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낙청 비평에 나타난 ‘시적(詩的) 창조’의 의미 = The Study On ‘Poetic Creation’ of Paik Nak-chung’s critic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1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백낙청 비평에 나타난 ‘시적 창조’(poetic creation)라는 개념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백낙청 비평이 문학과 역사,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어떻게 고찰했는지 분석하려고 했다. 백낙청은 시민계급의 중요한 층위를 이루는 중산계층이 시민 혁명을 달성할 만큼의 역량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고 보았다. 백낙청은 그 부재의 자리를 메울 수 있는 지점을 모색했다. ‘민중’이 그 지점의 한 축을 가리키고 있다면, 다른 축에는 ‘시적 창조’라는 개념이 위치하고 있었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은 이 두 개의 지점을 포괄하는 담론 체계였다.
      백낙청은 ‘시적 인간(poetic human)과 역사적 인간의 근원적 동질성’을 주장하며, 참여/ 순수, 예술 창작/정치적 행동을 구분하는 이분법에서 벗어나려 했다. 이러한 문제틀은 주체와 대상의 이분법에 기반을 둔 서구 형이상학을 근본적으로 비판한 하이데거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백낙청 비평은 ‘본질적 창조’라는 관점에서 역사와 시의 근원적 동일성을 주장했다. 백낙청에 따르면 ‘본질적인 창조’는 시, 행동, 사상 등의 어느 영역에서 이루어지든, ‘지식’과는 다른 차원에서 작동한다. 하이데거의 어법을 빌리면 ‘본질적 창조’는 은폐된 상태에 있던 진리를 드러나게 만드는 작업이며 역사의 근원적 변화를 만들어내는 동력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담론은 ‘시적 창조’의 다층적 가능성을 역사의식의 문제로 환원시켜 버릴 수 있다는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유사한 문제는 백낙청이 ‘시적인것’을규정하는과정에서도발견된다. 백낙청은‘감수성의분열(dissociation of sensibility)’에 대한 엘리어트의 견해를 수용하여 ‘시적(詩的)인 것’의 본질을 ‘통합된 감수성(the intergration of the sensitivity)’에서 찾으려 했다. 백낙청의 비평은 ‘시적 언어’가 만들어낼 수 있는 다층적 가능성을 탐색하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분열된 감수성이 지니는 창조적 활력을 사유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백낙청 비평에 나타난 ‘시적 창조’(poetic creation)라는 개념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백낙청 비평이 문학과 역사,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어떻게 고찰했는지 분석하려고 ...

