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조선후기 小照의 제작과 북학파의 역할 = Sojo-Portrait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Role of the Bukhakpa in the Development of This Gen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4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Sojo(小照),’meaning literally small-size portraits, are distinct from ceremonial portraits like official court portraits not just in their size. Sojo laid greater emphasis on personal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portrayed subject than did the latter. Basic portrait techniques for accurately depicting the subject have been used also for sojo portraits. At the same time, sojo portraits tend to actively integrate compositions and techniques of general figure paintings;something which cannot be found for official portraits.
      Sojo portrait painting began in Joseon, during the early 18th century, among members of its literati class, including those belonging to the political parties of Buggin (Northerners),Namin (Southerners), and Soron (Young Doctrine). This is in part because these people were flexible thinkers and were less dictated by imperatives of the real world. Most members of those political parties were politically unsuccessful and marginalized, devoting their lives to classical studies and literature. The emergence of sojo heralded a new liberal style of portraiture of scholar-officials, and the style of sojo, in time, became further liberal.
      Later toward the late 18th century, members of the Bukhakpa (a group who advocated to learn from China) who traveled to Beijing brought back Qing-dynasty sojo portraits,galvanizing the production of sojo in Joseon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diverse forms of sojo. It is also people of the Bukhakpa who introduced paintings by the Bochen school and the Yangzhou school that led Qing-dynasty portrait paintings to Joseon. But, as demonstrated by how Lee Deokmu misunderstood the sojo portraits by Zhu Delin(祝德麟), Bukhakpa people were not, from the outset, well-versed in this genre of painting. That being said, members of the Bukhakpa eventually developed a discerning eye for sojo portraiture and showed an increasingly keen interest in this genre, in time.
      This is confirmed by the exchange that Park Jega and Yu Deukgong had with Chen Sen(陳森) as well. The incorporation of the style of Qing sojo paintings into Joseon sojo paintings,therefore, took place in a manner proportional to the progress in understanding of this new painting style. When one compares early sojo works like the portrait of Kang Sehwang by Han Jongyu (Portrait of Pyoam at the Age of Sixty-nine ) with later ones like Portrait of a Scholar , one easily realizes that a major change took place in the style of sojo in Joseon, over time.
      The production of sojo, meanwhile, was far from widespread in Joseon which, as a society, held a highly dogmatic view on the art of portraiture in which the resemblance of a portrait to the painted subject was of paramount importance. Yet, sojo injected meaning into a portrait in a way other portrait painting genres could not. Unlike in the official court portraits of so-called meritorious retainers in which the subject is represented in a hieratic attitude like a religious icon, sojo was a genre capable of endowing paintings with metaphorical or symbolic expressions, which offered insights into the inner world of a subject, captured the gist of a historical event and gave concrete shapes to personal hopes and dreams.
      번역하기

      ‘ Sojo(小照),’meaning literally small-size portraits, are distinct from ceremonial portraits like official court portraits not just in their size. Sojo laid greater emphasis on personal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portrayed subject than did the...

