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개방형 교수법에 따른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연구로 초등학교 5학년 가, 나 단계에 걸쳐 구성된 평행사변형, 삼각형, 사다리꼴, 마름모의 넓이에 대한 수업을 개방형 교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19968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61-383(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방형 교수법에 따른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연구로 초등학교 5학년 가, 나 단계에 걸쳐 구성된 평행사변형, 삼각형, 사다리꼴, 마름모의 넓이에 대한 수업을 개방형 교수...
본 연구는 개방형 교수법에 따른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연구로 초등학교 5학년 가, 나 단계에 걸쳐 구성된 평행사변형, 삼각형, 사다리꼴, 마름모의 넓이에 대한 수업을 개방형 교수법에 따라 재구성하여 12차시로 실행하고 그 교수·학습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논의를 통하여 자신이 찾은 방법에 대해 설명을 통한 정당화를 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해결 방법에 대해 결점을 파악하기도 하고, 수학적 오개념을 나타내거나 보다 높은 수준의 방법을 생각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수업에서 발표와 서로간의 질문을 통해 사고하며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큰 흥미를 느낀 동시에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on teaching about the areas of plane figures through open instruction, which aims to discover the pedagogical meanings and implications in the application of open methods to math classes by running the Math A & B classes regarding the ar...
This study is on teaching about the areas of plane figures through open instruction, which aims to discover the pedagogical meanings and implications in the application of open methods to math classes by running the Math A & B classes regarding the areas of parallelogram, triangle, trapezoid and rhombus for fif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open instruction method and analyzing the educational process. This study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is most important to choose proper open-end questions for classes on open instruction methods. Teachers should focus on the roles of educational assistants and mediators in the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Second, teachers need to make lists of anticipated responses from students to lead them to discuss and focus on more valuable methods. Third, it is efficient to provide more individual tutoring sessions for the students of low educational level as the classes on open instruction methods are carried on. Fourth, students sometimes figured out more advanced solutions by justifying their solutions with explanations through discussions in the group sessions and regular classes. Fifth, most of students were found out to be much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thinking and figuring out solutions through presentations and questions in classes and find it difficult to describe their thoughts.
목차 (Table of Contents)
각기둥의 정의 만들기에 관한 지도 사례 연구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중심의 수학사 기반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 수업 준비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