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속가능한 농업유산과 박물관의 역할 - 하동전통차농업을 중심으로 = Sustainable agricultural heritage and roles of museums: Focusing on Hadong traditional tea farm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5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가중요농업유산이자 세계농업유산으로 등재된 하동전통차농업을 중심으로 오랫동안 전통적인 농경문화 속에서 살아남은 농업유산을 계승․발전시켜 후세에 계속해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유산의 지킴이 역할을 하는 박물관과의 협력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농업유산이란 농업인이 지역의 환경, 사회, 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진화시켜온 전통적 농업활동과 제도, 그 결과로 나타난 농촌 경관 등 모든 산물을 의미한다. 2002년에 유엔식량농업기구 주관으로 창설된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는 어느 지역이나 국가에서 환경이나 사회, 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시켜온 전 세계의 전통적인 농업시스템과 경관, 생물다양성, 토지이용체계를 선정해 보전하고 차세대에 계승하고자 하는 취지로 도입되었다. 그동안 급격한 사회 변화, 개발 중심의 정책들로 인해 손상되고 사라져가고 있는 독창적인 토지이용시스템과 생태환경에 대한 상황을 인식하고 이러한 유․무형의 농업유산을 지키고 자 함이다.
      하동전통차농업은 지역사회의 환경과 공동체의 공존의식을 바탕으로 천 년 이상 그 명맥을 유지해왔으며, 오늘날 하동야생차 농업유산은 지역을 넘어 세계를 향해 도약하고 있다.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유산을 위해, 해당 지역사회의 문화유산 및 자연산을 보존하고 보전하는 책임을 맡고 있는 박물관과의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지역주민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박물관을 통해 지금까지 전승되어온 농업유산의 저변에 깔려있는 공존의식을 더욱 빛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가중요농업유산이자 세계농업유산으로 등재된 하동전통차농업을 중심으로 오랫동안 전통적인 농경문화 속에서 살아남은 농업유산을 계승․발전시켜 후세에 계속해서 이어...

      본 연구는 국가중요농업유산이자 세계농업유산으로 등재된 하동전통차농업을 중심으로 오랫동안 전통적인 농경문화 속에서 살아남은 농업유산을 계승․발전시켜 후세에 계속해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유산의 지킴이 역할을 하는 박물관과의 협력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농업유산이란 농업인이 지역의 환경, 사회, 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진화시켜온 전통적 농업활동과 제도, 그 결과로 나타난 농촌 경관 등 모든 산물을 의미한다. 2002년에 유엔식량농업기구 주관으로 창설된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는 어느 지역이나 국가에서 환경이나 사회, 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시켜온 전 세계의 전통적인 농업시스템과 경관, 생물다양성, 토지이용체계를 선정해 보전하고 차세대에 계승하고자 하는 취지로 도입되었다. 그동안 급격한 사회 변화, 개발 중심의 정책들로 인해 손상되고 사라져가고 있는 독창적인 토지이용시스템과 생태환경에 대한 상황을 인식하고 이러한 유․무형의 농업유산을 지키고 자 함이다.
      하동전통차농업은 지역사회의 환경과 공동체의 공존의식을 바탕으로 천 년 이상 그 명맥을 유지해왔으며, 오늘날 하동야생차 농업유산은 지역을 넘어 세계를 향해 도약하고 있다.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유산을 위해, 해당 지역사회의 문화유산 및 자연산을 보존하고 보전하는 책임을 맡고 있는 박물관과의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지역주민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박물관을 통해 지금까지 전승되어온 농업유산의 저변에 깔려있는 공존의식을 더욱 빛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more systematic and sustainable way to sustain the Hadong traditional tea farming registered as a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and world agricultural heritage which has been survived in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culture for a long time by cooperating with a local museum which has functions and roles to preserve local heritage. Agricultural heritage means all products, including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ies and systems that have been formed and evolved for a long time by the farmers adapting to the local environment, society, and customs, and the resultant rural landscapes. Established in 2002 by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the World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preserve and succeed traditional agricultural systems, landscapes, biodiversity, and land use systems that have long been shaped by adapting to the environment, society, and customs to pass down to the next generations. It recognizes the unique land use systems and ecosystems that have been damaged and disappearing due to radical social changes and development-oriented policies, thereby safeguarding such tangible and intangible agricultural heritage.
      The Hadong traditional tea farming has been maintaining its reputation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based on the sense of co-existence of a local community and its environment. Today, the Hadong wild tea agricultural heritage is leaping beyond the region and toward the world. For a more efficient and sustainable heritage, cooperation with a local museum that is responsible for preserving and conserving the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of the community is very important. Through the museum which plays a key role in locating the identity of the local people, it will be able to shine the sense of coexistence underlying the agri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transmitted so fa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more systematic and sustainable way to sustain the Hadong traditional tea farming registered as a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and world agricultural heritage which has been survived in the tradi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more systematic and sustainable way to sustain the Hadong traditional tea farming registered as a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and world agricultural heritage which has been survived in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culture for a long time by cooperating with a local museum which has functions and roles to preserve local heritage. Agricultural heritage means all products, including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ies and systems that have been formed and evolved for a long time by the farmers adapting to the local environment, society, and customs, and the resultant rural landscapes. Established in 2002 by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the World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preserve and succeed traditional agricultural systems, landscapes, biodiversity, and land use systems that have long been shaped by adapting to the environment, society, and customs to pass down to the next generations. It recognizes the unique land use systems and ecosystems that have been damaged and disappearing due to radical social changes and development-oriented policies, thereby safeguarding such tangible and intangible agricultural heritage.
      The Hadong traditional tea farming has been maintaining its reputation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based on the sense of co-existence of a local community and its environment. Today, the Hadong wild tea agricultural heritage is leaping beyond the region and toward the world. For a more efficient and sustainable heritage, cooperation with a local museum that is responsible for preserving and conserving the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of the community is very important. Through the museum which plays a key role in locating the identity of the local people, it will be able to shine the sense of coexistence underlying the agri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transmitted so f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농업유산과 박물관
      • Ⅲ. 하동 전통차농업과 야생차박물관
      • Ⅳ. 농업유산과 박물관의 역할
      • Ⅴ. 결 론
      • Ⅰ. 서 론
      • Ⅱ. 농업유산과 박물관
      • Ⅲ. 하동 전통차농업과 야생차박물관
      • Ⅳ. 농업유산과 박물관의 역할
      •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희, "하동 야생차문화축제의 축제장소 다핵화(Zoning)와 스토리텔링 연구" 국제차문화학회 31 : 103-134, 2016