      ‘ Sojo(小照),’meaning literally small-size portraits, are distinct from ceremonial portraits like official court portraits not just in their size. Sojo laid greater emphasis on personal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portrayed subject than did the latter. Basic portrait techniques for accurately depicting the subject have been used also for sojo portraits. At the same time, sojo portraits tend to actively integrate compositions and techniques of general figure paintings;something which cannot be found for official portraits.
      Sojo portrait painting began in Joseon, during the early 18th century, among members of its literati class, including those belonging to the political parties of Buggin (Northerners),Namin (Southerners), and Soron (Young Doctrine). This is in part because these people were flexible thinkers and were less dictated by imperatives of the real world. Most members of those political parties were politically unsuccessful and marginalized, devoting their lives to classical studies and literature. The emergence of sojo heralded a new liberal style of portraiture of scholar-officials, and the style of sojo, in time, became further liberal.
      Later toward the late 18th century, members of the Bukhakpa (a group who advocated to learn from China) who traveled to Beijing brought back Qing-dynasty sojo portraits,galvanizing the production of sojo in Joseon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diverse forms of sojo. It is also people of the Bukhakpa who introduced paintings by the Bochen school and the Yangzhou school that led Qing-dynasty portrait paintings to Joseon. But, as demonstrated by how Lee Deokmu misunderstood the sojo portraits by Zhu Delin(祝德麟), Bukhakpa people were not, from the outset, well-versed in this genre of painting. That being said, members of the Bukhakpa eventually developed a discerning eye for sojo portraiture and showed an increasingly keen interest in this genre, in time.
      This is confirmed by the exchange that Park Jega and Yu Deukgong had with Chen Sen(陳森) as well. The incorporation of the style of Qing sojo paintings into Joseon sojo paintings,therefore, took place in a manner proportional to the progress in understanding of this new painting style. When one compares early sojo works like the portrait of Kang Sehwang by Han Jongyu (Portrait of Pyoam at the Age of Sixty-nine ) with later ones like Portrait of a Scholar , one easily realizes that a major change took place in the style of sojo in Joseon, over time.
      The production of sojo, meanwhile, was far from widespread in Joseon which, as a society, held a highly dogmatic view on the art of portraiture in which the resemblance of a portrait to the painted subject was of paramount importance. Yet, sojo injected meaning into a portrait in a way other portrait painting genres could not. Unlike in the official court portraits of so-called meritorious retainers in which the subject is represented in a hieratic attitude like a religious icon, sojo was a genre capable of endowing paintings with metaphorical or symbolic expressions, which offered insights into the inner world of a subject, captured the gist of a historical event and gave concrete shapes to personal hopes and drea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小照’는 功臣像같은 제의적 기능의 초상화와는 달리, 감상적 기능이 강한 초상화를 구분하는 용어이다.
      소조 역시 초상의 일종이므로 주인공의 모습을 정확하게 묘사하고자 초상화법이 기본적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소조가 갖는 기능으로 인해 일반적인 인물화의 구성과 화법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조선에서 소조는 18세기 전반에 주로 북인을 포함한 남인과 소론 내에서 시작되었다. 그 이유는 그들이사상적으로 유연하였으며 정치적 결속이라는 현실적 요구가 덜하였다는 점 때문이다. 즉, 기존과는 다른 형식의 사대부상이 제작되게끔 하였고 나아가 훨씬 자유로운 형식을 띠는 소조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이같은 흐름에 더하여 18세기 후반에는 북학파가 연행을 하여 청 소조를 조선에 소개함으로 인해 다양한 소조의 제작이 촉진되었다. 북학파는 청의 초상화풍을 주도했던 波臣畵派를 비롯하여 揚州畵派의 화풍을조선에 처음으로 소개한 부류이다. 그렇지만 이덕무가 祝德麟의 소조를 잘못 이해하였듯이 그들이 처음부터소조의 의미와 용도를 숙지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북학파는 시간이 흐를수록 소조에 대한 이해에 기반하여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이 점은 박제가 및 유득공과 陳森간의 교유에서 확인된다. 청 소조화풍이 조선 소조에 적용되는 과정 역시 그러한 이해의 정도에 비례하는데, 韓宗裕의 <豹菴姜公六十九歲小像>부터 김홍도가 그렸다는 <사인초상>까지의 화풍 상 변화를 통해 확인된다.
      사실 소조는 一毫不似라는 강고한 조선의 초상화관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제작이 원활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소조는 다른 초상화에서 찾기 힘든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마치 종교적 성상과 같은 공신상과는 달리, 소조는 寓意의 표현을 비롯해 주인공의 자의식 같은 내면세계, 사적인 사건의 기념, 그리고 지극히 개인적바람을 적극적으로 형상화하기에 효과적인 초상화였던 것이다.
      번역하기

      ‘小照’는 功臣像같은 제의적 기능의 초상화와는 달리, 감상적 기능이 강한 초상화를 구분하는 용어이다. 소조 역시 초상의 일종이므로 주인공의 모습을 정확하게 묘사하고자 초상화법이 ...

