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 교육은 인터넷, 방송, 통신, 우편과 같은 원격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교육이 비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형태를 말한다. 비교적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83311
2020
-
379
KCI등재
학술저널
141-166(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원격 교육은 인터넷, 방송, 통신, 우편과 같은 원격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교육이 비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형태를 말한다. 비교적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적...
원격 교육은 인터넷, 방송, 통신, 우편과 같은 원격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교육이 비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형태를 말한다. 비교적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적어 교육 기회의 확대 제공과 교육적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 장점을 지님으로써 다양한 교육 및 훈련 분야에서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원격 교육을 기반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부모가 참여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현장에서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간 국외 학술지에 발표된 선행연구 총 23편을 선정하여 연구 참여자, 연구 방법, 종속 변인, 독립 변인 특히 원격 교육 방법과 관련하여 전달 유형, 전달 매체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령기 이전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으며 대부분 다양한 증거 기반의 중재 방법을 사용하여 사회 의사소통 기술과 행동 중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원격 교육의 전달 방법으로 비동시적, 동시적 방식을 다양하게 사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부모를 위한 원격 교육 방법에 대해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leeducation, also called distance education allows teachers and learners to make a non-face-to-face communication via distance communication media such as the internet, broadcasts, telecommunications, and mail. Comparatively unlimited by time and sp...
Teleeducation, also called distance education allows teachers and learners to make a non-face-to-face communication via distance communication media such as the internet, broadcasts, telecommunications, and mail. Comparatively unlimited by time and space, teleeducation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o exp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nhance educational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teleeduca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refore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teleeducation program in the field. For this purpose, 23 studies of past 10 years were included. This study evaluates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the types and media of delivery related to methods of teleeducation were analyzed in dept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of the reviewed experimental studies were usually parents of preschool ag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various evidence-based practices were conducted to examined the effects on social communication skills and behavior management. Also the effectiveness of teleeducation has been proved by the diverse use of asynchronous (occurring at a different time) or synchronous (real-time) methods as a means of delivery.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윤경, "현장 전문가 소집단 면담을 통한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주요 요소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115-145, 2017
2 전혜인, "장애자녀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실태 및 부모의 요구"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3, 2014
3 전혜인, "장애아동의 부모를 위한부모결연프로그램에 참가한 어머니들의 경험"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33-252, 2006
4 백예은, "장애아동 부모를 위한 징검다리 긍정적 양육 프로그램(Stepping Stones Triple P-Positive Parenting Program, 이하 SSTP) 국외 연구동향" 한국발달장애학회 22 (22): 125-150, 2018
5 노진아, "장애 영유아를 위한 부모 참여 중재 연구의 동향 및 WWC 평가 지표에 의한 분석: 국내외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425-453, 2014
6 문덕수, "자폐스펙트럼장애 부모교육에 대한 전문가와 부모의 인식 및 요구" 한국자폐학회 19 (19): 67-95, 2019
7 이소현, "자폐 장애의 일탈적 특성 고찰을 통한 특수교육적 접근의 방향성 정립 : 사회성 발달 장애를 중심으로" 34 (34): 227-256, 1999
8 이소현,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역할 및 과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03-133, 2009
9 김선경,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 국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25-57, 2014
10 김선경,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9 (19): 291-313, 2017
1 조윤경, "현장 전문가 소집단 면담을 통한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주요 요소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115-145, 2017
2 전혜인, "장애자녀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실태 및 부모의 요구"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3, 2014
3 전혜인, "장애아동의 부모를 위한부모결연프로그램에 참가한 어머니들의 경험"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33-252, 2006
4 백예은, "장애아동 부모를 위한 징검다리 긍정적 양육 프로그램(Stepping Stones Triple P-Positive Parenting Program, 이하 SSTP) 국외 연구동향" 한국발달장애학회 22 (22): 125-150, 2018
5 노진아, "장애 영유아를 위한 부모 참여 중재 연구의 동향 및 WWC 평가 지표에 의한 분석: 국내외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425-453, 2014
6 문덕수, "자폐스펙트럼장애 부모교육에 대한 전문가와 부모의 인식 및 요구" 한국자폐학회 19 (19): 67-95, 2019
7 이소현, "자폐 장애의 일탈적 특성 고찰을 통한 특수교육적 접근의 방향성 정립 : 사회성 발달 장애를 중심으로" 34 (34): 227-256, 1999
8 이소현,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역할 및 과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03-133, 2009
9 김선경,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 국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25-57, 2014
10 김선경,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9 (19): 291-313, 2017
11 김선경,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부모를 위한 맞춤형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태도 및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1-31, 2020
12 이후민,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놀이코칭이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과 어머니-장애유아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57-82, 2020
13 김정원, "웹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 46 (46): 1-14, 2008
14 강혜원,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25, 2011
15 김기룡, "모듈식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73-95, 2013
16 문회원,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가정에서의 저녁 일과시간에 발생하는 자폐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97-115, 2008
17 Baker, C. E., "When daddy comes to school : Father-school involvement and children’s academic and social-emotional skills" 188 : 208-219, 2016
18 Baharav, E., "Using telepractice in parent training in early autism" 16 (16): 727-731, 2010
19 Brookman-Fraze, L., "Using parent/clinician partnerships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autism" 6 (6): 195-213, 2004
20 Flippin, M., "The need for more effective father involvement in early autism intervention : A systematic review and recommendations" 33 : 23-50, 2011
21 Burke, B. L., "Telemedicine : pediatric applications" 136 (136): 293-308, 2015
22 Vismara, L. A., "Telehealth parent training in the early start denver model : Result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33 (33): 67-79, 2018
