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시에 대한 잘 알려진 표준적인 독법 중의 하나는, 서정시의 화자를 가정한 다음, 그 화자의 언술이 지니는 특성으로서의 자기-지시성에 따르는 것이다. 자기-지시성은 언어가 외부의 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서정시에 대한 잘 알려진 표준적인 독법 중의 하나는, 서정시의 화자를 가정한 다음, 그 화자의 언술이 지니는 특성으로서의 자기-지시성에 따르는 것이다. 자기-지시성은 언어가 외부의 사...
서정시에 대한 잘 알려진 표준적인 독법 중의 하나는, 서정시의 화자를 가정한 다음, 그 화자의 언술이 지니는 특성으로서의 자기-지시성에 따르는 것이다. 자기-지시성은 언어가 외부의 사물을 지시한다는 일반적이면서도 신화화되어 있는 저 견고한 시학의 기본 원리를 전복시키는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종종 자기-지시라는 글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폐쇄적인 방식의 하나로 이해된다. 박상순의 시는 난해성, 실험성 등의 결정-불가능성에 맞닿아 있는 시적 특성으로 인해 서정시가 아닌 것으로 분류되곤 한다. 그러나 서정시의 주체가 자기-지시적 언술을 통해 그 서정성을 극대화한다고 했을 때, 박상순의 시를 특정짓는 저 결정 불가능성은 오히려 서정시의 통상적인 표현 방식에 가까운 것이 된다. 그렇게 해서 박상순의 시를 읽을 때, 우리는 어쩌면 현실을 위장하고 있는 환상뿐만 아니라 그 너머의 실재까지를 더 읽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ne of standard readings, as being well known, is that assuming the speaker in lyrics and following the self-referentiality as the characteristic of something emmciated by him/her. Although the self-referentiality is an way to subvert the fundanle...
The one of standard readings, as being well known, is that assuming the speaker in lyrics and following the self-referentiality as the characteristic of something emmciated by him/her. Although the self-referentiality is an way to subvert the fundanlental principle of poetics, on which language directs its outer things generally and naturally, it tends to be regarded, to the letter, as a closed way. Park, Sang-soon’ s poetry is usually considered as being of non-lyrics for the poetic characteristic, which is very close to un-decidability viz. ,such as difficultness, experimentalness.
However, so long as the subiect of lyrics maximizes his/her lyricalness, un-decidability of him is rather not far away from the standard way of enunciating. In this manner, when we read his poetry,we would more read 'the feal’ beyond as well as the fantasy of reali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