      ‘小照’는 功臣像같은 제의적 기능의 초상화와는 달리, 감상적 기능이 강한 초상화를 구분하는 용어이다.
      소조 역시 초상의 일종이므로 주인공의 모습을 정확하게 묘사하고자 초상화법이 기본적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소조가 갖는 기능으로 인해 일반적인 인물화의 구성과 화법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조선에서 소조는 18세기 전반에 주로 북인을 포함한 남인과 소론 내에서 시작되었다. 그 이유는 그들이사상적으로 유연하였으며 정치적 결속이라는 현실적 요구가 덜하였다는 점 때문이다. 즉, 기존과는 다른 형식의 사대부상이 제작되게끔 하였고 나아가 훨씬 자유로운 형식을 띠는 소조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이같은 흐름에 더하여 18세기 후반에는 북학파가 연행을 하여 청 소조를 조선에 소개함으로 인해 다양한 소조의 제작이 촉진되었다. 북학파는 청의 초상화풍을 주도했던 波臣畵派를 비롯하여 揚州畵派의 화풍을조선에 처음으로 소개한 부류이다. 그렇지만 이덕무가 祝德麟의 소조를 잘못 이해하였듯이 그들이 처음부터소조의 의미와 용도를 숙지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북학파는 시간이 흐를수록 소조에 대한 이해에 기반하여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이 점은 박제가 및 유득공과 陳森간의 교유에서 확인된다. 청 소조화풍이 조선 소조에 적용되는 과정 역시 그러한 이해의 정도에 비례하는데, 韓宗裕의 <豹菴姜公六十九歲小像>부터 김홍도가 그렸다는 <사인초상>까지의 화풍 상 변화를 통해 확인된다.
      사실 소조는 一毫不似라는 강고한 조선의 초상화관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제작이 원활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소조는 다른 초상화에서 찾기 힘든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마치 종교적 성상과 같은 공신상과는 달리, 소조는 寓意의 표현을 비롯해 주인공의 자의식 같은 내면세계, 사적인 사건의 기념, 그리고 지극히 개인적바람을 적극적으로 형상화하기에 효과적인 초상화였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진, "「유득공의 생애와 교유, 年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7) : 5-44, 2007

      2 "후지츠카 기증 추사자료전 Ⅲ: 후지츠카의 추사연구자료"

      3 유홍준, "화인열전 2" 역사비평사 2001

      4 이승혜, "화승 색민이 그린 이의경상李毅敬像, In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학고재 2009

      5 조선미, "한국초상화의 사적 개관, In 위대한 얼굴-한중일 초상화대전" 아주문물학회 2003

      6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형과 영의 예술)" 돌베개 2009

      7 강관식, "한국의 초상화" 문화재청 2007

      8 "한국고전종합DB"

      9 강관식, "털과 눈: 조선시대 초상화의 祭儀的 命題와 造形的 課題" 한국미술사학회 (248) : 95-129, 2005

      10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02

      1 김영진, "「유득공의 생애와 교유, 年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7) : 5-44, 2007

      2 "후지츠카 기증 추사자료전 Ⅲ: 후지츠카의 추사연구자료"

      3 유홍준, "화인열전 2" 역사비평사 2001

      4 이승혜, "화승 색민이 그린 이의경상李毅敬像, In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학고재 2009

      5 조선미, "한국초상화의 사적 개관, In 위대한 얼굴-한중일 초상화대전" 아주문물학회 2003

      6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형과 영의 예술)" 돌베개 2009

      7 강관식, "한국의 초상화" 문화재청 2007

      8 "한국고전종합DB"

      9 강관식, "털과 눈: 조선시대 초상화의 祭儀的 命題와 造形的 課題" 한국미술사학회 (248) : 95-129, 2005

      10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02

      11 양신, "중국회화사 삼천년" 학고재 1999

      12 조선미, "중국 초상화에 대한 사전 개관" 숙명여대 중국문화연구소 8 : 1994

      13 주희, "주자가례" 예문서원 1999

      14 이덕일,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김영사 2004

      15 柳得恭, "연대재유록, In 국역연행록선집 Ⅶ"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76

      16 崔英撰, "아정 이덕무의 학문과 사상 연구" 전북대 인문학연구소 17 : 1987

      17 금지아, "신운의 전통과 변용 :王士禎·申緯의 시학 관계성과 비교론" 태학사 2008

      18 김형찬, "박제가 실학 사상의 철학적 기반"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 : 1997