      2 손호기, "에코뮤지엄 개념에 기초한 친환경 농업경관지구 조성계획 연구 - 충주시 주덕읍 일원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관광학회 18 (18): 87-100, 2011

      3 이경희, "야생차문화축제 운영 양상과 지역 차문화 전문가 확충에 관한 연구– 제18회 축제의 대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실천민속학회 24 : 63-88, 2014

      4 "생물다양성협약"

      5 이현주, "사람과 땅, 농업유산2-하동 전통차농업, 한국경제매거진 152호"

      6 이보아, "박물관학개론" 김영사 2000

      7 유정아, "맛길따라-하동야생차문화축제의 참살이 향기" 3 (3): 80-85, 2010

      8 김상범, "농업유산의 체계적 관리와 경관 모니터링 방안"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8 (8): 1-10, 2014

      9 박윤옥, "농업유산의 보존·활용을 위한 박물관 사업에 대한 고찰 - 일본의 사례" 한국박물관학회 (29) : 1-22, 2015

      10 신용광, "농업 유산자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9 (39): 710-725, 2012

      1 이경희, "하동 야생차문화축제의 축제장소 다핵화(Zoning)와 스토리텔링 연구" 국제차문화학회 31 : 103-134, 2016

      2 손호기, "에코뮤지엄 개념에 기초한 친환경 농업경관지구 조성계획 연구 - 충주시 주덕읍 일원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관광학회 18 (18): 87-100, 2011

      3 이경희, "야생차문화축제 운영 양상과 지역 차문화 전문가 확충에 관한 연구– 제18회 축제의 대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실천민속학회 24 : 63-88, 2014

      4 "생물다양성협약"

      5 이현주, "사람과 땅, 농업유산2-하동 전통차농업, 한국경제매거진 152호"

      6 이보아, "박물관학개론" 김영사 2000

      7 유정아, "맛길따라-하동야생차문화축제의 참살이 향기" 3 (3): 80-85, 2010

      8 김상범, "농업유산의 체계적 관리와 경관 모니터링 방안"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8 (8): 1-10, 2014

      9 박윤옥, "농업유산의 보존·활용을 위한 박물관 사업에 대한 고찰 - 일본의 사례" 한국박물관학회 (29) : 1-22, 2015

      10 신용광, "농업 유산자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9 (39): 710-725, 2012

      11 "농림축산식품부"

      12 오충현, "국가중요농업유산 5, 하동 전통차 농업"

      13 "고려다원"

      14 영국박물관협회, "Sustainability and museums" 2008

      15 이정환, "Conservation of Korean rural heritage through the use of ecomuseums" 7 (7): 163-169,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