      이 논문은 백낙청 비평에 나타난 ‘시적 창조’(poetic creation)라는 개념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백낙청 비평이 문학과 역사,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어떻게 고찰했는지 분석하려고 했다. 백낙청은 시민계급의 중요한 층위를 이루는 중산계층이 시민 혁명을 달성할 만큼의 역량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고 보았다. 백낙청은 그 부재의 자리를 메울 수 있는 지점을 모색했다. ‘민중’이 그 지점의 한 축을 가리키고 있다면, 다른 축에는 ‘시적 창조’라는 개념이 위치하고 있었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은 이 두 개의 지점을 포괄하는 담론 체계였다.
      백낙청은 ‘시적 인간(poetic human)과 역사적 인간의 근원적 동질성’을 주장하며, 참여/ 순수, 예술 창작/정치적 행동을 구분하는 이분법에서 벗어나려 했다. 이러한 문제틀은 주체와 대상의 이분법에 기반을 둔 서구 형이상학을 근본적으로 비판한 하이데거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백낙청 비평은 ‘본질적 창조’라는 관점에서 역사와 시의 근원적 동일성을 주장했다. 백낙청에 따르면 ‘본질적인 창조’는 시, 행동, 사상 등의 어느 영역에서 이루어지든, ‘지식’과는 다른 차원에서 작동한다. 하이데거의 어법을 빌리면 ‘본질적 창조’는 은폐된 상태에 있던 진리를 드러나게 만드는 작업이며 역사의 근원적 변화를 만들어내는 동력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담론은 ‘시적 창조’의 다층적 가능성을 역사의식의 문제로 환원시켜 버릴 수 있다는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유사한 문제는 백낙청이 ‘시적인것’을규정하는과정에서도발견된다. 백낙청은‘감수성의분열(dissociation of sensibility)’에 대한 엘리어트의 견해를 수용하여 ‘시적(詩的)인 것’의 본질을 ‘통합된 감수성(the intergration of the sensitivity)’에서 찾으려 했다. 백낙청의 비평은 ‘시적 언어’가 만들어낼 수 있는 다층적 가능성을 탐색하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분열된 감수성이 지니는 창조적 활력을 사유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concept called ‘poetic creation’ appeared in the Paik Nak-chung’s criticism. Through the above this thesis was to analyze how the Paik Nak-chung’s criticismcontemplated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and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Paik Nak-chung thought that the middle class which constitutes important class of bourgeoisie could not carry so much capability that they can achieve people´s revolution. Paik Nak-chung sought the point that can replace the place of the absence. If ‘the people’ indicates one axis of the point, at another axis the concept of ‘poetic creation’ was located.Paik Nak-chung’s national literary theory was the discourse system that included these two points.
      Paik Nak-chung claimed the fundamental homogeneity of poetic human and historical human and was to get out of dichotomy that separates artistic creation and political action. Such problems are based on the Heidegger’s theory that basically criticized the western metaphysics based on the dichotomy of the subject and object. What is spotlighted this time is rightly the concept called ‘creation’. According to Paik Nak-chung, ‘essential creation’ works in the dimension different fromthat for ‘knowledge’ in whichever area of poem, action and idea etc. it is achieved. If we borrow the expression of Heidegger ‘essential creation’ is the job that reveals the truth which was in hidden condition, and is the power that makes fundamental change of history.
      Paik Nak-chung’s criticismclaimed the fundamental identity of history to poemin the viewpoint of the ‘essential creation’. However, such discourse has the problemthat can returnmultilayer possibility of ‘poetic creation’ to the problemof historical consciousness. Such limitation is revealing itself even in the process where Paik Nak-chung defined ‘poetic things’. Paik Nak-chung accepted Eliot’s opinion on ‘dissociation of sensibility’ and was to find the essence of the ‘poetic thing’ in ‘the integration of the sensitivity’.
      번역하기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concept called ‘poetic creation’ appeared in the Paik Nak-chung’s criticism. Through the above this thesis was to analyze how the Paik Nak-chung’s criticismcontemplated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hist...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concept called ‘poetic creation’ appeared in the Paik Nak-chung’s criticism. Through the above this thesis was to analyze how the Paik Nak-chung’s criticismcontemplated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and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Paik Nak-chung thought that the middle class which constitutes important class of bourgeoisie could not carry so much capability that they can achieve people´s revolution. Paik Nak-chung sought the point that can replace the place of the absence. If ‘the people’ indicates one axis of the point, at another axis the concept of ‘poetic creation’ was located.Paik Nak-chung’s national literary theory was the discourse system that included these two points.
      Paik Nak-chung claimed the fundamental homogeneity of poetic human and historical human and was to get out of dichotomy that separates artistic creation and political action. Such problems are based on the Heidegger’s theory that basically criticized the western metaphysics based on the dichotomy of the subject and object. What is spotlighted this time is rightly the concept called ‘creation’. According to Paik Nak-chung, ‘essential creation’ works in the dimension different fromthat for ‘knowledge’ in whichever area of poem, action and idea etc. it is achieved. If we borrow the expression of Heidegger ‘essential creation’ is the job that reveals the truth which was in hidden condition, and is the power that makes fundamental change of history.
      Paik Nak-chung’s criticismclaimed the fundamental identity of history to poemin the viewpoint of the ‘essential creation’. However, such discourse has the problemthat can returnmultilayer possibility of ‘poetic creation’ to the problemof historical consciousness. Such limitation is revealing itself even in the process where Paik Nak-chung defined ‘poetic things’. Paik Nak-chung accepted Eliot’s opinion on ‘dissociation of sensibility’ and was to find the essence of the ‘poetic thing’ in ‘the integration of the sensitiv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부재하는 중산계급과 ‘시적(詩的) 창조’의 위상
      • Ⅲ. 하이데거 ‘시론(詩論)’의 수용과 ‘본질적 창조’라는 지평
      • Ⅳ. ‘감수성의 통합’과 시적(詩的)인 것의 성격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부재하는 중산계급과 ‘시적(詩的) 창조’의 위상
      • Ⅲ. 하이데거 ‘시론(詩論)’의 수용과 ‘본질적 창조’라는 지평
      • Ⅳ. ‘감수성의 통합’과 시적(詩的)인 것의 성격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상, "「존재와 시간」 용어 해설" 까치 2003