      19 정석범, "명말 曾鯨양식의 형성과 문인적 미의식" 한국미술사학회 (269) : 103-133, 2011

      20 김현권, "김정희파의 한중회화교류와 19세기 조선의 화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1 金成一, "국역학봉전집 2" 민족문화추진회 2009

      22 이덕무, "국역청장관전서Ⅲ" 민족문화추진회 1978

      23 이유원, "국역임하필기 7" 민족문화추진회 2000

      24 홍대용, "국역담헌서 Ⅱ" 민족문화추진회 1974

      25 정약용, "국역다산시문집 1" 민족문화추진회 1996

      26 김육, "국역 잠곡유고 3" 민족문화추진회 1998

      27 이이, "국역 율곡집 2" 민족문화추진회 1977

      28 "가을, 秋: 유물 속 가을 이야기" 국립중앙박물관 2008

      29 조선미, "韓國肖像畵 硏究" 열화당 1983

      30 袁枚, "隨園詩話 卷七, In 續修四庫全書 1701" 上海古籍出版社 1995

      31 박은화, "錢杜(1763-1844)의 산수화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1103-1132, 2006

      32 孔昭明, "金石家珍藏書畵集 下" 大通書局 1977

      33 정은주, "赴京使行에서 제작된 朝鮮使臣의 肖像" 명청사학회 (33) : 1-40, 2010

      34 朴齊家, "貞 閣集, In 韓國文集叢刊 261" 민족문화추진회 2001

      35 변영섭, "豹菴姜世晃繪畵硏究" 일지사 1988

      36 金亮均, "豹菴 姜世晃 山水畵의 題畵詩 硏究-書寫樣相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37 申緯, "警修堂全藁, In 韓國文集叢刊 291" 민족문화추진회 2002

      38 朴長, "縞紵集, In 栖碧外史海外蒐佚本 21 下" 亞細亞文化社 1992

      39 汪 玉, "珊瑚網, In 文淵閣四庫全書 전자판" 中文大學出版社 2002

      40 김현권, "湛軒 洪大容과 淸 문사 간의 회화교류" 고려대 동아시아미술문화연구소 (창간) : 2010

      41 "槿墨 下" 成均館大學校博物館 1981

      42 "朝鮮時代風俗畵" 국립중앙박물관 2002

      43 金潤貞, "朝鮮後期 文人士大夫肖像畵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2

      44 "朝鮮名寶展覽會圖錄 書畵篇" 朝鮮美術館 1938

      45 조선미, "朝鮮 後期 中國 肖像畵의 流入과 韓國的 變用" 한국미술연구소 2002

      46 楊新, "曾鯨和明淸肖像畵, In 故宮博物院院刊 期" 故宮博物院 1993

      47 "揚州畵派書畵全集 : 羅聘" 天津人民美術出版社 1999

      48 심초롱, "尹拯 肖像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49 馮金伯, "墨香居畵識 卷四, In 國家圖書館藏古籍藝術類編 21" 北京圖書館出版社 2004

      50 蔣寶齡, "墨林今話, In 中國歷代畵史匯編 6" 天津古籍出版社 1997

      51 單國强, "中國美術史" 다른생각 2011

      52 柳得恭, "世集, In 『 齋書種』 一" 국립중앙도서관

      53 Frederick Mote, "The Intellectual Climate in Eighteenth-Century China : Glimpses of Bejing, Suzhou and Yangzhou in the Qianlong Period, In Chinese Painting under the Qianlong Emperor" Arizona State University 1988

      54 Eckardt, P. Andreas, "Geschichte Der Koreanischen Kunst" Karl W. Hiersemann 1929

      55 Richard Vinograd Ellis, "Boundaries of the Self Chinese Portraits 1600-19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56 She Cheng, "An Overview of Stylistic Development in the Qianlong Painting Academy, In Chinese Painting under the Qianlong Emperor" Arizona State University 1988

      57 고영진, "17세기 후반 근기남인학자의 사상" 한국역사연구회 13 :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4 1.59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