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암의 새로운 예후인자들의 임상적 의의 = Clinical Significance of New Prognostic Factors in Breast Canc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91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암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전통적 3인자로 종양의 크기, 전이액와임파절의 수 및 menopausal status를 들 수 있고, 이 외에 최근에는 면역학과 분자생물학의 비약적 발달로 호르몬 수용체, DNA ploid...

      유암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전통적 3인자로 종양의 크기, 전이액와임파절의 수 및 menopausal status를 들 수 있고, 이 외에 최근에는 면역학과 분자생물학의 비약적 발달로 호르몬 수용체, DNA ploidy, cathepsin D, pS2 protein 및 다양한 oncogene들의 증폭이나 과발현 등이 새로운 독립적 예 후인자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유암 110례의 10년 추적조사 성적을 기반으로 이들 새로운 예후인자중 c-erbB-2 oncoprotein, cathepsin D 및 pS2 protein의 과발현이 전통적 예후인자들과 상관성이 있는지와 독립적 예후인자로서 의의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에 착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fine the prognostic value of the overexpression of c-erbB-2 oncoprotein, cathepsin D and pS2 protein in 40 breast cancer pat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Overall, 32% of patients were positive for c-erbB-2 onc...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fine the prognostic value of the overexpression of c-erbB-2 oncoprotein, cathepsin D and pS2 protein in 40 breast cancer pat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Overall, 32% of patients were positive for c-erbB-2 oncoprotein. Positive staining correlated with menopause status, tumor size and TNM staging, but not wish axllary nodal status. Although there was apparent difference in cumulative survival rates between positive-and negative-staining groups,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625).
      2.52.5% of patients were positive for cathepsin D. Positive staining did not correlate with menopause status, axillary nodal status or tumor siz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cumulative survival rates between positive-and negative-staining groups of cathepsin D.
      3.57.5% of patients were positive for pS2 protein. Positive staining did not correlate with menopause status, axillary nodal status, tumor size or tumor stag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cumulative survival rates between positive-and negative-staining groups of pS2 prote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재료 및 방법
      • 1.연구 대상
      • 2.면역조직학적 검사방법
      • 3.통계처리방법
      • Ⅰ.서론
      • Ⅱ.재료 및 방법
      • 1.연구 대상
      • 2.면역조직학적 검사방법
      • 3.통계처리방법
      • Ⅲ.결과
      • Ⅳ.고안
      • Ⅴ.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