      2 이광호, "환멸의 신화" 민음사 1995

      3 김현, "현대 한국문학의 이론/사회와 윤리-김현 문학전집" 문학과지성사 2003

      4 백낙청, "통일시대 한국문학의 보람-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Ⅳ" 창작과 비평 2006

      5 황종연, "탕아를 위한 비평 : 황종연 평론집" 문학동네 2012

      6 성민엽, "지성과 실천" 문학과지성 1985

      7 백낙청,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34"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06

      8 김상환, "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 민음사 2004

      9 T.S. 엘리어트, "엘리어트선집" 을유문화사 1981

      10 김치수, "양심 혹은 사랑으로서의 민족문학" (가을) : 1978

      1 이기상, "「존재와 시간」 용어 해설" 까치 2003

      2 이광호, "환멸의 신화" 민음사 1995

      3 김현, "현대 한국문학의 이론/사회와 윤리-김현 문학전집" 문학과지성사 2003

      4 백낙청, "통일시대 한국문학의 보람-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Ⅳ" 창작과 비평 2006

      5 황종연, "탕아를 위한 비평 : 황종연 평론집" 문학동네 2012

      6 성민엽, "지성과 실천" 문학과지성 1985

      7 백낙청,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34"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06

      8 김상환, "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 민음사 2004

      9 T.S. 엘리어트, "엘리어트선집" 을유문화사 1981

      10 김치수, "양심 혹은 사랑으로서의 민족문학" (가을) : 1978

      11 신상희, "숲길, 마르틴 하이데거" 나남출판 2008

      12 정순일, "소태산의 불교개혁운동과 학명, 만해, 그리고 용성"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13 백낙청, "분단체제 변혁의 공부길" 창작과비평사 1994

      14 류준필, "백낙청 리얼리즘론의 문제성과 현재성" 창비 38 : 2010

      15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6

      16 백낙청, "민족문학의 새 단계-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Ⅲ" 창작과비평 1990

      17 백낙청, "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Ⅱ" 창작과비평 1995

      18 백낙청, "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Ⅰ" 창작과비평 1995

      19 백낙청,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5-문학이 무엇인지 다시 묻는 일" 창비 2011

      20 황종연, "무엇이 한국문학의 보람인가" 창비 34 : 2006

      21 설준규, "리얼리즘론의 쇄신과 '시적 성취'" 영미문학연구회 31 (31): 280-290, 2011

      22 방민호, "리얼리즘론의 비판적 재인식" 창비 25 : 1997

      23 이상갑, "근대민족문학비평사론" 소명출판 2003

      24 김건우, "국학, 국문학, 국사학과 세계사적 보편성 - 1970년대 비평의 한 기원" 한국현대문학회 36 (36): 525-545, 2012

      25 박명규, "국민·인민·시민-개념사로 본 한국의 정치주체" 소화 2009

      26 김수림, "4·19혁명의 유산과 궁핍한 시대의 리얼리즘 ―1960~70년대 백낙청의 비평과 역사의식" 상허학회 35 : 141-176, 2012

      27 김나현, "1970년대 『創作과 批評』의 韓龍雲論에 담긴 비평전략" 대동문화연구원 79 (79): 511-536, 2012

      28 김현주, "1960년대 후반 문학 담론에서 ‘자유’와 민주주의・근대화주의의 관계-『창작과비평』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41 : 371-413, 2014

      29 김현주, "1960년대 후반 ‘자유’의 인식론적, 정치적 전망 -『창작과비평』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48 (48): 45-90, 2012

      30 박지영, "1960년대 『창작과 비평』과 번역의 문화사- 4․19/한글세대 비평/번역가의 등장과 ‘혁명’의 기획" 한국문학연구소 45 (45): 81-12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