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고속철도는 서울 수서에서 경기 평택까지 61.1km 구간을 고속신선으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선로용량의 한계에 다다른 경부선 서울-시흥구간의 혼잡 해소와 서울역과 용산역에 집중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260736
2016
Korean
Preference ; Metropolitan Area HSR ; SP survey ; Conversion rate ; Demand estimation ; 선호도 ; 수도권 고속철도 ; SP조사 ; 전환률 ; 수요추정
학술저널
1603-1607(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수도권 고속철도는 서울 수서에서 경기 평택까지 61.1km 구간을 고속신선으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선로용량의 한계에 다다른 경부선 서울-시흥구간의 혼잡 해소와 서울역과 용산역에 집중되...
수도권 고속철도는 서울 수서에서 경기 평택까지 61.1km 구간을 고속신선으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선로용량의 한계에 다다른 경부선 서울-시흥구간의 혼잡 해소와 서울역과 용산역에 집중되어있는 고속철도 서비스를 서울 강남, 강동, 수도권 동남부지역까지 확대하여 광역 및 지역간 통행시간 단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수도권 고속철도 운영사인 ㈜SR은 수서-부산, 수서-목포 노선을 2016년 12월 중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한국교통연구원에서는 수도권 고속철도 이용의사 설문조사를 서울역, 용산역, 광명역, 강남고속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 및 고속철도 노선 이용자 2,1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간 통행에서 고속철도 및 고속버스 이용자들이 수도권 고속철도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통행패턴 변화를 예측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tropolitan Area High Speed Railway(HSR) project is new high speed rail construction from Seoul Suseo to Gyeonggi Pyeong-taek(61.1km). It is expected to solve railway congestion Gyeongbu line between Seoul and Si-heung and will expand HSR service tha...
Metropolitan Area High Speed Railway(HSR) project is new high speed rail construction from Seoul Suseo to Gyeonggi Pyeong-taek(61.1km). It is expected to solve railway congestion Gyeongbu line between Seoul and Si-heung and will expand HSR service that is concentrated in Seoul and Yongsan area to south-east part of Metropolitan area(Gang-nam, Gang-dong etc.), thus reducing regional travel time. It would be opened in December, 2016.
KOTI surveyed Metropolitan Area HSR preference at Seoul, Yongsan, Gwangmyeon station, and Seoul express bus terminal and we questioned on 2,109 people to regional travel by KTX or express bus. In this study, We forecast changes in regional trip pattern from HSR and express bus users to Metropolitan Area HSR based on result of survey.
카플란-메이어 기법을 이용한 선로전환기 계전기의 수명예측에 대한 연구
비개착 공사에 있어 철도 노반 자동화 계측관리 사례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