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토양수분, 초본밀도, 동물섭식이 초기 소나무 갱신에 미치는 영향 = KFS-P124 : Effect of Soil Moisture, Vegetation Density, and Animal Feeding on Germination and Survival of Red Pine seedlings in Mt. Gariw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136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8년 모수림 작업이 시행된 이후 소나무 천연갱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강원도 평창 가리왕산 163임반에서 야생동물침입방지용 토양수분, 초본밀도, 야생동물의 섭식이 소...

      본 연구는 2008년 모수림 작업이 시행된 이후 소나무 천연갱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강원도 평창 가리왕산 163임반에서 야생동물침입방지용 토양수분, 초본밀도, 야생동물의 섭식이 소나무종자의 발아 및 유묘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지 내에 중소형포유류 침입 방지 울타리 설치, 배수 처리를 달리한 후 종자를 직파, 이후 제초 빈도(1, 2, 3 회/년)를 달리하여 소나무 종자의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6월에 발아하였으며, 제초빈도에 따른 시기별발아율과 울타리 유무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가 없었다. 배수처리에 따른 고사율 차이가 없었으나, 시기별 제초 작업에 따른 생존율에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7월 제초작업을 수행한 이후 고사율이 감소했다. 또한 중소형포유류의 침입방지를 위해 울타리를 설치한 구역에서 고사율이 증가했는데, 이는 울타리 내에 그늘로 증가한 초본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갱신 초기 소나무 유묘의 고사원인은 병(모잘록병 등), 곤충의 섭식, 설치류 굴, 초본과의 경쟁 등이 주 요인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il moisture, vegetation density, and animal feeding on germination and survival of red pine seedling in Mt. Gariwang, stand #163 where red pine has not been well-regenerated naturally since seed-t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il moisture, vegetation density, and animal feeding on germination and survival of red pine seedling in Mt. Gariwang, stand #163 where red pine has not been well-regenerated naturally since seed-tree cutting method was implemented in 2008. After sawing red pine seeds in the study site, three treatments including fence, drainage, and weeding frequency (once, twice, and thrice /yr) were applied and germination ratio and survival ratio were monitored. As a result, most of seeds were germinated on Jun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monthly among neither weeding frequency nor fence treatment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s of survival ratio under drainage treatments, significant difference were shown along the different weeding frequency. Particularly, after weeding on July, mortality of red pine seedlings was decreased. The reason why seedling mortality increased under fencing is expected that herbs increased under shadow affected seedlings. At the initial stage of regeneration, disease, insect attack, rodents holes, and competition with other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as limiting factors of red pine seedling surviva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