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울릉도 해송림 지역의 생태관광 자원화를 위한 군집구조 분석 = Analysis of Community Structure for Ecotourism Resource at Pinus thunbergii Forest area in Ulleung-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215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울릉도 해송림의 생물종 다양성 보존과 생태관광 자원화를 위한 생태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해송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였다. 울릉도 해송림의 Cluster 분석 결과 해송-섬피나무림(군집 A), 해송-섬벚나무림(군집 B), 해송 우점림(군집 C)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 상관관계에서는 섬벚나무는 섬단풍, 마가목은 섬피나무, 섬단풍은 섬피나무, 우산고로쇠는 삼나무, 섬피나무는 쪽동백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해송과 동백나무는 약한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군집별 목본식물의 종다양성은 군집 A에서는 1.1811, 군집 B는 1.2202, 군집 C는 0.8713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울릉도 해송림의 생물종 다양성 보존과 생태관광 자원화를 위한 생태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해송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였다. 울릉도 해송림의 Cluster 분석 결과 해송-섬피나무림(...

      본 연구는 울릉도 해송림의 생물종 다양성 보존과 생태관광 자원화를 위한 생태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해송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였다. 울릉도 해송림의 Cluster 분석 결과 해송-섬피나무림(군집 A), 해송-섬벚나무림(군집 B), 해송 우점림(군집 C)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 상관관계에서는 섬벚나무는 섬단풍, 마가목은 섬피나무, 섬단풍은 섬피나무, 우산고로쇠는 삼나무, 섬피나무는 쪽동백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해송과 동백나무는 약한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군집별 목본식물의 종다양성은 군집 A에서는 1.1811, 군집 B는 1.2202, 군집 C는 0.8713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ecological resources which is need for species diversity, ecotourism resource at Pinus thunbergii Forest in Ulleung-do. As a result of analyzing 31 clusters of Pinus thunbergii Forest, it was classified as three groups- Pinus thunbergii-Tilia insularis community (A), Pinus thunbergii-Prunus takesimensis community (B)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C).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Prunus takesimensis and Acer takesimense, Sorbus commixta and Tilia insularis, Acer takesimense and Tilia insularis, Acer okamotoanum and Cryptomeria japonica, Tilia insularis and Styrax obassia, and relatively weak nega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Pinus thunbergii and Camellia japonica.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woody plant by communities showed that community A was 1.1811, community B was 1.2202 and community C was 0.8713.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ecological resources which is need for species diversity, ecotourism resource at Pinus thunbergii Forest in Ulleung-do. As a result of analyzing 31 clusters of Pinus thunbergii Forest, it was classified as three 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ecological resources which is need for species diversity, ecotourism resource at Pinus thunbergii Forest in Ulleung-do. As a result of analyzing 31 clusters of Pinus thunbergii Forest, it was classified as three groups- Pinus thunbergii-Tilia insularis community (A), Pinus thunbergii-Prunus takesimensis community (B)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C).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Prunus takesimensis and Acer takesimense, Sorbus commixta and Tilia insularis, Acer takesimense and Tilia insularis, Acer okamotoanum and Cryptomeria japonica, Tilia insularis and Styrax obassia, and relatively weak nega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Pinus thunbergii and Camellia japonica.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woody plant by communities showed that community A was 1.1811, community B was 1.2202 and community C was 0.8713.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조사지 및 조사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조사지 및 조사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양재,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3 (3): 69-83, 1980

      2 백광수, "한반도 주변도서의 관속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 5 (5): 143-153, 1982

      3 국립지질조사소, "한국지질도"

      4 김무열,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408-, 2004

      5 이우철,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1688-, 1997

      6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 2003

      7 조현제, "울릉도 성인봉일대 원시림의 군집생태학적 연구" 82 (82): 139-151, 1993

      8 박관수, "울릉도 성인봉 주변 너도 밤나무 하위군집별 토양 특성" 18 (18): 299-305, 2000

      9 이중효, "울릉도 산림식생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군집생태학적 접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중표,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생태학회 29 (29): 521-529, 2006

      1 임양재,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3 (3): 69-83, 1980

      2 백광수, "한반도 주변도서의 관속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 5 (5): 143-153, 1982

      3 국립지질조사소, "한국지질도"

      4 김무열,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408-, 2004

      5 이우철,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1688-, 1997

      6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 2003

      7 조현제, "울릉도 성인봉일대 원시림의 군집생태학적 연구" 82 (82): 139-151, 1993

      8 박관수, "울릉도 성인봉 주변 너도 밤나무 하위군집별 토양 특성" 18 (18): 299-305, 2000

      9 이중효, "울릉도 산림식생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군집생태학적 접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10 이중표,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생태학회 29 (29): 521-529, 2006

      11 김갑태,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14 (14): 397-406, 1998

      12 최홍근, "생물과 환경 그리고 생물다양성, 환경과 사회-인간, 생명 그리고 생태(김영래 등)" 도서출판 오름 59-94, 2007

      13 기상청, "기후통계자료(1989~2008)"

      14 Barbour, M. G, "Terre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min/Cummings Publish Co., Menlo Park. 155-229, 1987

      15 Ludwig, J. A.,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377-, 1988

      16 Nakai, T., "Report on the Vegetation of Dagelet island, Corea" Chosen Government 87-, 1919

      17 Dal,e G. B., "Forest plant diversity at local and landscape scales in the Cascade Mountains of southwestern Washington" 109 : 323-341, 1998

      18 Brower, J. E.,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Brown Company 194-, 1977

      19 Loucks, O. C., "Evolution of diversity efficiency community stability" 10 : 17-25, 1970

      20 Krebs, C. J., "Ecology, 3rd edition" Haber & Publishers Inc. 3-14, 1985

      21 Pielou, E. C.,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 1975

      22 Whitaker, R. H.,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147 : 250-259, 1965

      23 Curtis and McIntosh,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vorder region of Winsconsin" 32 : 476-496, 195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림휴양학회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9 0.92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