23 Vismara, L. A., "Telehealth for expanding the reach of early autism training to parents" 12 : 1-12, 2012
24 Baggett, K. M., "Technologies for expanding the reach of evidence-based interventions : Preliminary results for promot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29 (29): 226-238, 2010
25 Hong, E. R., "Self-paced and video-based learning : Parent training and language skiils in japanese children with ASD" 28 (28): 1-19, 2018
26 이지연,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이장애 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역할 만족도,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51-80, 2020
27 Jang, J., "Randomized trial of an eLearning program for training family members of children with autism in the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6 (6): 852-856, 2012
28 Kasari, C., "Randomized comparative efficacy study of parent-mediated interventions for toddlers with autism" 83 (83): 554-563, 2015
29 Green, J., "Parent-mediated communication focused treatment in children with autism(PACT)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375 (375): 2152-2160, 2010
30 Parsons, D., "Parent-mediated Intervention training delivered remotel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living outside of urban areas : Systematic review" 19 (19): 1-19, 2017
31 Ingersoll, B., "Parent engagement with a telehealth-based parent-mediated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redators of program use and parent outcomes" 17 : e227-, 2015
32 Subramaniam, S., "Maintenance of parent-implemented discrete-trial instruction during videoconferencing" 26 : 1-26, 2017
33 Glazzard, J., "Living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 Parental experiences of raising a child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27 (27): 37-45, 2012
34 Meadan, H., "Internet-based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 A pilot study" 38 (38): 3-23, 2016
35 Meadan H., "Internet-based intervention training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A promising service-delivery model" 185 (185): 155-169, 2015
36 Boyd, B., "Infants and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Early identif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32 : 75-98, 2010
37 Wainer, A. L., "Increasing access to an ASD imitation intervention via a telehealth parent training program" 45 (45): 3877-3890, 2015
38 Ingersoll, B., "Including parent training i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8 (8): 79-87, 2006
39 Minjarez, M. B., "Impact of pivotal response training group therapy on stress and empowerment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15 (15): 71-78, 2013
40 Dunlap. G.,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with toddlers in home environments" 28 (28): 81-96, 2006
41 Heitzaman-Powell, L. S., "Formative evaluation of an ABA outreach training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in remote areas" 29 (29): 23-38, 2014
42 Bearss, K., "Feasibility of parent training via telehealth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disruptive behavior : A demonstration pilot" 48 : 1020-1030, 2018
43 Hamad, C. D., "Extending the reach of early intervention training for practitioners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an online curriculum for teaching behavioral intervention knowledge in autism to families and service providers" 23 (23): 195-208, 2010
44 Granpeesheh, D., "Evaluation of an eLearning tool for training behavioral therapists in academic knowledge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4 (4): 11-17, 2010
45 Suess, A. N., "Evaluating the treatment fidelity of parents who conduct in-home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with coaching via telehealth" 23 (23): 34-59, 2014
46 McDuffie, A., "Distance video-teleconferencing in early intervention : Pilot study of a naturalistic parent-implemented language intervention" 33 (33): 172-185, 2013
47 Wainer, A. L., "Disseminating ASD Interventions : A Pilot Study of a Distance Learning Program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43 (43): 11-24, 2013
48 Wacker, D. P., "Conducting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via telehealth to reduce the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25 (25): 35-48, 2013
49 Taylor, T. K., "Computer-based intervention with coaching : An example using the Incredible Years program" 37 (37): 233-246, 2008
50 Roberts, C. A., "Comparison of online and face-to-face paren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and sleep problems" 49 : 1410-1422, 2019
51 Ingersoll, B., "Comparison of a self-directed and therapist-assisted telehealth parent-mediat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SD : A pilot RCT" 46 (46): 2275-2284, 2016
52 Simacek, J.,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evere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via telehealth" 47 : 744-767, 2017
53 Benson, S. S., "Coaching parents to assess and treat self-injurious behavior via telehealth" 62 (62): 1114-1123, 2018
54 Meadan, H., "Coaching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 rural areas using internet-based technologies : A pilot program" 32 (32): 3-10, 2013
55 Kuravackel, G. M., "COMPASS for hope :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parent training and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with ASD" 48 : 404-416, 2018
56 Machalicek, W., "Behavioral telehealth consultation with famili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31 (31): 223-250, 2016
57 Maughan, D. R., "Behavioral parent training as a treatment for externalizing behaviors and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 A meta-analysis" 34 (34): 267-286, 2005
58 Aldred, C., "A new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 Pilot randomised controlled treatment study suggesting effectiveness" 45 : 1420-1430, 2004
59 Pickard, K. E., "A mixed-method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of a telehealth-based parent-mediated intervention for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20 (20): 845-855, 2016
60 Lundahl, B., "A meta-anaysis of parent training : Moderators and follow-up" 16 : 251-262, 2006
61 Kobak, K. A., "A Web-based tutorial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 Results from a pilot study" 17 : 804-808, 2011
62 Knutsen, J., "A Systematic review of telemedicine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3 : 330-344, 2016
63 Lindgren, 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via telehealth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50 (50): 65-79, 2020
발달장애인 처우론으로서의 사회적 유용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화 “힘을 내요 미스터 리”에 나타난 보훈 코드를 중심으로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긍정심리 미술치료 사례연구
국내 발달장애 성인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8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 | 0.98 | 1.174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