미친 영향 : 한 복음주의자의 견해"
북한선교패러다임에 따른 북한인권 접근 방식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복음주의 실천신학 논총 -> 복음과 실천신학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9 | 1.19 | 1.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 | 0.88 | 0.878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